[include(틀:김경호)]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dec 15%,#007dec 50%, #009dec 85%)" [[김경호|[[파일:김경호로고.png|height=30]]]]''' [[김경호|{{{#fff 김경호}}}]]의 [[김경호/음반|{{{#fff 음반}}}]]'''}}}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6px -11px"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22C26; font-size: 0.865em; color: #fff" '''라이브 앨범'''}}}}}} {{{-1 '''[[Kim Kyung Ho Live|{{{#000,#fff Kim Kyung Ho Live}}}]]'''}}} {{{-3 1998. 03. 09.}}}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font-size: 0.865em; color: #ff2400" '''정규 3집'''}}}}}} {{{-1 '''00:00:1998 KYUNG-HO KIM'''}}} {{{-3 1998. 05. 26.}}}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63A6EE;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4집'''}}}}}} {{{-1 '''[[KYUNG-HO KIM IV|{{{#000,#fff KYUNG-HO KIM IV}}}]]'''}}} {{{-3 1999. 04. 22.}}} ||}}} || ||<-5><^|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정규 음반 목록 [ 펼치기 · 접기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2집'''}}}}}} {{{-1 '''[[kim:kyungho 1997|{{{#000,#fff kim:kyungho 1997}}}]]'''}}} {{{-3 1997. 06. 06.}}}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font-size: 0.865em; color: #ff2400" '''정규 3집'''}}}}}} {{{-1 '''00:00:1998 KYUNG-HO KIM'''}}} {{{-3 1998. 05. 26.}}}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63A6EE;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4집'''}}}}}} {{{-1 '''[[KYUNG-HO KIM IV|{{{#000,#fff KYUNG-HO KIM IV}}}]]'''}}} {{{-3 1999. 04. 22.}}}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98 KYUNG-HO KIM.jpg|width=100%&align=center]]}}} || ||<-5> '''00:00:1998 KYUNG-HO KIM'''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Shout(김경호)|Shout]] || 이현석 || 이현석 || 이현석 || || '''2''' || 꿈을 찾아 떠나 ^^{{{#red,#ff0000 후속곡}}}^^ || 이용혁 || 송재우 || 송재우 || || '''3''' || [[이수(離愁)]] || 강은경 || 유승범 || 유승범 || || '''4''' || [[마지막 부를 이름]] || 강은경 || 유승범 || 유승범 || || '''5''' || 양심선언 || [[김경호]] || 유주형 || 유주형 || || '''6''' || 미완의 사랑(그녀가 편지를 받았을까) ^^{{{#red,#ff0000 후속곡}}}^^ || 강은경 || 이성재 || 이현석 || || '''7''' || [[영원의 성(城) (슬픈 영혼의 아리아2)]] || 유승범 || 유승범 || 유승범 || || '''8''' || Exodus || 이현석 || 유주형 || 유주형 || || '''9''' || 베수 비우스 || 이현석 || 유주형 || 유주형 || || '''10''' ||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red TITLE}}}^^ || 이경 || 유승범 || 유승범 || || '''11''' || Higher To The Top || 이현석 || 송재우 || 송재우 || [목차] ==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686315)]}}} || ||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 라이브''' || 1998년 5월 26일에 발매된 김경호의 3집 정규 앨범. '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Shout'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52여 만장이 판매되었다. 김경호 정규 앨범 중에서 가장 메탈 색채가 강한 앨범이며[* [[Shout(김경호)|Shout]], 양심선언, Exodus, 베수비우스, Higher to the top이 메탈곡이다. 그 외의 곡들도 일렉기타 사운드가 많이 들어갔으며 타이틀곡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도 네오 클래시컬 메탈적인 사운드로 다른 타이틀 곡들보다 메탈의 색채가 짙다.], 점수 주기로는 짜다고 소문난 [[일본]]의 음악 잡지, BURRN에서 드물게 전 세계 헤비메탈 음반 점수 91점(100점 만점)을 받았다. 3집은 김경호의 1~2집보다 그의 목소리에 많은 스크래치가 들어가기 시작했으며, 이후 김경호의 창법으로 굳는다.[* 1집의 경우 초창기라 스크래치를 활용하는 모습은 거의 없었고, 2집의 경우 1집의 클린톤 보컬을 바탕으로 고음역 대에서 스크래치를 서서히 넣던 시기였다.]이 3집은 유일하게 창법을 바꾼 2009년 이후 모든 수록곡의 라이브를 보여준 앨범이다! == 앨범 수록곡 == === [[Shout(김경호)|Shout]] === >첫번째 트랙인 'Shout'은 도입부부터 '''3옥타브 라(A5)''' 샤우팅이 등장하는 곡으로, 김경호의 메탈 곡을 논할 때 1순위를 다투는 곡이다. 2옥타브 라 밑으로 음이 거의 떨어질 생각을 안 하면서 비트가 굉장히 빠른 굉장한 난도의 곡으로, 이현석이 작곡하고 연주한 곡 중에서도 단연 최고의 곡이라 일컬어질 만큼 김경호의 보컬과 더불어 이현석의 속주연주가 빛나는 곡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hout(김경호))] === 꿈을 찾아 떠나 === ||<-2> '''꿈을 찾아 떠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vEEyM_rXdE)]}}}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378504693?service=daum_blog)]}}} || ||<-2> {{{#!folding [ 가사 ] ||
'''꿈을 찾아 떠나''' || ||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blue 어}}}'''둠 속에 갇힌 '''{{{#gold 널}}} {{{#green 좀}}} {{{#blue 바}}}'''라'''{{{#green 봐}}}—{{{#blue —}}}'''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blue 하}}}'''늘을 봐 거긴 '''{{{#green 자}}}{{{#blue 유}}}{{{#green 로움이}}} {{{#gold 있어}}} {{{#orange 워}}}{{{#gold —}}}'''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blue 짧은}}}''' 쾌락 '''{{{#green 환상에 덮}}}'''인 올가'''{{{#blue 미}}}''' '''{{{#blue 눈먼}}} {{{#red 행}}}'''운 '''{{{#green 찾아와 줄}}}''' 리 없어 '''{{{#blue 세상 모}}}'''든 것이 '''{{{#blue 손만 뻗}}}'''는다고 '''{{{#blue 쉽게 얻}}}'''는 건 아니야 '''{{{#blue 모두 뱉}}}'''어버려 '''{{{#blue 단순했}}}'''던 너의 생각'''{{{#blue 을}}}''' '''{{{#purple Fly high}}}''' (자유'''{{{#green 롭}}}{{{#blue 게 떠}}}'''나) '''{{{#blue 비}}}'''틀어진 거울 '''{{{#gold 깨}}}{{{#green 뜨}}}{{{#blue 리}}}'''고'''{{{#green 서}}}'''—'''{{{#blue —}}}'''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blue 잊}}}'''혀졌던 삶의 '''{{{#green 진}}}{{{#blue 실}}}{{{#green 을}}} {{{#blue 바}}}{{{#gold 라봐}}} {{{#purple 예—}}}''' '''{{{#blue 위기}}}''' 없는 '''{{{#green 괜찮은 삶}}}'''이었다'''{{{#blue 고}}}''' '''{{{#blue 자위}}}'''~~(??)~~'''{{{#red 했}}}'''던 '''{{{#green 짧았던 인}}}'''생 길은 '''{{{#blue 모험 피}}}'''해 가며 '''{{{#blue 네 몸 사}}}'''려왔지 '''{{{#blue 숨막힌}}}''' 생을 살았어 '''{{{#blue 다시 생}}}'''각해봐 '''{{{#blue 쫓겨 왔}}}'''던 너의 삶들'''{{{#blue 을}}}''' '''{{{#purple Fly high}}}''' (자유'''{{{#green 롭}}}{{{#blue 게 떠}}}'''나) '''{{{#blue 비}}}'''틀어진 거울 '''{{{#gold 깨}}}{{{#green 뜨}}}{{{#blue 리}}}'''고'''{{{#green 서}}}'''—'''{{{#blue —}}}'''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blue 잊}}}'''혀졌던 삶의 '''{{{#green 진}}}{{{#blue 실}}}{{{#green 을}}} {{{#blue 바}}}{{{#gold 라봐}}} {{{#purple 예—}}}''' '''{{{#green 그저 그런 세상}}}''' '''{{{#blue 그저 그}}}'''런 인생'''{{{#blue 들}}}''' '''{{{#green 이}}}{{{#blue 제}}}''' 더는 '''{{{#gold 만}}}{{{#green 들}}}{{{#blue 지마}}}''' '''{{{#gold 꿈을 찾}}}'''아 '''{{{#gold 떠}}}{{{#orange 나}}}''' ('''{{{#blue Fly high}}}''') 자유'''{{{#green 롭}}}{{{#blue 게 떠}}}'''나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자유'''{{{#green 롭}}}{{{#blue 게 떠}}}'''나) '''{{{#gold 예}}}{{{#orange 예}}}{{{#gold 예}}}{{{#blue 예}}}{{{#gold 이}}}{{{#green 예}}}{{{#gold 이}}}{{{#green 예}}} {{{#gold 예}}} {{{#orange 워}}}{{{#red 이}}}{{{#gold 예—}}}'''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자유'''{{{#green 롭}}}{{{#blue 게 떠}}}'''나) '''{{{#gold 움켜}}}{{{#orange 쥔}}} {{{#gold 굴}}}{{{#blue 레를}}} {{{#blue 벗어}}}{{{#green 던}}}{{{#blue 지}}}{{{#green 고}}} {{{#blue 나}}}{{{#gold 서 워}}}{{{#orange 워}}}{{{#red 이}}}{{{#gold 예—}}}''' (꿈을 '''{{{#green 찾}}}{{{#blue 아 떠}}}'''나) '''{{{#orange 꿈}}}{{{#gold 의}}} {{{#orange 세}}}{{{#gold 계}}} {{{#orange 자}}}{{{#gold 유}}}{{{#orange 로}}}{{{#gold 움}}} {{{#orange 찾}}}{{{#purple 아서}}}''' || || '''{{{#blue 2옥타브 솔#(G#4)}}}''' '''{{{#green 2옥타브 라(A4)}}}''' '''{{{#gold 2옥타브 시(B4)}}}''' '''{{{#orange 3옥타브 도#(C#5)}}}''' '''{{{#red 3옥타브 레#(D#5)}}}''' '''{{{#purple 3옥타브 미(E5)}}}''' || }}} || '꿈을 찾아 떠나'는 팝 메탈 성향의 곡으로, 김경호의 날카로운 보컬과 신나는 기타 연주가 특징이다. 2018년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팬들의 요청으로 불러주었다. === [[이수(離愁)]] === '이수(離愁)'는 감미로운 멜로디와 애절한 김경호의 목소리가 합쳐진 메이저 발라드이다. 팬들 사이에서는 이 곡을 숨겨진 명곡 중 1위로 보고 있다. 김경호가 편하게 이 곡을 부르기에 다소 쉬워보이며, 소위 말하는 전성기[* 대체로 보컬로서 전성기라 하면 2~4집 시기를 가리킨다. 5집의 경우 음반 녹음으로는 최절정이긴 했지만, 동시에 김경호의 라이브 기복이 극심했던 시기이기도 하며 6집은 성대결절 직전의 목소리라 힘이 떨어졌다는 인식이 많다.]의 김경호 노래치고 실제로도 난도가 낮은 곡이기 때문에, 이 노래를 만만하게 생각해 노래방에서 이 곡을 부르다 중간에 끄는 사람이 많다카더라[* 최고음이 '''3옥타브 도(C5)'''로 김경호 노래 치고는 낮은 편에 속하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어렵다. 참고로 2집의 '피노키오에게'와 같이 잔잔한 곡들을 제외한 전성기 시절 곡들의 최고음이 기본적으로 '''3옥타브 도♯(C♯5)'''이상이다!! 또한 '피노키오에게'라는 곡도 엄청 낮을 거라 생각하지만 최고음이 '''2옥타브 라♯(A♯4)'''며 이 음을 몇 초 동안 자연스럽게 끌어야 하므로 결코 쉽다고 할 수 없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離愁))] === [[마지막 부를 이름]] === ||<-2> '''마지막 부를 이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DnyLP3tm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Kbj-Egc5MY)]}}} || ||<-2> {{{#!folding [ 가사 ] ||
'''마지막 부를 이름''' || || 언젠가 너는 물었지 니가 처음이냐고 난 대답대신 이런 말했지 내 삶의 마지막 순간 그 누군가 떠오른다면 오직 한사람 너일거라고 너의 사진 또 바라보다가 슬픈 너의 얘기 다시 생각나 눈물 흘려 넌 말했었지 사진과 얘기하는 그 슬픔 나는 아마 모를 거라고 하지만 나 너를 보낸 뒤 알았어 누군가 아프도록 사랑해 본 사람만이 그 마음 아는 걸테니 너의 편지 그 안에 써있던 슬픈 너의 글씨 다시 그에게로 간다고 보내야했지 먼 훗날 니가 눈을 감을 때 나의 품에 안겨 부를 이름이 그라면 아마 난 더 힘들테니 얼마나 더 사랑해야 니가 사랑한 사람까지 내가 사랑 할 수가 있는 걸까 오- 널 위해 너는 알까 긴 세월이 흘러가도 이 세상 나 떠나는 그날 보고플 단 한사람 아직도 그건 너란 걸 || }}} || '마지막 부를 이름'은 전형적인 김경호표 마이너 메탈 발라드로, 다른 곡에서는 보기 힘들게 한 음절을 아주 오래 끄는 부분이 인상적이다(널 위해~~~~~).[* 참고로 '''3옥타브 레(D5)'''.] 곡의 박자나 기타 속주를 들어보면 [[스콜피온즈]]의 [[홀리데이#s-2.2|Holiday]]가 떠오른다. 2009년 락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마지막으로 불러줬었다. 김경호의 숨겨진 명곡 중 하나이며, 많은 팬들이 좋아하는 곡이다. === 양심선언 === ||<-2> '''양심선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uaRRWxsK3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0aF837Nu3k)]}}} || ||<-2> {{{#!folding [ 가사 ] ||
'''양심선언''' || || '''{{{#green 그대}}} {{{#blue 눈}}}'''에 '''{{{#blue 비}}}'''춰'''{{{#green 진}}}''' '''{{{#green 내}}} {{{#blue 귀}}}'''에 '''{{{#blue 들}}}'''려'''{{{#blue 지}}}{{{#green 는}}} {{{#gold 그 무}}}{{{#green 엇}}}{{{#blue 이}}}''' 진실이었나 '''{{{#green 세}}}{{{#blue 상}}}'''은 '''{{{#blue 변}}}'''했'''{{{#green 어}}}''' '''{{{#green 최}}}{{{#blue 면}}}'''에 '''{{{#blue 길}}}'''들'''{{{#blue 여}}}{{{#green 져}}} {{{#gold 의심}}}{{{#green 조}}}{{{#blue 차}}}''' 할 수가 없어 '''{{{#blue 억}}}'''지로 구겨 '''{{{#blue 넣어}}} {{{#gold 날}}} {{{#green 혼}}}{{{#blue 란}}}'''시킨 '''{{{#blue 너}}}'''희들도 '''{{{#blue 계}}}{{{#gold 속}}} {{{#green 속}}}{{{#blue 고}}}''' 속아 이제 깨달아 더 '''{{{#blue 이}}}{{{#gold 상}}} {{{#green 이}}} {{{#gold 세}}}{{{#green 상}}}{{{#blue 은}}}''' 투명하지 않'''{{{#blue —}}}'''—아 변할 수 있어 이'''{{{#blue 제}}} {{{#gold 솔}}}{{{#green 직}}}{{{#gold 하}}}{{{#green 게}}} {{{#blue 너}}}'''를 열어 보여'''{{{#blue —}}}'''—줘 거짓된 말과 진'''{{{#green 실을}}} {{{#gold 구}}}{{{#green 별}}}{{{#blue 할}}}''' 이 누구인가 '''{{{#green 아}}}{{{#blue 무}}}'''리 '''{{{#blue 어}}}'''려'''{{{#green 도}}}''' '''{{{#green 지}}} {{{#blue 금}}}'''의 '''{{{#blue 세}}}'''상''' {{{#blue 그}}}{{{#green 리}}} {{{#gold 밝지}}}{{{#green 만}}} {{{#blue 않}}}'''단 걸 난 알아 '''{{{#green 차}}}{{{#blue 가}}}'''운 '''{{{#blue 눈}}}'''으'''{{{#green 로}}}''' '''{{{#green 거}}}{{{#blue 짓}}}'''말 '''{{{#blue 속}}}'''에 '''{{{#blue 당}}}{{{#green 신}}}{{{#gold 들 또}}}{{{#green 한}}} {{{#blue 주}}}'''저앉고 마는가 '''{{{#blue 침}}}'''묵할 수밖'''{{{#blue 에}}} {{{#gold 없}}}{{{#green 었}}}{{{#blue 던}}}''' 날들 '''{{{#blue 그}}}''' 거짓과 '''{{{#blue 고}}}{{{#gold 통}}} {{{#green 속}}}{{{#blue 에}}}''' 서서 이제 깨달아 더 '''{{{#blue 이}}}{{{#gold 상}}}{{{#green 은}}} {{{#gold 머}}}{{{#green 물}}}{{{#blue 고}}}'''는 싶지가 않'''{{{#blue —}}}'''—아 거짓된 평안 아'''{{{#blue 니}}} {{{#gold 진}}}{{{#green 실}}} {{{#gold 속}}} {{{#green 혼}}}{{{#blue 돈}}}'''을 택하겠어'''{{{#blue —}}}'''— 거짓된 말과 진'''{{{#green 실을}}} {{{#gold 구}}}{{{#green 별}}}{{{#blue 할}}}''' 이 누구인가 '''{{{#red 야—}}}''' '''{{{#blue 억}}}'''지로 구겨 '''{{{#blue 넣어}}} {{{#gold 날}}} {{{#green 혼}}}{{{#blue 란}}}'''시킨 '''{{{#blue 너}}}'''희들도 '''{{{#blue 계}}}{{{#gold 속}}} {{{#green 속}}}{{{#blue 고}}}''' 속아 이제 깨달아 더 '''{{{#blue 이}}}{{{#gold 상}}} {{{#green 이}}} {{{#gold 세}}}{{{#green 상}}}{{{#blue 은}}}''' 투명하지 않'''{{{#blue —}}}'''—아 변할 수 있어 이'''{{{#blue 제}}} {{{#gold 솔}}}{{{#green 직}}}{{{#gold 하}}}{{{#green 게}}} {{{#blue 너}}}'''를 열어 보여'''{{{#blue —}}}'''—줘 이제 깨달아 더 '''{{{#blue 이}}}{{{#gold 상}}}{{{#green 은}}} {{{#gold 머}}}{{{#green 물}}}{{{#blue 고}}}'''는 싶지가 않'''{{{#blue —}}}'''—아 거짓된 평안 아'''{{{#blue 니}}} {{{#gold 진}}}{{{#green 실}}} {{{#gold 속}}} {{{#green 혼}}}{{{#blue 돈}}}'''을 택하겠어'''{{{#blue —}}}'''— 거짓된 말과 진'''{{{#green 실을}}} {{{#gold 구}}}{{{#green 별}}}{{{#blue 할}}}''' 이 누구인가 || || '''{{{#blue 2옥타브 솔#(G#4)}}}''' '''{{{#green 2옥타브 라#(A#4)}}}''' '''{{{#gold 2옥타브 시(B4)}}}''' '''{{{#red 3옥타브 레#(D#5)}}}''' || }}} || '양심선언'은 네오 클래시컬 성향의 곡으로, 북유럽식 메탈의 색채도 지닌 곡이다.[* 실제로 호평을 받은 BURRN의 리뷰에서도 3집 앨범 중 Stratovarius를 연상하게 하는 곡이 있다는 언급을 하는데, 이곡으로 추정된다.] 김경호가 작사한 곡이기도 하며, 질주감 있는 빠른 박자와 김경호의 샤우팅 보컬이 빛나는 곡이다. 김경호와 친분이 있는 [[박완규]]가 음원의 백그라운드 보컬로 참여했다. 현재 김경호가 원키로 부르고 있는 얼마 안되는 노래 중 하나이다. 2016년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팬들의 요청으로 불러주었다가 6년 만에 2022년 서울 콘서트에서 오랜만에 불러주었다. === 미완의 사랑(그녀가 편지를 받았을까) === ||<-2> '''미완의 사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3jhlc_e58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HC1m2FnIfg)]}}} || ||<-2> {{{#!folding [ 가사 ] ||
'''미완의 사랑''' || || 난 기다려야해 아직 이 밤이 남아있는한 그녀는 지금 오는 길일거야 조금 늦을 뿐 나를 위해서 모든걸 버리고 오래 전 우린 사랑했었지 상처만 남긴 채 헤어졌었지만 다시 만났을 때 우린 서로 다른 사람이 곁에 있던 거야 이미 누군가 하지만 우린 첫눈에 알아보았었지 아직도 끝나지 않은 우리의 서글픈 사랑을 그런 나의 마음을 적어서 그녀에게로 보냈던 거야 우리의 사랑만을 위해서 모든걸 다 버리고 내게 올 수 있다면 오늘 하루동안 나 여기 있겠다고 슬픈 눈으로 날 바라보며 그녀가 말했지 너무 늦었다고 이미 그녀에겐 남은 생을 함께하기로 약속되어있는 그가 있기에 하지만 우린 첫눈에 알아보았었지 아직도 끝나지 않은 우리의 서글픈 사랑을 그런 나의 마음을 적어서 그녀에게로 보냈던 거야 우리의 사랑만을 위해서 모든걸 다 버리고 내게 올 수 있다면 오늘 하루동안 나 여기 있겠다고 || }}} || '미완의 사랑'은 라이브 영상은 많지 않지만 MBC 음악캠프에서 부른 적이 있고, SBS 인기가요에서 최고 16위까지 오른 적이 있는 3집 앨범의 후속곡이다. 최고음은 원키로 '''3옥타브 도 #(C # 5)'''로 다른 곡들에 비해서 높지는 않지만 중음역대가 많고 상당한 호흡이 필요하여 난이도가 높은 곡이다.[* 실제로 김경호도 이 곡을 라이브로 부를 때는 1키를 낮춰서 부를 만큼 난이도가 높다.] 2013년 전국투어 콘서트에서 몇번 부른 적 있으며, 8년만에 2021년 락크리스마스 슈퍼더블에서 다시 불러주었다. === [[영원의 성(城) (슬픈 영혼의 아리아2)]] === ||<-2> '''영원의 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FzOkHNi24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WcBW59FDqo)]}}} || ||<-2> {{{#!folding [ 가사 ] ||
'''영원의 성''' || || 어둠에 잠들은 영원의 성에서 천년이 지나가도 끝나지 않을 그리움으로 루루루 니가 날 부르면 내가 깨어나지 하늘너머 저세상 아무리 먼곳 니가 살아도 루루루 니가 눈물을 흘리면 내겐 꽃으로 피고 내가 또 눈물지면 너의 세상엔 * 비가되어 비가되어 야윈 너의 얼굴에 눈물을 씻어주고 바람되어 바람되어 지친 너의 그림자 어깨를 감싸줄께 나 다시 태어나 너를 찾아가도 이미 너는 날 찾아 저 세상 멀리 떠난 후겠지 루 루 루 ** 별이되어 눈이 되어 ** 기다릴께 기다릴께 다른 운명이 와도 너오는 날까지 사랑해도 사랑해도 다시너를 잃어도 끝나지 않을사랑 || }}} || '영원의 성(城)' 의 부제는 '슬픈 영혼의 아리아2' 인데, 2집의 '슬픈 영혼의 아리아' 보다 더 처절해진 것이 특징. 3집의 표지에 바로 이 '영원의 성'으로 추정되는 성이 그려져 있다. 후반부에 코러스로 깔리는 샤우팅이 압권으로, 최근의 김경호가 샤우팅 음역대를 다시 되찾고 나서 자주 부르는 곡이기도 하다. 그리고 2016년 3윌 19일 [[불후의 명곡]]에 출연해서 선보였던 '초우' 무대에서, 무려 이 곡의 후반부 1키 (반음) 올라간 샤우팅 애드리브 부분이 매쉬업 되었다. === Exodus === ||<-2> '''Exodu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cxcqlCEa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mdzBUM2CF0)]}}} || ||<-2> {{{#!folding [ 가사 ] ||
'''Exodus''' || || sound of city never be quiet Ceaseless Crime full of desires Keep on moving if you wanna stay alive 워~~~~~~예이 예~~~~~ 어두운 빌딩 숲 속에 가려진 모습 아무런 생각도 없이 마주치는 사람들 똑같은 유니폼으로 자신을 가꾸지.~예 표정 없이 거리를 걸으며 내일을 또 맞이하겠지. 이미 나에게 주어진 시간들 그냥 이대로 보낼 수는 없어 *sound of city never be quiet 이젠 어딘 가로 떠나고 싶어 Ceaseless crime full of desires. 회색 빛 이 도실 (이제) 벗어나려 해 숨막힌 생활들 속에 여유가 없고 멈추지 않는 시계처럼 내 인생도 돌아가겠지 시간은 나의 목을 조르지만 그냥 이대로 보낼 수는 없어 || }}} || 'Exodus'는 기타리스트 유주형이 작곡한 팝메탈 곡으로, 유주형이 언급한 바에 따르면 기획사에서 LA메탈 느낌으로 써달라는 부탁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imkyungho&no=617164|출처]] 2016년 비밀회담 돌발 콘서트에서부터 셋리스트에 포함되고 있다. 참고로 전성기 때의 김경호는 이 노래를 1키 올려서 불렀다. === 베수 비우스 === ||<-2> '''베수 비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gFHcfoMCr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khOET7oEtA)]}}} || ||<-2> {{{#!folding [ 가사 ] ||
'''베수 비우스''' || || '''{{{#blue 그}}} {{{#green 후}}}{{{#blue 로}}} {{{#green 잊}}}{{{#gold 혀}}}{{{#green 져}}} {{{#blue 버}}}'''린 '''{{{#blue 동}}}{{{#green 화}}} {{{#blue 속}}}{{{#green 의}}} {{{#gold 얘}}}{{{#green 기}}} {{{#blue 같}}}{{{#green 은 그}}} {{{#blue 일을 떠}}}{{{#green 올}}}{{{#gold 려}}} {{{#green 보}}}{{{#blue 았나}}}''' '''{{{#blue 도}}}{{{#green 시}}}{{{#blue 를}}} {{{#green 다}}} {{{#gold 삼}}}{{{#green 켜}}} {{{#blue 버}}}'''린 '''{{{#blue 재}}}{{{#green 앙}}}{{{#blue 이}}} {{{#green 남}}}{{{#gold 겨}}}{{{#green 준}}} {{{#blue 불}}}{{{#green 씨 속}}}{{{#blue 에서 그 무}}}{{{#green 엇}}}{{{#gold 을}}} {{{#green 찾}}}{{{#blue 았나}}}''' 이'''{{{#blue 미}}}''' 흘'''{{{#green 러}}}{{{#blue 버린}}}''' 시'''{{{#blue 간}}}'''들 '''{{{#green 속}}}{{{#blue 에서}}}''' 남'''{{{#blue 겨}}}'''진 '''{{{#green 건}}}''' '''{{{#blue 잿}}}{{{#green 더}}}{{{#gold 미 뿐}}}{{{#green 이}}}{{{#blue 지만}}}''' 타'''{{{#blue 락}}}'''된 '''{{{#green 의}}}{{{#blue 식들}}}''' 버'''{{{#blue 려}}}'''진 '''{{{#green 도}}}{{{#blue 덕이}}}''' '''{{{#green 잉}}}{{{#gold 태한}}} {{{#blue 이}}}{{{#green 미}}} {{{#gold 예견}}}{{{#green 된}}} {{{#blue 재}}}{{{#gold 난}}}{{{#green 인}}} {{{#blue 거}}}{{{#green 야}}} {{{#red 워—}}}''' '''{{{#green Vesuvi}}}{{{#blue us}}} {{{#green Pom}}}{{{#gold peii}}} {{{#blue of ash}}}''' '''{{{#blue 잊}}}{{{#green 혀}}}{{{#gold 진}}} {{{#orange 그}}} {{{#gold 도시}}}{{{#green —는}}}''' '''{{{#green 빗나}}}{{{#blue 간}}} {{{#green 우}}}{{{#gold 리}}} {{{#blue 들의}}}''' '''{{{#blue 또}}}{{{#green 다}}}{{{#gold 른}}} {{{#orange 모}}}{{{#gold 습인}}}{{{#green — 거}}}{{{#gold 야}}}''' 이'''{{{#blue 미}}}''' 흘'''{{{#green 러}}}{{{#blue 버린}}}''' 시'''{{{#blue 간}}}'''들 '''{{{#green 속}}}{{{#blue 에서}}}''' 남'''{{{#blue 겨}}}'''진 '''{{{#green 건}}}''' '''{{{#blue 잿}}}{{{#green 더}}}{{{#gold 미 뿐}}}{{{#green 이}}}{{{#blue 지만}}}''' 타'''{{{#blue 락}}}'''된 '''{{{#green 의}}}{{{#blue 식들}}}''' 버'''{{{#blue 려}}}'''진 '''{{{#green 도}}}{{{#blue 덕이}}}''' '''{{{#green 잉}}}{{{#gold 태한}}} {{{#blue 이}}}{{{#green 미}}} {{{#gold 예견}}}{{{#green 된}}} {{{#blue 재}}}{{{#gold 난}}}{{{#green 인}}} {{{#blue 거}}}{{{#green 야}}} {{{#red 워—}}}''' '''{{{#green Vesuvi}}}{{{#blue us}}} {{{#green Pom}}}{{{#gold peii}}} {{{#blue of ash}}}''' '''{{{#blue 잊}}}{{{#green 혀}}}{{{#gold 진}}} {{{#orange 그}}} {{{#gold 도시}}}{{{#green —는}}}''' '''{{{#green 빗나}}}{{{#blue 간}}} {{{#green 우}}}{{{#gold 리}}} {{{#blue 들의}}}''' '''{{{#blue 또}}}{{{#green 다}}}{{{#gold 른}}} {{{#orange 모}}}{{{#gold 습인}}}{{{#green — 거}}}{{{#blue 야}}}''' '''{{{#green Vesuvi}}}{{{#blue us}}} {{{#green Pom}}}{{{#gold peii}}} {{{#blue of ash}}}''' '''{{{#blue 우}}}{{{#green 릴}}} {{{#gold 쳐}}}{{{#orange 다}}}{{{#gold 보잖}}}{{{#green —아}}}''' '''{{{#green Escape}}} {{{#blue a}}} {{{#green dis}}}{{{#gold as}}}{{{#blue ter now}}}''' '''{{{#blue 이}}}{{{#green 젠}}} {{{#gold 깨}}}{{{#orange 달}}}{{{#gold 아야}}}{{{#green — 만}}} {{{#gold 해}}}''' || || '''{{{#blue 2옥타브 솔#(G#4)}}}''' '''{{{#green 2옥타브 라#(A#4)}}}''' '''{{{#gold 2옥타브 시(B4)}}}''' '''{{{#orange 3옥타브 도#(C#5)}}}''' '''{{{#red 3옥타브 레#(D#5)}}}''' || }}} || '베수 비우스'는 암울한 가사에 김경호 특유의 금속성 보컬이 곁들여진 웅장한 느낌의 네오클래시컬 성향의 곡으로, 마치 악마 같은 느낌이라는 평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작곡가인 유주형이 공들여 만들었다는 말에 걸맞게 기타 연주도 일품인 곡이다. 2019년 언플러그드 돌발 콘서트에서 어쿠스틱하게 편곡해서 불러줬었다. 참고로 전성기 김경호는 이 곡을 라이브할 때 키를 1키 '''올려서''' 불렀다! ===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 === 타이틀곡인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는 김경호가 처음 듣자마자 꽂힌 곡이라고 알려져있다. 2집의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과 '[[금지된 사랑(노래)|금지된 사랑]]'에 이어서 이 곡마저 가요 차트에서 상위권에 오르면서 그는 승승장구를 이어갔다. 클라이막스가 시작되면서 갑자기 음이 도약하는 것이 특징.[* 그 어디에 있든지 우리 약속해~ '''저 하늘이''' 나를 사랑해~ 일반인이 노래방에서 부르기엔 음이탈이 나기가 쉬운 부분이다.]. 전작인 2집의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과 '슬픈 영혼의 아리아'의 뒤를 이은 4단 고음이 인상적이다(솔♯-도-레♯-솔♯). 샤우팅 후에 후렴이 3번이나 반복되기 때문에 노래방에서 부르다가 지쳐서 완창을 못했다는 사람들의 증언이 자주 들린다. ~~물론 중반부부터 포기하기 시작했다는 증언도 간간이 들린다~~ ~~그럴 만도!!!~~ 이곡의 솔로를 연주한 기타리스트가 무려 함춘호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 === Higher To The Top === ||<-2> '''Higher To The To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CETJT6TFx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cibv-iMm8I)]}}} || ||<-2> '''Higher To The Top (2019년 리메이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f2AuY-yJ6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M97Uj0n0s)]}}} || ||<-2> {{{#!folding [ 가사 ] ||
'''Higher To The Top''' || || come to / my world you'll see / thereal hell Stuggle / is over Let me have your Soul 아무도 나를 지켜보진 않아 내 마음대로 다 할 수도 있어 법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아 피해 가는 길을 조금 알고 있잖아 니가 가는 그 길을 쉽게 가게 할 수도 있어 (you should listen to my world) 그건 나도 알고 있었어 하지만 그게 나의 길은 아니야 니가 갖고 싶은 것 쉽게 갖게 할 수도 있어 (you just listen to my want) 이제 나를 제발 내버려둬 내속에서 사라져줘~ *higher to the top 올라갈 때 까지 가식과 위선 갖고 갈 순 없어 higher to the top 어둠 속에서도 밝은 빛 따라 변함없이 갈 거야(you are just stupid loser) 뒤돌아보면 아쉬움 따르고 앞은 나에게 거칠게 오지만 너의 그림자 따라 갈수는 없어 어떤 실수로 날 망칠 순 없잖아 나의 말에 귀 기울여봐 작은 양심만 버리면 돼 그건 내가 원하는 대로 살아가는 길이 아니야 고생하지 않아도 부와 명예를 가질 수 있어 너의 검은 유혹 따위에 이제 흔들리지 않아 || }}} || 'Higher To The Top'에서 김경호와 같이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최효섭' 씨로 김경호의 찰진 랩(?)을 들을 수 있는 노래며 이 김경호표 랩(?)은 다음작인 '버려'에서도 엿볼수 있다. 한때 외설적이고 퇴폐적인 가사내용이라는 이유로 방송금지곡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악마가 악마의 손길로 쾌락과 범죄의 길로 유혹하는 듯한 가사내용이라 그런듯~~ 이는 2008년에 들어서야 풀렸다고 한다. 이 곡은 2019년 '그대는 아직도 나를 설레게 한다' 앨범에서 리메이크되어서 선보여졌다.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pU_Zz40RaU)]}}} || || '''나의 사랑 천상(天上)에서도 [MV]''' || ==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호3집 BURN.jpg|width=100%]]}}} || || '''일본 Burn! 잡지''' || || {{{#!folding [ 해석 ] 현지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김경호의 3집. 이야~ 멋지다! 질주감 있는 메탈 곡부터 진한 발라드까지 대부분의 곡이 훅이 있는 멜로디로, ⑧⑪ 이외에는 웬만한 레벨을 넘는 곡만 있다. 이것은 대단한 일이다. 백사운드의 연주도 훌륭하고, 곳곳에 등장하는 네오 클래식한 G솔로가 매우 우수하다. 가장 일품인 것은 본인의 보이스인데, 그의 노래는 아카오 카즈시게와 [[페어 워닝(밴드)|토미하트]]와 같은 느낌. 성량, 음역, 표현력 모두 세계 클래스... 아니 HM/HR(Heavy Metal/Hard Rock) 싱어로서는 세계 탑 클래스이다. 때때로 발라드는 가요 같은데, 그것이 또 우리 아시아인의 피에 호소하는 것이다. 가사는 한국어. 역시 락는 영어야만 하는 거냐고? 진정한 음악 팬이라면 당연히 그러지 않을 것이다. (후지키)[* 의역] }}} || 일본의 유명 헤비메탈 잡지에서 100점 만점 중 91점을 받았다. == 활동 == ||<-4>
''' 00:00:1998 KYUNG-HO KIM 음악방송 활동''' || || '''날짜''' || '''프로그램''' || '''링크''' || '''비고''' || || 1998.05.30 || MBC 음악캠프 || [[https://youtu.be/zhiEMdIZ2KI|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6.07 || SBS 인기가요 || [[https://youtu.be/n0zaulKtDek|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6.13 || MBC 음악캠프 || [[https://youtu.be/E7qL-iO3vo4|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6.20 || MBC 음악캠프 || [[https://youtu.be/Nnc848Ys6mQ|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6.21 || SBS 인기가요 || [[https://youtu.be/Dv7kNJZqfNc|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6.27 || [[이소라의 프로포즈]] || [[https://youtu.be/e_IFZCtebd4|나사천 외 2곡]] || || || 1998.07.04 || KMTV 뮤직탱크 || [[https://youtu.be/ycjcov_a7X8|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7.11 || MBC 음악캠프 || [[https://youtu.be/kIy3RE-C4v4|꿈을 찾아 떠나]] || || || 1998.07.13 || 일요예술무대 || [[https://youtu.be/OUfXSSs9oW|나사천 외 3곡]] || || || 1998.07.18 || KCTV 제주 세계섬문화축제 || [[https://youtu.be/CwD_nwMTm10|나사천 외 5곡]] || || || 1998.08.02 || SBS 인기가요 || [[https://youtu.be/zaGnyqjxJmY|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08.08 || KMTV 뮤직탱크 || 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2> 1998.08.15 || MBC 음악캠프 || [[https://youtu.be/iODkw8iKEhI|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MBC 강변가요제 || [[https://www.youtube.com/watch?v=xGFbg9vL67E|나사천]] [[https://www.youtube.com/watch?v=RYyP-P0wRCE|꿈찾떠]] || || 1998.08.22 || [[이소라의 프로포즈]] || [[https://youtu.be/3KeQjqzQUNQ|나사천 외 4곡]] || || || 1998.08.31 || 수요예술무대 || [[https://youtu.be/2IJoMJg1KsI|나사천 외 2곡]] || || || 1998.09.05 || MBC 음악캠프 || [[https://youtu.be/dHC1m2FnIfg|미완의 사랑]] || || || 1998.09.24 || KMTV Mvio Contest || [[https://youtu.be/vNaIBubnf8Q|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10.17 || MBC 대학가요제 || [[https://youtu.be/U8SLkJXT1bg|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11.01 || SBS 사랑의 콘서트 || [[https://youtu.be/ZSGtRkEU_8w|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12.05 || 대한민국영상음반대상 || [[https://youtu.be/9JM7x8E-54w|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본상 수상 || || 1998.12.06 || KMTV 가요대전 || [[https://youtu.be/qfwHuIOy1YY|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인기가수상 수상 || || 1999.12.13 || MBC 세계인권선언 50주년 기념 콘서트 || [[https://www.youtube.com/watch?v=9tRvMsgWggs|나사천+꿈을 찾아 떠나]] || || || 1998.12.18 || 서울가요대상 || [[https://youtu.be/ECPmISKp6g4|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10대 가수상 수상 || || 1998.12.27 || SBS 가요대전 || [[https://youtu.be/AezJshNKYBg|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특별상 수상 || || 1998 || Mnet 리듬천국 || [[https://youtu.be/LWPToQTJSgk|나의 사랑 천상에서도]] || || || 1998 || KMTV 골든힛트송 || [[https://youtu.be/Pr7rtY2PK38|Shout]] || || [[분류:김경호/음반]][[분류:1998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