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차 순환선)] ||<#fff,#0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50&theme=light]][[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50&theme=dark]] ||<-2> {{{#ffffff {{{+1 '''1차 순환선'''}}}}}}[br]{{{#fff 一 次 循 環 線}}}[br]{{{#fff Daegu Metropolitan City 1st Ring Way}}}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1차순환도로v2.png|width=100%]]}}}|| || '''연 장''' ||<-2> 6.59km || || '''도로명''' ||<-2> [[동덕로(대구)|동덕로]], [[달구벌대로]], [[달성로]], [[태평로(대구)|태평로]] || || '''경유지''' || [[중구(대구광역시)|중구]] || [[달성동]], [[수창동]], [[인교동]], [[시장북로]], [[대신동(대구)|대신동]], [[동산동(대구)|동산동]], [[남산동(대구)|남산동]], [[계산동2가]], [[덕산동]], [[봉산동(대구)|봉산동]], [[삼덕동1가]], [[삼덕동2가]], [[동인동2가]], [[동인동1가]], [[교동(대구)|교동]], [[태평로1가(대구)|태평로1가]], [[북성로1가]], [[태평로2가(대구)|태평로2가]], [[태평로3가]], [[도원동(대구 중구)|도원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첫 번째이자 가장 반경이 작은 순환선. 동북쪽의 동인네거리, 동남쪽의 [[경대병원역|삼덕네거리]], 서남쪽의 [[청라언덕역|신남네거리]], 서북쪽의 [[달성공원역|달성네거리]]를 각각의 꼭지점으로 하여 꼭지점을 연결하는 사각형의 각 변을 이루는 [[달성로]], [[달구벌대로]], [[동덕로(대구)|동덕로]], [[태평로(대구)|태평로]]를 가리키는 말이다. 1차 순환선의 바깥으로는 [[2차 순환선]]이 있다. 사실은 1차 순환선의 안쪽으로도 순환선이 하나 더 있는데, [[대구읍성]]을 철거하고 건설한 [[동성로(대구)|동성로]], [[서성로(대구)|서성로]], [[남성로(대구)|남성로]], [[북성로(대구)|북성로]]의 대구 읍성로가 일제시대엔 대구의 원조'''순환선'''으로 기능했었다. == 주변 지역 정보 == 대구가 단핵도시인 관계로 1차 순환선 주변은 그냥 '''대구 [[시내]]'''다. 공공기관과 중심상업시설은 대체로 이 주변에 모여있다. 서울의 ’[[사대문안]]’과 비슷한 도심의 경계 역할이다. 일단 [[대구광역시청]]과 [[대구광역시의회]]이 1차순환선 내부의 [[동인동2가]]에 있고, [[중구청(대구)|대구 중구청]]도 같은 동인동에 있긴 하지만 1차 순환선보다 살짝 바깥쪽에 있으며, [[경상감영공원]], [[종로(대구)|종로]], [[동성로(대구)|동성로]], [[반월당(지명)|반월당]],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 [[약령시(대구)|약령시]]가 전부 1차 순환선 부근에 있고 웬만한 기업의 대구지점은 열이면 아홉이 1차 순환선 내부에 있다. 게다가 [[종합병원]]도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경북대학교병원]] 2개 있고, [[헌책방]], [[사진]], [[우표]], [[건프라]] 등 각종 ~~덕질~~취미생활을 위한 가게들도 대부분 1차 순환선 주변에 모여있고, 극장도 태반이 이 안에 있기 때문에 좋건 싫건 대구시내에서 오프라인 취미생활을 즐기기 위해서라도 가야 하는 지역이다. == 교통 == 대구광역시의 공식적인 교통 정책상 순환선이라 불리긴 하지만 이는 지극히 행정적•관념적인 것이며, 지금은 대구 시내의 격자형 도로망의 일부에 거창한 이름을 붙인 것에 불과하다. '__붐비는 내부를 우회함으로써 시간적 이득을 보는__' 순환도로로서의 기능이 1차 순환선 연선이 대구 시가지의 경계선이던 5-60년대 이후로 멈추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1차 순환선을 순환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순환선 내부의 [[국채보상로]], [[서성로(대구)|서성로]], [[공평로(대구)|공평로]],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를 그냥 관통하는 것보다 유리할 점이 하나도 없다. 따라서 그런 교통 흐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달구벌대로]]-[[동덕로(대구)|동덕로]], [[달구벌대로]]-[[달성로]] 간 좌회전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보더라도 순환기능은 사실상 정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차 순환선 안은 도심지이기 때문에 출발지 관할 경찰서에서 사전에 허가받지 않은 3.6톤 이상 화물차, 대형 건설기계, 고압가스 및 [[위험물적재차량]]이 들어갈 수 없다. 또한 1차 순환선 가운데를 질러가는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 중 반월당네거리-중앙네거리 구간은 1차 순환선 안의 구간이 전부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되어 24시간 일반차량의 진입이 통제되니 주의할 것. == 구간 == [include(틀:대구광역시 순환도로)] [[분류:1차 순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