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태원 압사 사고)]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829FF, #FF5F3B)" '''{{{#fff {{{+1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 ||<-2>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2> '''창립일''' ||[[2022년]] [[12월 10일]] || ||<|3> '''지도부''' || '''대표''' ||[[이종철(사회운동가)|이종철]] || || '''부대표''' ||이정민[* [[https://www.youtube.com/watch?v=EZnvS7fUY5g|#]][[http://n.news.naver.com/mnews/article/308/0000031994?sid=102|#]]] {{{-2 {{{#15173d,#ffffff (대표 직무대행)}}}}}}[br]송진영[* [[http://www.youtube.com/watch?v=RtyQHjHJAaM|#]]] || || '''사무총장''' || || ||<|2> '''운영위[br](2기)''' || '''위원장''' ||이정민 || || '''부위원장''' ||유형우[br]최선미 || ||<-2> '''구성인원''' ||170명[* 참사 희생자 158명 중 97명의 유가족 약 170여명이 모여 협의회가 구성되었다.[[http://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21212/116952712/1|#]]] || ||<-2> '''SNS''' ||[[http://facebook.com/profile.php?id=100089919753597|[[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instagram.com/10.29_itaewon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1029_itaewon_, 크기=24)] | [[http://youtube.com/@10.29_itaew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태원 압사 사고]] 희생자 158명 중 97명의 유가족들이 모여서 결성한 [[비영리 단체]]. == 출범 == * 2022년 12월 10일에 공식 출범하였다. 출범 기자회견에서 유가족협의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 △정쟁을 배제한 10·29 이태원 참사 진실규명 △유가족 소통공간 마련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공간 마련 △2차 가해 방지 방안 마련을 요구하였다.[[https://www.nocutnews.co.kr/news/5862753|#]] 대표는 [[이종철(사회운동가)|이종철]]로, [[이지한]]의 부친이다. * 이정민 부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도 유가족협의회를 만들고 싶지 않았다. 우리를 토끼몰이 하듯 몰아놓고 이제는 이 단체를 만들었다며 우리에게 정치색을 씌우려 한다. 이게 맞는 말이냐”라고 성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08/0000031994?sid=102|#]] == 활동 == * 2022년 12월 24일, [[이태원역]] 1번 출구를 희생자 전용 추모 공간으로 재구성해달라고 공식적으로 정부에 요구하였다.[[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12231647001|#]] * 2022년 12월 27일, [[윤미향]] 국회의원에게 도움을 받아 다른 국회의원들과 의견을 나누었다. 이 때 [[조은희]] 의원에게 "왜 졸아, 왜 질문을 그 따위로 해" 라고 비난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HqlyyS6CXJg|#]] * 2022년 12월 28일, 대한변호사협회와 유가족 협회 대표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https://www.koreanbar.or.kr/pages/news/view.asp?page=1&seq=12549&types=3|#]] * 2023년 1월 4일, 이태원 참사 국조특위 청문회에서 [[윤희근]] 경찰청장에게 "내가 범죄자야? 왜 나를 막냐고."라고 항의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577737?cds=news_edit|#]] * 2023년 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시민대책회의, [[더불어민주당]] 국조특위 위원들과 함께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국조 기간의 충분한 연장과 철저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074588.html|#]] * 2023년 5월 8일, [[어버이날]]을 맞아 다시금 대통령의 공식사과, 이상민 장관의 파면,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특별법 제정을 요구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939531|#]] * 2023년 7월 31일, 2기 운영위원회가 출범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731072700004?input=1195m|#]] 같은 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간담회를 가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7093600064?input=1195m|#]] == 논란 및 사건사고 == === 이태원 추모 공간 철거 관련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태원 압사 사고/논란, 문단=7.1)] === 서울 광장에 추모 공간 기습 설치 및 철거 방해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태원 압사 사고/논란, 문단=7.2)] == 관련 단체 == *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분류:대한민국의 시민사회단체]][[분류:이태원 압사 사고]][[분류:정치 조직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