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005.1999.06)] ||<-2> {{{+2 '''005.1999.06'''}}}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5 1999 06 앨범 아트.jpg|width=100%]]}}} || ||<-2> '''5th Album by [[엄정화|{{{#58575D Um Jung-hwa}}}]]''' || ||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1999년]] [[6월 17일]] || || '''러닝타임''' || 42:13 || || '''장르''' || [[댄스 음악]], [[테크노]] || || '''레이블''' ||<|2> 오감엔터테인먼트 || || '''발매사''' || || '''기획사''' || [[키이스트]] || || '''곡 수''' || 11곡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9년]] [[6월 17일]]에 발매된 [[엄정화]]의 5번째 정규 음반. 5집 '005.1999.06'(대표곡 '''몰라''', '''FESTIVAL''', '''SCARLET''')에서는 3집과 4집에서의 연전연승으로 솔로 여가수로서의 입지를 확실히 다진 엄정화가 당시 테크노 트렌드에 발 맞추어 귀마개에 물이 들어가 있는 일명 '''물병헤드폰'''을 쓰고 나오며[* 패션 디자이너 [[이상봉]]이 디자인한 것이라고 한다. 걸그룹 디바도 이상봉의 패션쇼를 본 후는 이를 사용하려 했지만 엄정화가 먼저 하고 나와 못 했다고 한다. 음반재킷에서는 이를 착용했다.][* [[아는 형님]] 엄정화편에서 나온 헤드셋이 바로 이 헤드셋이다.] 패션 아이템으로 까지 승화시키는 등 대 히트를 기록하였으며, 음반 판매량은 '''엄정화 역대 앨범 사상 최고 수준인 55만장'''으로 기록되었을 정도로 '''엄정화는 이 앨범에서 인기도의 정점을 찍게 되었다.''' 활동 역시 역대 앨범 중 가장 길게 활동하기도 했다. 몰라, 페스티벌, 스칼렛에 이어 특별무대로 리모콘과 매니큐어까지 선보였다. == 곡 목록 == || {{{#58575D '''트랙'''}}} || {{{#58575D '''곡명'''}}} || {{{#58575D '''작사'''}}} || {{{#58575D '''작곡'''}}} || {{{#58575D '''재생시간'''}}} || || '''01''' || '''몰라''' ||<-2> [[김창환(작곡가)|김창환]] || 3:41 || || '''02''' || 유리의 성 || 최희진 || [[윤일상]] || 3:50 || || '''03''' || '''[[FESTIVAL(인생은 아름다워)]]''' ||<-2> [[주영훈]] || 4:01 || || '''04''' || 긴 오후 (Featuring by 정재형) || 엄정화 || [[정재형]] || 4:25 || || '''05''' || 마지막 기회 || [[박창학]] || [[윤상]] || 3:21 || || '''06''' || 리모콘과 매니큐어 || 최희진 || 윤일상 || 4:00 || || '''07''' || '''Scarlet''' ||<-2> [[주영훈]] || 3:45 || || '''08''' || 내 안의 그대 (Featuring by 박준형 of god) ||<-2> 조규만 || 3:36 || || '''09''' || Forever || 이승호 || [[이경섭|Papertonic]] || 4:00 || || '''10''' || 나눌 수 없는 사랑 || 김혜선 || 황세준 || 4:10 || || '''11''' || Spy || 윤사라 || 신인수 || 3:40 || === [[몰라]] === [youtube(lWCn9ulXoxo)] ==== 개요 ==== [[김창환(작곡가)|김창환]]의 곡으로, 5집의 타이틀곡이다. 3집과 4집에서 성공을 거두었던 [[주영훈]]의 곡이 아닌 [[김창환(작곡가)|김창환]]의 곡을 타이틀로 해서 화제가 되었으며, 참고로 엄정화는 김창환에게 이 곡을 받기 위해 2년 가까이 삼고초려를 했을 정도로 매우 공을 들였다고 한다. 참고로 히든 싱어 5에 [[박미경]]이 나왔을 때 밝혀진 바로는 원래 엄정화가 집착을, 박미경이 '몰라'를 부르고 싶어했다가 김창환의 설득으로 [[다른 가수가 부를 예정이었던 노래|둘의 노래가 바뀌었다고 한다.]] 특히 이 당시에는 그녀가 이미 유명세를 떨치던 톱스타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삼고초려하는 것 뿐만 아니라, 김창환의 지시대로 당시 거의 무명이었던 가수 [[김태영]][* 1999년 클론의 3집 객원보컬로 유명해지며 가수로서도 알려지게 된다.]의 지도까지 성실히 받는 등 정성을 쏟아준 덕분에 김창환도 상당히 흡족해했다는 후문이다. 가사를 보면 앞서 김창환이 김건모, 홍경민을 통해 히트시킨 [[잘못된 만남]], [[흔들린 우정]]과 연계되는 곡이 아니냐는 소릴 들을 만큼 앞선 두 곡의 화자를 뒤흔든 여성이 화자로 나오는 듯한 느낌을 줄 정도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곡을 만든 사람도 '또 다른 내 친구' 김창환이었으니... 여담으로 엄정화가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5집으로 컴백했을 때 주위 사람들이 "타이틀곡 제목이 뭐에요?"라고 물어보면 난감했다고 얘기한 적이 있다. "'''몰라'''요."라 [[1루수가 누구야|답해야 했기 때문이라고.]] ==== 가사 ==== || 어떻게 말해야 할까 다른 사람이 생겼다고 언제나 나만을 위해 나를 아껴준 그대에게 충격이 클거야 내게 실망을 하면 배신감도 느끼겠지 하지만 내 맘이 이미 변해버린 건 나도 잘 몰라 내가 왜 이러는지 몰라 알 수가 없어 그렇게 나를 사랑해줬는데 왜 내가 흔들리는지 그대가 싫어진 것도 아닌데 정말 난 몰라 알 수가 없어 도대체 사랑이 어떤 거길래 나만을 아껴주었던 그대를 왜 내가 떠나는 건지 나도 모르겠어 너무도 할 말이 없어 그저 날 미워하라 했지 어쩌면 나 같은 여자 빨리 잊는 게 날 거라며 하지만 그대는 나의 손을 잡으며 행복 하라고 말했지 부족한 자신을 이해해달라면서 매력이 없는 자신의 탓이라며 몰라 알 수가 없어 그렇게 나를 사랑해줬는데 왜 내가 흔들리는지 그대가 싫어진 것도 아닌데 정말 난 몰라 알 수가 없어 도대체 사랑이 어떤 거길래 나만을 아껴주었던 그대를 왜 내가 떠나는 건지도 나도 모르겠어 정말 난 몰라 알 수가 없어 그렇게 나를 사랑해줬는데 왜 내가 흔들리는지 그대가 싫어진 것도 아닌데 정말 난 몰라 알 수가 없어 도대체 사랑이 어떤 거길래 나만을 아껴주었던 그대를 왜 내가 떠나는 건지도 나도 모르겠어 || ==== [[펌프 잇 업]] ==== ||<:> 최초 수록 버전 || [[펌프 잇 업 The 1st Dance Floor]] || ||<:> 최후 수록 버전 || [[Pump it Up: The Premiere 2]] || ||<:> 아티스트 || [[엄정화]] || ||<:> BPM || 129.85 || ||||<:><#DDDDDD> 레벨 데이터 ※[[Pump it Up: The Premiere 2|Premiere 2]] 기준 || ||<:> 난이도 ||<:> 레벨 || ||<:> Normal ||<:> 3 || ||<:> Freestyle ||<:> 3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몰라, version=37, paragraph=s-3.2)] === [[FESTIVAL(인생은 아름다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ESTIVAL(인생은 아름다워))] === Scarlet (스칼렛) === [youtube(_0nOYDoJBZg)] === 리모콘과 매니큐어 === [youtube(ogCbkABTDOI)] 앞선 메인 활동곡 3곡이 [[주영훈]]의 작품이라면 이 수록곡은 [[윤일상]]이 작곡했으며 작사는 2010년 당시 [[태진아]] 부자에게 고통을 당했다며 폭로를 했던 이슈인물이자 90년대 히트곡 다수를 작사했던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D%9D%AC%EC%A7%84_(%EC%9D%8C%EC%95%85%EC%9D%B8)|최희진]]이다. == 관련 문서 == * [[엄정화/가수 활동]]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엄정화/가수 활동, version=65)] [[분류:엄정화]][[분류:1999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