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829FF, #FF5F3B)" '''{{{#fff {{{+1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 ||<-2>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2> '''창립일''' ||[[2022년]] [[12월 7일]] || ||<-2> '''지도부''' ||이재근[* 참여연대 현 협동사무처장] || ||<-2> '''구성인원''' ||188개 단체[* 참여연대, 민주노총,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188개 단체가 결성해 만들어진 연합형 단체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71133.html|#]]] || ||<-2> '''SNS''' ||[[http://youtube.com/@1029itaewon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facebook.com/1029act.ne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tumblbug.com/1029|[[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태원 압사 사고]]의 진상규명과 그 책임을 [[정부]]에 요구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188개 시민단체가 결성해 만들어진 '''연합형 시민단체'''다. == 역사 == 2022년 12월 7일, [[참여연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성공회 정의평화사제단,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174개[* 처음에는 174개였지만, 이후 몇몇 단체들이 뒤늦게 합류해 현재는 188개다.] 단체가 모여 출범했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71133.html|#]] 출범과 함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파면을 요구했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03189|#]] 이후 [[이태원 유가족협의회]]와 대체로 같은 노선을 걸으며 연합해 활동하고 있다. 2023년 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유가족협의회,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국조특위 위원들과 함께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국조 기간의 충분한 연장과 철저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074588.html|#]] == 논란 == === 이태원 추모 공간 철거 관련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태원 압사 사고/논란, 문단=7.1)] === 서울 광장에 추모 공간 기습 설치 및 철거 방해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태원 압사 사고/논란, 문단=7.2)] == 관련 단체 == *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 산하 단체 * [[참여연대]]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분류:대한민국의 시민사회단체]][[분류:이태원 압사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