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닥터(닥터 후)의 생애)] [include(틀:1대 닥터의 컴패니언)] ||<-2> '''[[닥터후/등장인물|{{{#ffffff 닥터후의 등장인물}}}]]'''[br]'''{{{#fff {{{+1 1대 닥터}}}[br]The First Doctor}}}'''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st Doctor..jpg|width=100%]]}}} || || '''배우''' || '''[[윌리엄 하트넬]]'''(1963 ~ 1966, 1973) [br] [[리처드 헌델]](1983) [br] 존 구일러[* [[닥터의 날]]에서 잠깐 나오는 1대 닥터의 목소리를 연기하였다.](2013) [br] 마이클 존스[* 1대 닥터의 어린 시절을 맡았다.](2014) [br] [[데이비드 브래들리]](2017 ~ [[빅 피니시]] 오디오[* 1대 닥터의 모험(1st Doctor Adventures, 2017 ~ 2021) 담당.]) [br] 윌리엄 러셀[* [[이언 체스터턴]] 역의 배우.]([[빅 피니시]] 오디오[* 주로 초기 시리즈(Early Adventures)에서 담당]) [br] 피터 퍼브스[* [[스티븐 테일러(닥터 후)]] 역의 배우.]([[빅 피니시]] 오디오[* 주로 동행자 연대기(Companion Chronicles)에서 담당.]) [br] 스티븐 누넌([[빅 피니시]] 오디오.[* 2022년부터 1대 닥터의 모험(1st Doctor Adventures) 담당.]) || || '''성우''' || [[홍진욱]] || || '''출연 기간''' ||<-3> 클래식 시즌 1~3 (1963~1966)[* 월리엄 하트넬이 1대 닥터를 각 시즌 당 모든 시리얼에서 맡던 시기] [br] 클래식 시즌 4 시리얼 1~2[* 1대 닥터가 마지막으로 주연이었던 시즌의 시리얼들] (1966) [br] The Three Doctors[* '''닥터후 역사상 첫 멀티 닥터 에피소드.''' 클래식 시즌 10 시리얼 1에 속한다.] (1972~1973) [br] The Five Doctors[* 20주년 스페셜, 리처드 헌델이 대역을 맡았다.] (1983) [br] [[닥터후/뉴 시즌 5#2.1|The Eleventh Hour]][* 사진으로 잠시 나온다.] (2010) [br] [[닥터후/뉴 시즌 7#s-4.8|The Name of the Doctor]][* 타디스를 훔치는 모습이 나온다. 장면 자체는 The Aztecs에서의 장면을 편집한 것이다.] (2013) [br] [[The Day of the Doctor]][* [[타디스]]의 홀로그램 형태로 잠깐이나마 등장했다.] (2013) [br] [[닥터후/뉴 시즌 8#s-2.4|Listen]][* 어린 시절의 모습이 나온다.] (2014) [br] [[닥터후/뉴 시즌 10#s-4.12|The Doctor Falls]][* 데이비드 브래들리가 대역을 맡았다.] (2017) [br] [[닥터후/뉴 시즌 10#s-5|Twice Upon a Time]][* 2017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에피소드이며 마찬가지로 데이비드 브래들리가 대역을 맡았다.] (2017) || ||<-2> [youtube(sjDFvoRNpOM, height=225)] || ||<-2> 오프닝[* 이 오프닝은 닥터후 50주년 에피소드인 [[The Day of the Doctor]]에서도 나온다.] || ||<-2> [[파일:external/i2.cdnds.net/gaming-doctor-who-legacy-series-5-update-screenshot-3.jpg]] || ||<-2> '''Doctor Who: Legacy'''에서 || || [[파일:An Unearthly Child-19630920RT.jpg|width=100%]] || || 첫번째 닥터의 첫 컴패니언들 [br] '''이언 체스터턴, 바바라 라이트, 수잔 포어먼'''.[* 참고로 그 뒤에는 보이는 대로 한반도 지도.] [br] ''1963년 9월 20일 Radio Times가 촬영'' || || [[파일:The Time Meddler.jpg|width=100%]] || || The Time Meddler의 촬영장에서 [br] '''비키 팰리스터, 스티븐 타일러''' || || [[파일:The Daleks' Master Plan.jpg|width=100%]] || || The Daleks' Master Plan의 촬영장에서 [br] '''브렛 바이언, 카타리나, 스티븐 타일러''' || || [[파일:The Gunfighters-BBC Publicity.jpg|width=100%]] || || The Gunfighters의 촬영장에서 - '''도도 채플릿, 스티븐 타일러''' [br] ''BBC Publicity Photo'' || || [[파일:The Smugglers-BBC Publicity.jpg|width=100%]] || || 어쩌다가 타디스에 탑승한 '''폴리 라이트, 벤 잭슨'''에게 [br] 내부를 설명해주는 닥터 [br] ''The Smugglers, BBC Publicity Photo'' || [목차] == 개요 == [[닥터후]]의 [[주인공]] [[닥터(닥터후)|닥터]]의 1번째 생애이자 역대 최초의 닥터로, 나이는 약 450세.[* 손녀 수잔의 말에 의하면 이 나이는 타임로드 기준으로는 청소년기라고 한다.] 역대 닥터 중 연령 자체는 가장 젊다. 역대 닥터들 중에서도 첫번째 생애임에도 늙은 할아버지의 모습으로 나오는데, [[타임로드]] 종족들이 노화에 400년~900년 정도가 걸린다고 하니, 첫등장할 때부터 이미 "노화"가 된 상태에서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설정상 1대 닥터의 나이는 450~500살 정도이다. 원래 닥터후 제작진은 계속 [[윌리엄 하트넬]]을 닥터로 밀고 나가려고 했지만 배우의 지병과 제작진과의 의견 충돌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재생성 설정을 만들었다. [[패트릭 트로턴]]이 [[2대 닥터]]를 맡으면서 재생성 설정이 정식 설정이 되었다. 1대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다른 닥터들과 만나게 되면 지도자격 위치를 맡거나 더 현명하게 묘사된다. 특히 2대 닥터와 [[3대 닥터]]는 웃기게도 사이가 안 좋기 때문에 1대 닥터가 중재를 해줘야 된다. 실제로, 3명의 닥터 에피소드에서 [[2대 닥터]]와 [[3대 닥터]]가 서로 싸우면서 해결을 위한 어떠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자, 1대 닥터의 반응이 '''내 그럴 줄 알았다.'''라는 반응이었다. 게다가, 다른 [[타임로드]]들도 이러한 점을 알고 있고 이러한 점에서 동의를 하는지, [[2대 닥터]]와 [[3대 닥터]]가 서로가 사이가 안 좋아서 협력을 거부하고 싸우는 상황이 벌어진 것을 알자, 바로 1대 닥터이면 그들을 조절할 수가 있을 것이라고 말을 하면서 [[1대 닥터]]를 [[3대 닥터]]가 있던 시간대로 보냈다. 그런데 다른 [[타임로드]]인 마그누스가 [[2대 닥터]]를 보고 '[[재생성]]을 오랫동안 안 했다'고 못마땅해한 걸 보면 [[재생성]]을 안 하는 건 [[타임로드]]들에겐 부자연스러운 일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17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Twice Upon A Time에서 지난 450여년간 한번도 [[재생성]]을 하지도 않고 한 모습으로 아주 오랫동안 살아온 이유가 나온다. 단순히 고집불통이라서 450여년동안 [[재생성]]을 안 해온 것이 아니라 그도 유약했고, 두려워서였던 것이 드러난다. 당장, 1대 닥터도 Twice Upon A Time에서의 [[12대 닥터]]처럼 [[재생성]]을 거부하고 버티고 있었던 것이다. 사실 초기의 닥터는 '이기적인 [[안티히어로]]'에 더 가까운 인물이었다. 성격이 굉장히 괴짜 할아버지스러우며 고집불통이다[* 실제로도, [[Dimensions in Time]]에서 [[4대 닥터]]도 괴팍한 노인이라고 언급을 한다. ] 노인들의 똥고집 그대로 보면 될 듯. 처음에 같이 동반했던 손녀인 [[수전 포어먼]]의 학교 선생님인 [[이언 체스터턴]]에게 "고약한 늙은이, 당신은 노망났어.", "콱 다리나 부러졌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들어도 "마음대로 욕하라"는 둥 결국엔 자기의 뜻대로 하길 좋아한다. [[http://blog.naver.com/lufie/10114075906|클래식 시즌 1 에피소드 1에서 "난 이 20세기를 참아넘기고 있는 거지 즐기는 게 아니야."라고 말하는 모습이 압권.]] 뿐만 아니라, [[타디스]]에 처음 들어온 이언과 바바라를 보고 "이제 당신에게 무슨 일이 벌어질까?"라고 말을 하면서 문자 그대로 [[입막음]]을 하려고까지 했다. 사실, 이 당시 닥터와 수잔이 [[갈리프레이]]로부터 도망친 것을 생각하면 당연한 행동인데, 이 때 사실 [[타디스]]와 닥터, 그리고 수전의 정체가 사실상 발각된 상황이었고, 만약 이언과 비바라가 동네방네 다 떠들고 다닌다면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있는 1대 닥터와 수잔에게는 그것대로 문제가 생기게 된다. 게다가, 닥터와 수잔과 같은 [[타임로드]] 종족은 전 우주를 통틀어 가장 안정적인 시간여행 기술을 보유한 종족인 것을 생각을 해보면, 당시 닥터가 있었던 시간대에 [[타임로드]] 종족이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었을 테고, 만약 이언과 비버라의 말을 [[타임로드]] 종족들의 귀에 들어가기라고 하면 진짜로 큰일이 났었을 테니[* 당장 [[2대 닥터]]가 왜 [[3대 닥터]]로 [[재생성]]되었는지를 생각을 해보자. [[2대 닥터]]가 [[타임로드]] 종족에게 도움을 요청하자 이때다 싶어 바로 재판을 열었었다. 게다가, [[2대 닥터]]가 자신과 같은 [[타임로드]]인 워 치프를 보고 그야말로 기겁을 하면서 도망치려고 했었다. 이를 생각을 해보면, 1대 닥터와 수잔은 자기들 말고도 다른 [[타임로드]] 종족들에게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다니는 것은 물론, 눈에 안 띄게 행동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1대 닥터가 이런 반응을 보이는 것도 당연하다. 게다가 상대방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의심을 하여 모욕감을 준다거나, 야만인이라는 이유로 돌을 들어 죽이려고 한 적도 있는 등 뉴 시즌의 닥터에게 익숙한 사람들이 본다면 놀라워할 만큼 폭력적이다. 클래식 시즌1 시리얼1 An Unearthly Child에서부터 닥터는 원시인의 머리를 바위로 내리쳐서 부수려 했고, 시리얼2 The Daleks에서는 평화종족이었던 탈을 계속 설득해서 '''오랫동안 평화에 바쳐온 신념을 버리고 학살에 나서라고 부추긴다.''' 그리고 시리얼3 The Edge of Destruction에서는 이언과 바바라를 내쫓으려고 한다. 그것도 '''타디스가 [[타임 볼텍스]] 안에서 비행하는 와중에.''' 게다가, 비공식 에피소드이기는 하더라도 멀티 닥터 에피소드인 [[Dimensions in Time]]에서 [[4대 닥터]]가 1대 닥터와 [[2대 닥터]]를 언급을 할때 "괴팍한 노인"이라고 언급을 하고, 2017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Twice Upon A Time에서도 1대 닥터의 행동에 [[12대 닥터]]는 너 그러는 거 아니라며 당황하는 것은 물론, 제발 좀 이러지 마라라는 반응을 보이고, 두 눈을 감기까지 한 것을 보면 [[2대 닥터]]부터 [[12대 닥터]]까지 1대 닥터의 행동과 성격 자체를 꽤나 흑역사로 여기거나 상당히 부끄러워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다가 점점 캐릭터가 현재 볼 수 있는 영웅적인 인물로 변하게 된 것. 사실 처음 나왔을 때 당시 닥터의 [[타디스]]는 방향 제어 유닛이 고장난 상태였던지라 비물질화할 때마다 언제 어디로 튈지 모를 정도로 고장난 상태였고, 이 점은 1대 닥터도 고칠 수 없어서 무작위적인 시간여행을 해야 했다. 컴패니언들이 이 점에 대해 불평할 때마다 자존심 상해 하는 1대 닥터의 모습이 개그 포인트.[* 한 번은 모험이 끝나고 자신들의 행성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을 보면서 이언 체스터턴이 '적어도 저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디로 향하는지는 알겠지요'라고 얘기했다. 그 말을 들은 1대 닥터는 버럭 화를 내며 다음 도착지에서 내쫓아버린다. 다행히도 지구에는 도착하지만 시기가 프랑스 대혁명.] 이 점 때문에 [[달렉]]의 타임 코리도어를 쓸 수 있을 기회가 생겼을 때 바바라와 이언은 이를 이용해 자신들이 살던 시공간으로 돌아간다. 닥터의 [[타디스]]의 방향 제어 유닛은 클래식 시즌3 시리얼4 The Daleks' Master Plan에서 잠시 고쳐진다. 그 이전 에피소드에서 닥터가 지구 역사를 바꾸려고 했던 수도승 [[타임로드]]의 음모를 막고 수도승의 [[타디스]]를 고장내 그 시간대에 고립시켜 버렸었다. 이에 어떻게든 그 시간대를 탈출한 수도승 [[타임로드]]는 닥터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다시 나타나는데, 복수는 실패하고 닥터는 수도승의 [[타디스]]에 있는 방향 제어 유닛을 빼 와서 자신의 [[타디스]]를 고치는 데에 쓰게 되고 이 때부터 닥터의 [[타디스]]는 원하는 시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질 줄 알았는데 바로 한번 원하는 곳으로 가고 다시 고장. 그후 쭉 [[재생성]]까지 랜덤 여행을 하게 된다. 컴패니언들 중 하나에게 이 [[타디스]]가 사실은 빌린 거라고 털어놓았다.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변해서 자신을 숨기는 카멜레온 서킷[* 그러니까 예를 들어 열대우림에 내렸다면 야자수 모양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을 갖고 있던 [[타디스]]가 어느 날 고장이 나서 [[경찰 박스]]가 되자 '그 모습이 맘에 든다'며 내버려둔 닥터가 바로 이 닥터. 고장난 카멜레온 서킷을 나중에 고치지도 않았다.[* 사실 몇번 고치려고 했으나, 작은 경찰박스가 되거나,착륙할때마다 랜덤으로 모습이 변하다가 다시 경찰박스로 고정되어버렸다. 다만, 1대 닥터도 클래식 시즌 1 시리얼1 An Unearthly Child에서 선사시대에 왔는데도 여전히 [[타디스]]가 경찰박스의 모습을 보고 "왜 저러지?"라고 이상하게 여기는 것과 동시에 골치 아프게 됐네 라는 반응을 보이고, 수잔도 원시시대로 왔는데도 여전히 경찰 전화 박스의 모습으로 고정된 [[타디스]]를 보고 이상하게 여긴 것을 보면 그 모습이 마음에 든 것도 있겠지만, 그냥 그려려니 하고 넘어간 듯 하다. 게다가, 뉴 시즌 7 13화에서 1대 닥터가 [[타디스]]를 훔쳐 달아날 때에도, [[타디스]]는 지금 우리가 아는 경찰 전화박스가 아닌 그냥 둥그런 원통형 모습으로 나오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처음부터 고장이 난 것이 아닌, 우리가 알고 있는 경찰 전화 박스 모양으로 변한 이후에 바로 고장이 난 것으로 보인다.][* 사실 [[타디스]]의 카멜레온 서킷이 고장난 건 [[11대 닥터]]가 실수가 아니라 고의로 고장냈기 때문이다. 그걸 또 1대 닥터는 좋다고 내버려뒀다고. 단, 50주년 기념 코믹스인 'Hunters of the Burning Stone'에서 나온 내용이며, 코믹스는 확장 셰계관에 속하기때문에 드라마 본편의 설정에는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 그와 동시에, 1대 닥터와 셰익스피어는 서로 구면이었는데, 문제는 그 셰익스피어가 외계기술을 유출하려다가 닥터의 형에게 기억삭제를 당했다. 물론, 후비안들이라면 알겠지만 닥터의 그 친형이란 사람이 바로 그 [[어빙 브랙시아텔]] 맞다. 그리고, 1대 닥터는 자신의 손녀인 수잔 포어먼의 학생들이 [[타디스]]의 내부로 들어올 때, 자신의 최초의 컴패니언들로 삼았는데, 그 이유가 '''언론에서 고발을 할까 두려워 납치한''' 것이라는 꽤나 황당하고 어이없는 이유였지만, 1대 닥터가 왜 지구에 있는지를 생각을 해보면 아주 당연한 행동이다. 한 에피소드에서의 언급에 따르면 원래는 타입 50 [[타디스]]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걸 어느 행성에다 버렸다고 한다. == 트레이드 마크 == 첫번째 닥터라서 특정한 트레이드 마크는 없지만 때때로 지팡이, 망토, 검은 페즈나 옛날 영국에서 튀어나온 것 같은 영국 신사 의상에 가끔 외알 안경을 낀다. 또한 손녀인 수전을 늘 데리고 다니는 손녀바보. 그 외에도 1대 닥터 특유의 옷매무새를 잡는 자세도 일종의 트레이드 마크라 볼 수가 있다. [[파일:1대 닥터 옷매무새 잡기.jpg]] 그리고 역대 닥터 중 유일한 흡연가이기도 하며, [[파이프 담배]]를 좋아한다. 이후 [[11대 닥터]]는 [[윈스턴 처칠]]이 옆에서 담배 연기를 피우자 손을 저으면서 싫은 티를 냈고, 나중에 그로부터 시가를 권유받았을 때 거절한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 단 첫 에피소드 이후론 담배를 피우는 장면이 안 나온다.~~~피우다가 원시인한테 잡혀갔으니까~~~ == 등장 및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닥터후/클래식 시즌 1]] [[닥터후/클래식 시즌 2]] [[닥터후/클래식 시즌 3]] [[닥터후/클래식 시즌 4]] 역사 교육용 비슷하게 시작한 시리즈의 초기라서 외계로 다니고 악당들을 무찌르는 일은 그다지 없고 [[시간여행]]을 주로 했다. 정확히 말하면 과거여행은 역사 교육, 미래 여행은 과학교육용이었다고 한다. 한 번 큰 사고를 친 적이 있는데, 로마 황제 [[네로]]를 만났을 때 지도를 불태웠다. 네로는 이걸 보고 영감을 얻어 로마 전체를 태웠다. [[http://blog.naver.com/lufie/10140254380|이때 자신이 로마 대화재의 원인이 되었다는 걸 알자 엄청 좋아하는 1대 닥터의 표정이 압권.]] 그래놓고는 뉴 시즌 4 에피소드 2에서는 10대 닥터가 로마 대화재는 자기랑 상관이 없다고 오리발을 내밀었다. 그리고, 뉴시즌 5 에피소드 13 빅뱅에서 [[11대 닥터]]가 에이미 폰드에게 "마법의 상자를 훔쳐 달아난 늙은이와의 이야기. 네가 이걸 훔친 거라고 말한 적이 있었나?"라고 하는데, 이것은 1대 닥터가 [[타디스]]를 훔칠 때의 일을 언급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2016년 크리스마스 스폐셜에서 그랜트가 무슨 닥터냐고 묻자 자신이 오리지널이며, 다른 이들이 따라했다고 [[12대 닥터]]가 말을 하는데, 이것은 1대 닥터에서 시작하여 [[5대 닥터]]까지, 총 5 명의 닥터들이 출현했던 멀티 닥터 에피소드인 5명의 닥터에서 1대 닥터가 했던 말이다. === 멀티 닥터 시리즈 === [youtube(wJSli5DJxSg)] Three Doctors 에피소드에는 오메가에 의해 어딘가에 갇혀서 등장을 하였고, 2대와 3대에게 조언만 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여기에서 [[2대 닥터]]와 [[3대 닥터]]를 자신의 후배라고 말하는데, 사실 1대 닥터가 있었기에 2대와 3대는 물론, 현재 [[13대 닥터]]가 존재할 수가 있었던 것이니, 1대 닥터가 2대와 3대를 자신의 후배라고 부르는 것도 무리가 아닐 뿐더러, 당연한 사실이다. The Five Doctors 에피소드에서도 등장을 하였는데, 자신보다 연상인 5대 닥터가 젊은 모습이라 철없는 젊은이 취급을 한다. 다만 하트넬이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여기서 1대로 출연한 건 [[리처드 헌델]]. 뉴 시즌 10 12화 막바지에 등장해 크리스마스 특집에 나오는 것을 알렸다. 배우는 2013년 다큐에서 윌리엄을 연기했던 데이비드 브래들리. [[12대 닥터]]가 1대 닥터를 잘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 "난 닥터요."라고 하자 "오, 아니. 아니오. 당신은 그냥 의사(a doctor)겠지만, 나는 닥터(The Doctor)라오."라면서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나서 "말하자면, '''오리지널'''이랄까.."[* 이 대사는 The Five Doctors 에피소드에서 [[5대 닥터]]의 컴페니언들에게 소개했던 말과 동일하다.]라며 폭풍간지를 선사했다. 각종 리액션 영상을 보면 뉴 시즌만 봐온 사람들은 이제야 1대 닥터, 올닥까지 알게된 경우도 있는 듯하다. == 최후 == [youtube(wASEpjDsLGo)] [youtube(pmXoHKzp4Lc)] 'The Tenth Planet' 에피소드에서 벤과 폴리와 함께 1986년의 남극에 갔을 때, [[사이버맨]]들이 [[지구]] 에너지를 흡수해 전지구를 사이버맨화하려 하자 이를 막다가 생명력을 흡수당한다.[* 나이가 너무 많아 자연사했다는 의견도 있다. 사실, 자연사했다는 의견도 무리가 없는 게, 다른 타임로드인 마그누스가 너무 오랫동안 [[재생성]]을 하지 않았다며 못마땅해하고, 1대 닥터는 현재 시점에서 [[전쟁의 닥터]]와 [[11대 닥터]]처럼 역대 닥터들 중에서도 가장 오랜 삶을 산 닥터들 중 한명이고, [[11대 닥터]]가 나오기 전까지는 역대 닥터들 중에서도 가장 오랜 삶을 살아간 닥터이기 때문이다. 다만 11대 닥터의 경우는 더이상 재생성을 할 수 없었기에 선택권 자체가 없었다.] 이후 벤이 납치되어 있던 폴리와 닥터를 풀어주는데, 닥터는 폴리와 벤을 남겨둔 뒤 먼저 타디스로 돌아가서는 조종실 옆에서 쓰러진 채 [[2대 닥터]]로 재생성을 시작한다. 벤과 폴리는 문을 열어달라고 타디스를 두들기다가 닥터가 재생성을 시작한 후에야 들어와서 닥터를 부축한다. 그리고 원래는 여기까지가 기존의 스토리였지만, 2017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Twice Upon a Time에 따르면 사실 이 때 1대 닥터는 폴리와 벤을 남겨둔 채 혼자 먼저 [[타디스]]로 떠났을 때 당시 [[재생성]]을 거부하며 버티고 있다가, 타디스를 향해 가던 도중 미래의 자신인 [[12대 닥터]]의 목소리를 듣고 그와 만나게 되면서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그리고 사건이 해결된 뒤 자신의 타디스를 타고 다시 남극으로 돌아와 The Tenth Planet에서 나온 것처럼 타디스 안에서 쓰러져 재생성을 시작하는 것과 동시에 [[2대 닥터]]로 재생성하게 된다.[* 이 때 1대 닥터가 2대 닥터로 재생성을 할 때에는 [[데이비드 브래들리]]와 [[리처드 헌델]]이 아닌, 윌리엄 하트넬이 맡았었던 1대 닥터 본인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The Tenth Planet에서 2대 닥터로 재생성하게 되었을 때의 상황과 그 상황을 담은 장면이 그대로 나온다.] [youtube(_qDuLK_IRH4)] [youtube(usPOYbM_3Os)] 2017년 크리스마스 스페셜에선 벤과 폴리가 닥터를 부축하는 장면은 나오진 않았지만 The Tenth Planet과 연결해서 생각해보면 벤과 폴리가 문을 두들길 때 당시의 1대 닥터의 [[타디스]]는 이미 모든 사건을 다 해결한 뒤 다시 남극에 도착한 것으로 보이며, 이 때 당시에는 '증언'이라는 존재에 의해서 시간이 멈춘 상태였기 때문에 벤과 폴리가 타디스로 뒤따라오는 데까지는 시간이 멈춰있었던 모양. 덧붙여 닥터후 설정상 [[타임로드]]가 다른 시간대의 자기 자신을 만나게 되면 사건이 해결된 뒤 과거 쪽의 자신은 기억이 지워지게 되기 때문에, 1대 닥터는 [[2대 닥터]]로 [[재생성]]하면서 자신이 미래의 자신인 [[12대 닥터]]와 만났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게 되며[* 그래서인지, Twice Upon A Time에서 12대 닥터는 1대 닥터를 만날 무렵에, 1대 닥터임을 바로 알아보고, The Tenth Planet 시점에서 2대 닥터로써의 [[재생성]]이자 닥터 본인의 인생 최초로 재생성을 하게 된 사실은 기억은 하고 있었지만, Twice Upon A Time 시점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는 전혀 기억을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12대 닥터가 되어서야 이 사실을 기억을 하게 된다. 그 이유가, 다른 시간대의 자기 자신을 만나고 사건이 해결이 되면 "과거" 쪽의 자기자신은 기억이 사라지지만, "미래"의 자신은 그 기억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로는, [[The Day of the Doctor]] 때에 등장했던 1대 닥터와 [[2대 닥터]],[[3대 닥터]],[[4대 닥터]],[[5대 닥터]],[[6대 닥터]],[[7대 닥터]],[[8대 닥터]],[[전쟁의 닥터]],[[9대 닥터]],[[10대 닥터]] 총 9명의 닥터들인데, 당시 The Day of the Doctor 때에 등장했던 [[11대 닥터]]와 [[12대 닥터]]를 제외한 이들 9명의 닥터들은 사건이 해결된 직후에 The Day of the Doctor 때의 [[시간 전쟁]]에서 [[갈리프레이]]와 [[타임로드]] 종족의 멸망에 대한 진상 자체를 완전히 잊어버렸으며, 이것이 [[9대 닥터]]와 [[10대 닥터]]가 시간 전쟁 당시의 일로 인해 크나큰 죄책감을 가지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 그 외 == 윌리엄 하트넬은 군인 이미지를 벗기 위해 닥터 역을 선택했다.[* 당시 하트넬은 1944년 <선봉에서(The Way Ahead)>라는 작품에서 네드 플레처라는 병사 역할을 맡은 이후로 줄곧 경찰, 병사, 폭력배 등의 역할을 맡았고, 이러한 폭력적인 캐릭터의 연속 캐스팅 때문에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하트넬이 닥터로 나올 당시의 닥터후는 역사 교육용 드라마라 이 때의 닥터는 역사에 개입하지 않으려 했고 교육용 드라마로서 시간 여행을 통한 역사 여행을 많이 하려 했으나, 달렉의 반응이 폭발적이자 외계에 대한 스토리가 많이 들어가게 되었고 그 때부터 달렉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50주년 기념으로 닥터 후의 초창기 시절을 재현한 [[An Adventure in Space and Time|다큐멘터리]]도 있다. 이후 하트넬은 닥터후 프로그램을 하차하면서 [[패트릭 트로턴]]을 '영국에서 닥터 역을 인수할 만한 오직 한 사람(There's only one man in England who can take over, and that's Patrick Troughton)'이라며 2대 닥터 역으로 추천했다. 3명의 닥터(The Three Doctors)에서는 여전히 건강이 좋지 않아서 몇 장면 못 나왔다. 2대, [[3대 닥터|3대]]와 같이 등장하지 않고 따로 찍어 타디스 모니터에만 등장했으며, 결국 이 에피소드가 하트넬이 마지막으로 닥터후에서 1대 닥터로 출연한 에피소드가 되었다. 그리고, 3명의 닥터 에피소드에서 [[2대 닥터]]와 [[3대 닥터]]에게 자신의 후배라고 말을 하는데, 1대 닥터가 모든 닥터들의 원조이자 시조라서 그런지, [[2대 닥터]]와 [[3대 닥터]]가 서로 싸우느라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을 진작부터 알고 있었다. 그리고, [[4대 닥터]] 또한 1대 닥터가 원시시대에 갔었던 일을 언급하기도 했다. 1983년 5명의 닥터(The Five Doctors)에선 하트넬이 사망했기 때문에 [[리처드 헌델]]이 1대 닥터를 연기했지만 이후 헌델도 사망하면서 1985년 2명의 닥터(The Two Doctors)와 1993년 [[Dimensions in Time|시간의 차원 (Dimensions in Time)]]에는 1대 닥터가 나오지 않았다. 특히 시간의 차원에서는 [[4대 닥터]]에 의해 "처음 두 버전의 나는 벌써 [[레니(닥터후)|레니]]의 사악한 덫에 걸려 갇혀 있어. 괴팍한 노인하고 리코더쟁이 녀석 말야"라는 식으로 2대 닥터와 함께 레니에게 잡혔다는 언급만 나온다. 이후 뉴 시즌 3 에피소드 8 'Human Nature'(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에서는 이라는 책에서 그림으로 나오며 [[8대 닥터]] 오른쪽에 있다. 또한 스페셜 에피소드인 'Next Doctor'(두 명의 닥터)에서는 [[보이드(닥터후)|보이드]]에 있었던 [[평행우주]] 사이버맨이 달렉한테 훔친 닥터 자료 화면에서도 잠깐 나오고 뉴 시즌 5 에피소드 1 'The Eleventh Hour'(누더기 닥터)에서는 [[아트락시]]가 보여준 닥터들의 모습 중 하나로 나온다. 뉴 시즌 5 에피소드 6 'The Vampires of Venice'(베니스의 [[뱀파이어]])에서 [[11대 닥터]]가 뱀파이어한테 자신의 도서관 출입증을 보여주는데 이 때 사진이 1대 닥터로 나오며, 뉴 시즌 5 에피소드 10 'Vincent and the Doctor'(닥터와 [[빈센트 반 고흐|빈센트]])에서 11대 닥터가 [[크라페이스]]를 찾는 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작동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이 때 2대 닥터와 함께 사진으로 나오고 뉴 시즌 5 에피소드 11 '[[The Lodger]]'(수상한 이웃)에서는 닥터가 상황 이해를 못 하는 [[크레이그 오웬|크레이그]]가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박치기를 하면서 지금 상황와 자신의 존재와 자신의 옛모습부터 현재 모습까지 보여주면서 나오고 뉴 시즌 5 에피소드 13에서는 11대 닥터가 시간의 틈을 들어가기 전에 자고 있는 어린 에이미에게 '''자기가 1대 시절 때 타디스를 훔쳤다고 얘기를 했고 나중에 돌려주려고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얘기했으며 뉴 시즌 6 에피소드 6에서는 플레시 닥터가 닥터의 기억들을 살릴 때 "우리는 언제가 돌아갈 수 있을 거다"라고 말하는데 이 대사는 1대 닥터가 말하던 대사이고 뉴 시즌 7 에피소드 12에서는 닥터가 사이버 플래너와 두뇌싸움을 할 때 다른 닥터들과 함께 얼굴이 나온다. 뉴 시즌 7 에피소드 13에서 수잔과 함께 타디스를 훔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때 다른 [[타디스]]를 훔치려다 [[클라라 오스왈드|클라라]]에 의해 지금의 타디스를 훔치게 된다.[* 이 때, 1대 닥터를 클로즈업하는 장면은 클래식 시즌의 에피소드인 '아즈텍'에서 나온 모습이다.] 그리고, 그레이트 인텔리전스가 닥터의 타임라인에 침입을 할 무렵에도 등장했다. 그리고, 뉴시즌 7 에피소드 13에서 [[11대 닥터]]가 자신의 타임라인을 열때, 역대 닥터들의 목소리가 나왔는데, 클래식 시즌1 시리얼1 에서 1대 닥터가 한 대사인 "4차원의 떠돌이가 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나?"라는 대사가 나온다. 이후 [[The Day of the Doctor|50주년 스페셜]]에서는 다른 닥터들과 함께 힘을 합쳐 [[갈리프레이]]를 구하는데, 이때 나오는 장면은 때 나왔던 장면 중 하나로, 여기에서 나오는 1대 닥터는 아마도 윌리엄 하트넬이 맡았을 무렵의 1대 닥터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리고, 최근에 나온 닥터후 소설 타켓판에서 닥터 본인의 9번째 생애인 [[전쟁의 닥터]]의 말에 의하면 자신의 첫번째 [[인격]]과 두번째 인격은 [[색맹]]이었는데, 세번째 인격이 되어서야 이를 알아챘다고 하는데, 이는 닥터 본인의 최초의 생애인 1대 닥터와 두번째 생애인 [[2대 닥터]]는 작중에서 언급되지 않았지만, 시력에 장애가 있었다는 뜻이며, 닥터 본인의 3번째 생애인 [[3대 닥터]]가 되어서야 자신이 색맹이었다는 것을 알았다. 이는 1대, 2대 닥터 시절에는 닥터후 시리즈가 흑백으로만 방영된 것에 대한 오마주 내지는 레퍼런스라고 할 수 있겠다. [[KBS]] 더빙판에서는 두 에피소드 모두 너무 젊은 목소리로 더빙되어서 아쉬움을 샀다. 또한, The Day of The Doctor 마지막 장면에서는 [[11대 닥터]]를 포함한 역대 닥터들과 함께 등장했는데, 1대 닥터 혼자만 [[2대 닥터]],[[3대 닥터]],[[4대 닥터]],[[5대 닥터]],[[6대 닥터]],[[7대 닥터]],[[8대 닥터]],[[전쟁의 닥터]],[[9대 닥터]],[[10대 닥터]],[[11대 닥터]]가 나란히 서있는 줄 뒤에 서있다. 시즌 8 4화에선 '''어린 모습'''으로 출연한다. 얼굴은 안 보이지만 상황 맥락을 보면 닥터인건 확정이다. 헛간에서 자다가 클라라가 와서 '''"두려움은 너의 동반자가 될 것이다"'''란 말을 듣는데 이는 1대 닥터가 첫 번째 에피에서 한 말이다. '''그리고...''' [[파일:TwoDoctors.jpg|width=500]] 2017년에 방영될 예정인 [[12대 닥터]]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크리스마스 스페셜에 등장하여 '''12대 닥터와 만나게 된다!''' 크리스마스 스폐셜에서 1대 닥터를 맡은 배우는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인 <[[An Adventure in Space and Time]]>에서 윌리엄 하트넬을 연기했던 [[데이비드 브래들리]]다. [[4대 닥터]] 모비우스의 뇌 편에서 1대 닥터 이전의 모습이 여러 명 나와 "사실 1대가 닥터의 첫번째 모습이 아니다"란 이론이 있었다. 그 후 해당 에피소드의 작가 테런스 딕스가 집필한 닥터후 20주년 스페셜 에피소드 "5인의 닥터"에서 1대 닥터가 스스로가 오리지널이라 말하고, [[5대 닥터]]가 스스로를 5대째라고 칭하여 모비우스의 뇌 편의 설정을 부정했다. --하지만 [[크리스 칩널|찌부나리 양반]]이 '''[[닥터후/뉴 시즌 12#s-3.10|기어코..]]'''-- 초대 닥터라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지만, 만약 닥터의 유년 시절을 다룬 매체가 나온다면 젊었을 때의 1대 닥터가 주인공이 될 게 분명하다는 점에서 팬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닥터이기도 하다. 시즌12에서 1대 닥터가 사실은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많은 재생성을 거친 닥터였던 것으로 설정이 변경됐다. 미지의 세계에서 건너와 재생성을 갈리프레이에 퍼트린 어린 닥터가 1대 닥터 사이동안 얼마나 많은 재생성을 해왔는지는 갈리프레이 매트릭스의 기록이 지워져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정황상 여러번 재생성을 했다고 한다. BBC 100주년 기념 스페셜 에피소드였던 <닥터의 힘>에 특별 출연했다. 배우는 크리스마스 스페셜에서 출연했던 데이비드 브래들리로 동일하다. 마스터에게 육체를 빼앗기고 [[Guardians of the Edge|무의식]] 속으로 들어간 13대 닥터 앞에 '존재의 경계'를 지키는 다른 닥터들과 함께 나타나 조언을 해 준다. == 명대사 == >{{{+1 '''One day, I shall come back. Yes, I shall come back. Until then, there must be no regrets, no tears, no anxieties. Just go forward in all your beliefs and prove to me that I am not mistaken in mine. Goodbye, Susan. Goodbye, my dear.'''}}} >'''언젠가, 난 돌아올 거란다. 그래, 돌아와야지. 그 때까지는, 그 어떤 후회도, 눈물도, 걱정도 있어선 안된다. 그저 너의 신념을 지닌 채로 전진하렴. 그리고 내게 증명해다오, 지금 내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잘 있거라, 수전. 잘 있거라, 얘야..'''[* [[닥터후/뉴 시즌 10|그리고 진짜로 다시 '''등장하셨다'''.]] 물론, 이 당시 [[1대 닥터]]가 했던 말은 자신의 손녀인 수잔에게 한 말이었기에, 언젠가 다시 돌아와서 수잔을 만나러 온다는 의미였지만, 그래도 결과적으로 본다면 언젠가 다시 등장하겠다는 의미도 틀린 말은 아니다.][* 물론, 1대 닥터는 자신의 손녀인 [[수전 포어먼]]에게 다시 돌아오겠다고 했지만, 닥터 본인의 언급으로 보건데 [[최후의 시간대전]]에 참전해서 사망한 것으로 보이기에, 이제는 다시 영영 만나지 못하게 된 셈이자 결과적으로 이 대사는 수전에게 말한 1대 닥터의 마지막 대사라는 매우 씁쓸하고도 슬픈 대사나 다름이 없게 되었다.] >{{{+1 '''Good gracious me!'''}}} >'''이거 야단났군!''' >{{{+1 ''' Emotions. Love, pride, hate, fear. Have you no emotions, sir?'''}}} >'''감정 말이요. 사랑, 긍지, 미움, 공포. [[사이버맨|댁]]들은 감정이 없소?'''[* 참고로, 이 대사는 2017년 크리스마스 스폐셜 특집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1대 닥터가 새로이 한 대사가 아니라, 1대 닥터, 즉 윌리엄 하트넬이 1대 닥터 역을 맡았을 당시에도 했었던 대사다. 참고로 이 대사는 사이버맨이 감정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을 때 한 말이다.(폴리가 "당신들은 이상해요. 감정이 없잖아요!"라고 외치자 사이버맨이 "해당 어휘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1 '''The Doctor? Oh, I don’t think so. No, dear me, no. You may be a doctor, but I am the Doctor. The original, you might say.'''}}} >'''[[닥터(닥터후)|닥터]]라고? 오, 그건 아닐걸. 아니지, 그럴리가 없어. [[12대 닥터|자네]]가 어떤 닥터인진 몰라도, 난 하나뿐인 닥터거든. 오리지널이라고 할까.'''[* 뉴 시즌 10 12화 마지막 장면에서 12대 닥터 근처에 나타나면서 하는 대사 중 일부. 사실, 1대 닥터는 [[12대 닥터]]와 만나면서 "내가 오리지널이다"라는 대사는, 뉴시즌 10 12화 마지막 뿐만 아니라, 닥터후 특집 중 하나인 Three Doctors(3명의 닥터)에서도 카메라 화면을 통해서 [[2대 닥터]]와 [[3대 닥터]]를 보면서, [[2대 닥터]]와 [[3대 닥터]]를 자신의 후배라고 부르는 등 자기가 오리지널이라는 대사를 1대 닥터가 했었다. 또한 5명의 닥터에서는 '오리지널이라고 할까'를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말한다.][* 참고로, [[4대 닥터]]가 처음 [[재생성]]할 무렵에 병원에서 탈출하는 것을 말리는 의사에게 "당신은 의사일지 모르지만 내가 그 닥터야. 정관사라고 할 수가 있지.(You might be A doctor, but I am THE Doctor. The Definite article, you might say)"라고 비슷한 발언을 했고, 뉴시즌10 12화에서 [[12대 닥터]]가 사이버맨들 앞에서 "난 그냥 의사가 아니야. 난 하나 뿐인 닥터야. 오리지널이라고 할까.(I'm not A doctor. I'm THE Doctor. The Original, you might say)"라고 변형이 되는 대사를 하는데, [[12대 닥터]]가 말한 이 대사는, [[1대 닥터]],[[2대 닥터]],[[3대 닥터]],[[4대 닥터]],[[5대 닥터]]가 동시에 등장했던 멀티 닥터 에피소드인 The Five Doctors에서 [[1대 닥터]]가 했던 발언이기도 하다.][* 이 번역은 KBS 방영분에서의 번역으로 관사란 개념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관형사로 대체한 것. 과거 여기 써있던 번역은 "자네 하는 일이 닥터일지 몰라도, 난 이름도 닥터라네."] > [[빌 포츠]]: '''뭐로부터 달아났느냐가 아니라 뭘 향해 달아났느냐는거에요.''' > 1대 닥터: 오, 그건 좋은 질문이로구나. > [[빌 포츠]]: 질문 하는게 제가 하는 일이거든요. (잠깐 뜸을 들이다) 답은 어때요? > 1대 닥터: '''선도 있고, 악도 있지. 난 내 스스로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갈리프레이를 떠난거란다. 어떤 분석에서도 항상 악이 이기더구나. 선은 현실적인 생존전략이 아니었어. 선은 충성을, 희생과 사랑을 필요로 한다. 그럼 왜 선이 만연할까? 이 끔찍한 우주에서 무엇이 선악의 균형을 맞추는가? 일종의 논리가 있나? 무슨 미스테리한 힘이라도?''' > [[빌 포츠]]: 어쩌면 그냥.. 어떤 놈일지도 모르죠. > 1대 닥터: 놈? > [[빌 포츠]]: 어쩌면 그냥 어떤 놈이 돌아다니면서 잘못된걸 바로 잡고 있는걸지도 모르죠. > 1대 닥터: 뭐, 그것도 좋은 이야기로구나. > [[빌 포츠]]: 그게 최고죠. > 1대 닥터: 하지만 세상은 동화가 아냐. > [[빌 포츠]]: 당신은 우주를 돌아다니면서 뭐가 그걸 한데 모아두는지 찾아내려하잖아요. 근데 진짜, 진짜 모르겠어요? > 1대 닥터: 네가 미래의 날 안다고 했지. [[12대 닥터|내]]가 이해하던가? > [[빌 포츠]]: 아뇨, 전혀 모르는거 같아요. 당신을 만나본 모든 사람이 아는데 말이죠. (닥터를 포옹하는) 당신은 놀라워요, 닥터. 그거 절대 잊지마요. 절대, 절대요. > 1대 닥터: 뭐, 그거 참 친절하구나. > [[빌 포츠]]: 우린 그냥 당신을 이해하고 싶은거에요, 닥터. >{{{+1 '''Well then, here we go. The long way round.'''}}} >'''그럼, 시작해볼까. 먼 길을 돌아서...'''[* Twice upon a time에서 등장한 1대 닥터의 유언. 여기에서 말하는 "그럼, 시작해볼까"라는 의미는 [[재생성]]을 말하는 것이자, [[2대 닥터]]에서 시작하여 [[12대 닥터]]까지의 삶의 시작을 의미하는 대사이기도 하다.][* 또한 [[3대 닥터]]에서 [[4대 닥터]]로 재생성할 때, 레스브리지-스튜어트 준장의 대사 "이런, 또 시작이로군" ('''Well then, here we go again''') 의 오마쥬이다. 그때와는 달리 이번이 닥터의 첫 재생성이라 again을 빼버린 나름 재치있는 오마쥬.] [[분류:닥터후/등장 외계인]][[분류:닥터(닥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