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년)] [목차] == 개요 == '''1학년'''([[一]]''.''[[學]]''.''[[年]])은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모두 있는 학년이며, 오로지 [[선배]]만을 가지고 있는 학년이기도 하다. 한국기준으로 [[2021년]] 기준, 대부분의 [[2014년]]생[* [[초등학교]] 1학년.], [[2008년]]생[* [[중학교]] 1학년.], [[2005년]]생[* [[고등학교]] 1학년.], [[2002년]]생[* 빠른 2003년생 포함.][* [[대학]] 1학년. 단, 1학기만 하거나 입학과 비슷한 시기에 [[입대]]했다면 [[2000년]]생도 가끔 있는 편이다.]들이 해당된다. 1학년이라고 하면 아직 어리다는 인식이 많으며 초반에는 [[신입생]]이라고도 많이 불리우게 된다. 아직 [[풋내기]]라 학교의 [[시스템]] 등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최후배이기 때문에 많이 부려먹히기도 한다.[* 특히 대학교에서는 과 행사할 때 1학년 같은 경우 무조건 동원된다고 봐야 한다. ~~다만 대형과라면 운신의 폭이 넓으니 안심하자.~~] == 한국의 경우 == === [[초등학교]]의 1학년 === 전년도 미취학 아동 마지막 해인 5~6세 하반기 사이에 취학이 결정되고, 초등학생과 12년 학창시절이 시작되는 단초를 마련한뒤 이듬해에 12년 학창시절의 역사가 시작된다. 그러나 초등학생 연령이 6세 ~ 12세이기 때문에 유치원생인데도 생일이 지나 6세가 되었다면 사실상 [[초등학생]]이다. 1학년이 되는 첫해 1월달에 예비소집일 때문에 학교와 교실에 처음 방문하게 되는데 교실에 들어오는 순간 모든것을 새롭게 알게 된다. 1학년은 교실에 처음 방문한 예비소집일 이후부터인 1월 ~ 4월달까지는 학교에 대해 아직 잘 모르고 이 때 [[급식]]이라던가 교시라던가 학년이라는 이름 등등 학교에서만 쓰이는 [[시스템]]들을 처음 경험하게 되니 어리둥절하기도 하고 아직 많이 어리기에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수업이 모두 끝나면 [[선생님]]이 학교 밖 근처까지 지도해주시는 경우가 많다. 물론 요즘 한정이고, 예전에는 절대 그러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때는 12년[* [[영국]] 등지는 13년, [[우즈베키스탄]] 등은 11년.]간 파란만장한 학창시절의 여정이 시작된다. 학교에선 초보적인 산수[* 한자리~십수자리 단위의 덧셈, 뺄셈 등]와 한글[* 1960~70년대까지는 유치원에 못 다닌 사람이 많아서 (시골이라면 [[유치원]]에 다닌 사람이 한 반에 한두 명에 불과했을 정도이며, 서울에서도 그 비율은 20~30% 수준이었다. [[실향민]] 2세는 비율이 더 낮았다.) 말 그대로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한글을 배웠으나 현재 대다수는 이미 유치원 시기에 다 떼고 온다.], 과학이나 [[슬기로운 생활]], [[바른 생활]] 등의 기초 도덕을 배우게 된다. [[1938년]] [[3월]]생까지는 [[일제강점기]]에 학교에 입학했으므로 그 때의 1학년들은 초등학교 입시를 뚫고 들어간 것이었다. 이들은 한국어가 아니라 일본어를 국어로 배웠다. 그 때의 초등학생들이 지금은 대부분 고인이거나 살아 있더라도 할아버지, 할머니들이다 === [[중학교]]의 1학년 === 전년도 [[11월]]에 중학교 배정을 받아 [[중학생]]이 되는 단초를 마련한뒤 이듬해인 12세 ~ 13세에 들어가게 된다. 대체적으로 이 때부터 [[교복]]을 입게 되고[* 한국의 경우는 사립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는 초등학교임에도 교복을 입는 경우가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공립]]이라도 초등학교 때부터 교복을 입는다.][* 다만 교복자율화를 시행했을 때 중학교에 입학했던 1970~1975년생 제외. 또한 지금도 몇몇 사립중학교는 교복이 없기도 하다.] 과목별 선생님이 갈리는 등의 큰 변화를 겪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중1은 '''교복입은 6학년'''. 아직 초등학생의 티를 내는 학생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다만 중학교 1학년 자신들은 초등학교 6학년과 천지차이라고 생각한다. 초등학생 때는 많이 하지 않던 '''선배에게 존댓말'''을 하게 되는데 아직 잘 파악하지 못해 선배에게 반말을 해서 갈굼당하는 경우도 조금씩 볼 수 있다. 사춘기의 최대증폭시기이기도 하며 그게 업그레이드되어 [[중2병|1년 후...]] 1학년 중반까지는 교복을 정석대로 입고 다니는 이들이 많다. 외모는 초등학생 같지만 키는 중학생같고 170cm 이상인 학생들도 있다. 미리 성장한 케이스.[* 아직 초등학생의 얼굴이 남아 있다. 다만 극히 일부는 비쥬얼이 잡히거나, 고3처럼 다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평균 신장은 155~160cm. 한편 이 때 대부분 [[변성기]]가 온다. 변성기가 주로 초5~중2에 오므로 입학식때는 가는 목소리가 많지만 학년이 끝나가면 남학생들 대부분이 아저씨 목소리가 난다. 버스 타거나 지하철을 탈때 이들은 어린이 요금을 내는 사람과 청소년 요금을 내는 사람이 있다. 13세부터가 청소년이기 때문에[* 12세 ~ 13세는 세는나이로 14세 이지만 생일이 지난 사람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 기준을 12세가 아닌 13세로 한다. 12세로 해버리면 생일이 지난 초6도 청소년이 되어버리기 때문.] 같은 나이여도 요금이 다를 수 있다. 이 시기에 일차방정식과 연립방정식을 배운다. ~~다시 말해 [[선형대수학]]의 기초를 닦는다!~~ === [[고등학교]]의 1학년 === 전년도 11월 ~ 12월 초 사이 고등학교를 배정받아 [[고등학생]]이되는 단초를 마련한뒤 이듬해인 16세에 들어가게 된다. [[중학생]] 때보단 강단이 생기고 대학입시 문제 등으로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이고 대부분 이 때 공부할 사람과 안 할 사람이 나눠지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2003년생들은 사정이 좀 나았다.] 또 교과와 비교과를 알아가게 되면서 내신에도 힘을 기울인다. 학원물, 일상물 등에서는 고2만큼이나 많이 쓰이는 소재이기도 하다. 대부분 성숙해 지며 공부를 중학교때보다 더 열심히 한다. 그리고 10대 후반이 되며 대학까지 많이 남지 않았으며, 12년 학창(초1 ~ 고3) 중 대부분이 지나갔고, 학창시절 마지막 3년이다. 그래서 더많은 추억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고 한다. 이 시기에 [[허수]]와 [[복소수]]를 배운다. [[일본]]에서는 이 시기에 [[삼각비]]를 배운다. 일본 수학 체계는 [[수학I]] [[수학A]] [[수학II]] [[수학B]] [[수학 III]]로 나뉘는데 삼각비는 수학I 에 들어가 있기 때문. [[야간자율학습]]을 가장 먼저 시작하게 되는 학년이기도 하다. 불과 2000년대까지만 해도 모든 학생이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학교가 매우 많았으나, 2010년대들어 자율화된 학교들이 많아져 2020년 현재는 전국적으로 자율화된 학교 비율이 높다. === [[대학]]의 1학년 === 앞으로의 대학생활의 향후가 결정되는 시기. 18세 ~ 19세에 들어가 과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공]]보단 [[교양과목|교양]]을 상대적으로 많이 수강하게 된다. 이 때 과에 얽매이지 않고 교양강좌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양하게 듣고, 향후 진로방향을 결정하는게 좋다. 대부분이 [[교양과목]] 또는 전공기초과목이기 때문에 [[평점|학점]]에 있어 부담이 덜하고 또한 1학년때 학점이 조금 안 나온다 하더라도 나머지 기간 동안 [[재수강]] 등을 통해 충분히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다양한 경험 등에 집중하고 공부는 게을리하는 케이스가 많다. 그러나 요즘에는 [[청년실업]]을 1학년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1학년때부터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매우~~ 많은 편이다. 그래도 아무리 취업이 어려워도 [[고3]], [[재수(입시)|재수]] 등으로 힘들었던 시절을 보상받고 낭만적인 대학생활을 해보고 싶은 심리는 누구나 있기 때문에 1학년, 특히 1학년 1학기는 대부분 열심히 논다. 따라서 남들 놀 때 열심히 하면 학점이 잘 나오는 학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1학년이 4점대 받았다고 자랑하면 선배들한테 아싸새끼라고 핀잔받기 일쑤-- 한편 [[반수(입시)|반수]] 등으로 다니던 학교를 떠나는 학생들이 많은 시기이기도 하다. 대체로 남학생들은 이 때 [[병역판정검사]]를 받는다.[* 물론 재수생은 재수 기간에 받으러 가게 된다.] 전반적인 대학교 친구를 사귀는 시기이며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이 시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작부터 [[아싸]]나 [[인싸]]등 노선을 확실히 선택한다면 별 고민없이 보낼 수 있지만 어중간하게 [[인싸]]와 [[아싸]] 사이를 줄타기 하면 고통을 받을 수 있으니 확실히 결정하는게 좋다. 인싸와 아싸는 각자 취향이므로 자신이 좋을데로 선택하도록 하자. 과 생활이 맘에 안 든다면 [[동아리]]를 선택하는것도 좋은 방법. 동아리에도 얽메이는 것이 싫다면 [[독고다이]]가 가장 좋다. == 해당되는 가상인물 == === 초1 === * [[Go! Go! 고마짱]] - [[이장수]], [[공바우]], [[서유민]], [[황소미]], [[상태]] === 중1 === [[에어로버]] - 션, 찰스 : 시즌2에서는 1년이 지나 중2. === 고1 === [[고등학생#s-7.1|고1/캐릭터]] 항목 참조. === 대1 === * [[도쿄구울]] - '''[[카네키 켄]]''' == 관련 작품 == * [[1학년이 되어버린다면]] [[분류: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