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의 전체 경주 목록은 [[경마/국가별 경기 목록]] 문서 참조. ||<-2> '''{{{#fff 1000 Guineas Stake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wj.jpg|width=100%]][br]'''[[2023년]] 우승마 마우지'''}}} || || {{{#ffffff '''개최국'''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 || {{{#ffffff '''창설일''' }}} ||[[1814년]] [[4월 28일]] || || {{{#ffffff '''경마장''' }}} ||뉴마켓 경마장 || || {{{#ffffff '''거리''' }}} ||잔디 1마일 (약 1609m) 직선 || || {{{#ffffff '''등급''' }}} ||G1 || || {{{#ffffff '''출주 조건''' }}} ||[[서러브레드]] 3세 암말 || || {{{#ffffff '''부담 중량''' }}} ||정량 9st (약 57.15kg) || || {{{#ffffff '''상금''' }}} ||<-2>1착 283,550 파운드, 총상금 500,000 파운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1814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4월 마지막 주, 혹은 5월 첫째 주에 영국 뉴마켓 경마장에서 개최되는 G1 경주로, 3세 암말 클래식 레이스의 시작을 알리는 경주이자 일본 [[오카상]] 등 암말 삼관 경주(Fillies' Triple Crown of Thoroughbred Racing) 중 첫 경기의 원조이다. [[2000 기니 스테이크스]]가 먼저 열린 뒤, 1000 기니 스테이크스는 그 다음 날에 개최된다. 정식 표기는 '''1000 Guineas Stakes''' 이며 기니는 옛 영국 화폐의 단위이므로 한글로 적을 때에도 1000과 기니 사이를 띄어쓰며 '''1000 기니 스테이크스''', 혹은 '''1000 기니'''로 적어야 한다. 이는 2000 기니 스테이크스도 마찬가지다. == 역사 == 1809년 2000 기니 스테이크스가 창설되고 5년 뒤 1814년, 암말 전용 경기인 1000 기니 스테이크스가 창설되었다. 두 경기 다 자키 클럽(Jockey Club)이 더비 경과 함께 [[더비 스테이크스]](엡섬 더비)를 공동 창립했던 찰스 번버리 경의 지시에 따라 설립했다는 설이 우세하다. 경주 이름이 1000 기니 스테이크스가 된 이유는 당시 초대 우승자 마주에게 상금으로 1000 기니를 줬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는 1000 기니 스테이크스와 2000 기니 스테이크스 모두 동일한 상금을 주고 있다. '''1000 기니, [[2000 기니]](약 1609m) - [[엡섬 오크스]], [[엡섬 더비]](약 2420m) - 세인트 레저(약 2922m)''', 이렇게 3세 시즌이 진행됨에 따라 거리가 늘어나는 주요 3세마 전용 경주 5개를 '클래식'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암말만 참가할 수 있는 '''1000 기니 - [[엡섬 오크스]] - 세인트 레저[* 수말과 공통]''' 3개 경주를 '''암말 [[삼관마|트리플 크라운]]''' 레이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아일랜드, 프랑스, 미국, 호주,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도 이 개념을 채택하게 되었다. 영국의 1000 기니 스테이크스는 아일랜드의 아이리시 1000 기니(Irish 1000 Guineas), 프랑스의 풀 데세 드 풀리슈(Poule d'Essai des Pouliches), 그리고 일본의 [[오카상]] 등의 모델이 되었다. == 주요 특징 == 유럽 정상급 3세 암말이 처음으로 참가할 수 있는 G1 경주이자, 경주마에게 있어 딱 한 번밖에 우승 기회가 없는 클래식 경주란 점 때문에 매우 중요한 경주이다. 경마가 점점 현대화되고 거리 분류가 엄격해지며 2701m 이상 초장거리 경주는 20세기 중후반을 기점으로 선호도가 떨어지며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갔다.[* 실제로 현재 숫말은 초장거리 G1을 아무리 많이 승리해도 종마 자체가 되지 못하거나 헐값에 장애물 종마가 되는 것이 전부이다. 그 [[스트라디바리우스(말)|스트라디바리우스]]마저 은퇴 후 평지 종마행을 예상하지 않는 지경이였으니 초장거리 경주는 장거리 이하 종목과는 완전히 다른 별개의 스포츠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 이후 최근 2101~2700m 장거리 경주 역시 [[더비 스테이크스|더비]]나 [[개선문상]] 같은 초 네임드 경기를 다수 승리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종마 가치를 의심받고, 마일~중거리 경주의 비중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그마저도 중거리 경주는 조케 클뤼브상,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 등 상위 경주를 제외하면 G1 1, 2승 정도로는 평지 종마행이 힘든 상황.] 클래식 경주+마일 경주라는 황금 조건인 1000 기니의 중요성은 더욱 올라가고 있다...곤 하지만 경주 하나하나가 씨값으로 직결되는 숫말과 달리 암말은 아무리 경주를 이긴다 한들 씨암말로서 돈을 더 벌어오는 일은 없기 때문에 거리 적성이 허용하는 선 안에서 경기 선택이 비교적 자유롭다. === 코스 === [[파일:Newmarket Racecourse.png]] 1000 기니는 아래쪽 '''1m'''(1마일. 약 1609m) 지점에서 결승점까지 직선으로 달리는 경주이다. == 역대 우승마 == === 기록 === * 경주 기록 - 1:34.22 (2009년 우승마 가나티) * 최다 우승 기수 - 조지 포드햄 7승 (1859년 마요네즈, 1861년 네메시스, 1865년 시베리아, 1868년 포모사, 1869년 스코티쉬 퀸, 1881년 테바이, 1883년 오퇴르) * 최다 우승 조교사 - 로버트 롭슨 9승 (1818년 코린, 1819년 캣것, 1820년 로위나, 1821년 질, 1822년 위즈긱, 1823년 징, 1825년 톤틴, 1826년 프로블럼, 1827년 아랍) === 국가별 우승 횟수 === == 기타 == [[분류:19세기 설립]][[분류:영국의 스포츠]][[분류:경마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