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함선)] [[파일:b50f76529b9ec39d5c634e9032ee7a62.png]] [목차] == 개요 == 075형 강습상륙함은 [[중국 해군]]의 [[강습상륙함]]이다. [[NATO 코드명]]은 유선급(Yushen-class). 중국 해군은 2007년부터 취역시킨 [[071형 상륙함]]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헬기 운용능력이 제한되는 [[LPD]]형 상륙함인 071형만 가지고는 대규모 [[상륙작전]]을 진행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그리하여 중국 해군은 대규모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강습상륙함을 취역시키려고 계획했고, 그 결과가 바로 075형이다. == 제원 == ||<-3> '''{{{+1 {{{#ffff00 075형 강습상륙함}}} }}} [br] {{{#FFFFFF 075型两栖攻击舰 }}}''' || ||<-2> '''만재배수량''' ||35,500~40,000톤[*추정 공개된 사진 등의 자료 분석 기준] || ||<-2> '''길이''' ||237m[*추정] || ||<-2> '''폭''' ||43m[*추정] || ||<-2> '''흘수선''' ||8.5m[*추정] || ||<-2> '''기관 체계''' ||16PC2-B6 16기통 중속 디젤엔진 4개 || ||<-2> '''최고속도''' ||23노트[*추정] || ||<-2><|2> '''무장''' ||[[H/PJ-11 1130식 CIWS]] 2기 || ||[[HQ-10]] 2기 || ||<-2> '''함재기''' ||헬기 30여대[* [[Z-8L]] 10기, [[Z-20]] 20기로 추정] || == 상세 == 헬기 운용과 육전병력 및 차량을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고 주력으로 Z-8J 헬기가 운용될 예정이며 이외에 소형 회전익 [[UAV]]의 탑재를 시험중인 것으로 추정중이다.[[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0/07/was-a-vtol-uav-spotted-aboard-chinas-type-075-lhd/|#]] 함재기용 엘리베이터 배치는 초창기에는 양현측으로 낼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건조가 완료된 함정은 [[후안 카를로스 1세급 강습상륙함]]처럼 앞과 뒤쪽에 한개씩 나있는 형상이다. 2019년 9월 25일 초도함이 진수되었다. 총 3척 건조예정이다. 중국 해군의 북해(서해 관할), 동해(동중국해 및 대만해협 관할), 남해(남중국해 관할) 함대에 1척씩 배치될 예정. 그러나 2020년 4월 11일에 큰 화재가 발생해 선체에 피해를 입었다는 보도가 올라왔다. 화재 당시에 연기가 많이 올라왔기 때문에 향후 취역일정에 큰 차질이 발생하거나, 열변형이 심하다고 판단될 경우 폐함처리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으나 화재 진압에 성공하여 취역일정에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그로부터 10여일 후인 4월 22일 2번함의 진수식이 거행되었다. 1번함의 진수 후 1년만이다. 8월 5일부터 23일까지 18일간의 시운전 일정을 마치고 정박 장소인 상하이 후동 중화 조선소로 복귀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38706?sid=104|#]] 2021년 1월에도 진수식을 가졌고, 총 3척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173101?sid=104|#]] 2021년 9월 11일 중국 CCTV 및 러시아 여러 통신사 공식 보도에 의하면 최근 러시아에 있는 Ka-52 앨리게이터 공격 헬리콥터 제조 공장을 방문하여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헬리콥터 건쉽 중 하나"로 묘사된 헬리콥터의 성능에 대한 자세한 보고서를 제공 했으며, 신형 Type 075 LHD 4만톤급 강습상륙함에 탑재할 WZ-10이나 WZ-19 계열의 헬기가 경량급이라 항속거리가 짧아서 작전수행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Ka-52의 해상형 버전인 Ka-52K Katran 또는 Ka-52M 버전 공격 헬리콥터 36대를 미화 2천만 달러 이상 규모로 대량 주문을 고려 하고 있다고 보도 했다. 계약이 체결되면 러시아는 장비 판매로 인한 이익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을 통해 내수용 모델의 도입 비용도 절감하게 된다. 곧 러시아 해군은 Ka-52M 및 Ka-52K 헬리콥터로 무장할 신형 24,000톤급 [[프리보이급 강습상륙함]]을 인수 받게 될 것이며 정부 조달 비용이 많이 절감 될 것이라고 한다.[[https://www.china-arms.com/2021/09/075-lhd-to-have-ka52-helicopters/|#]],[[https://actualnews.org/exclusive/408335-sohu-kitaj-mozhet-zakupit-v-rf-vertolety-ka-52k-dlja-desantnogo-korablja-tip-075.html?utm_source=yxnews&utm_medium=desktop|#]], [[https://navalpost.com/china-to-procure-36-ka-52k/|#]] 맨 뒤 중앙에 엘리베이터를 잘못 탑재해서 사실상 헬기모함으로 전락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최신 수직 이착륙 전투기는 배기열이 강한데 맨 뒤 중앙에 있는 엘리베이터 때문에 수직 착륙만 가능해 무장을 제대로 운용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에는 수직 이착륙 전투기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헬기모함으로 전락했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중국이 [[J-18]]과 J-26이라는 수직 이착륙 전투기를 개발한다는 소문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소문에 불과하고 설사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이들 전투기들이 사용하게 되는 강습 상륙함은 075형이 아니라 건조 예정이라는 [[076형 강습상륙함]]이 유력하다. 즉 '''075형은 처음부터 헬기모함으로 건조된 함선이다.''' === 후속함 계획 === 현재 075형은 시대에 뒤쳐졌다는 비판[[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pn=1&num=5830|#]]이 나옴에 따라 후속함설계는 차기 항모인 [[003형 항공모함]]에 들어갈 기술을 적용해 정규 항모처럼 '''EMALS'''(전자식 [[캐터펄트]])와 고정익 [[UCAV]]가 탑재될 예정이라 한다.[[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pn=1&num=5850|#]] 그리고 2023년 2월 1일 중국 후동중화조선소의 프로젝트 번호 'H1856A'로 티타늄 합금 흡기 및 배기 배관 등 075형 강습상륙함의 후속함급인 [[076형 강습상륙함]]에 대한 구매 소요가 올라왔다. 다만 075형에 비해 큰 차이를 가질 가능성을 크지 않으며 EMALS와 고정익 UCAV만 탑재되고 고정익 전투기는 탑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https://m.weibo.cn/status/MruSaDgCB?jumpfrom=weibocom|#]] == 동형함 목록 == ||<-8> {{{#ffff00 '''075형 강습상륙함'''}}} || || '''순번''' || '''함번''' || '''함명''' || '''조선소''' || '''진수''' || '''취역''' || '''소속''' || '''상태''' || || 1 || 31 || [[하이난]](海南)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9년 9월 25일 || 2021년 4월 23일 || [[남해함대|남부전구해군]] 상륙함6지대 || 취역 || || 2 || 32 || [[광시]](广西) || 후동 중화 조선소 || 2020년 4월 22일 || 2021년 12월 26일 || [[동해함대|동부전구해군]] 상륙함5지대 || 취역 || || 3 || 33 || [[안후이]](安徽) || 후동 중화 조선소 || 2021년 1월 29일 || 2022년 10월 1일 || [[동해함대|동부전구해군]] 상륙함5지대 || 취역 || [각주]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강습상륙함]][[분류:중국군/군함]][[분류:2019년 공개]][[분류:202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