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ds/200909/15/26/c0028926_4aaf7640d5da4.jpg|width=100%]]||[[파일:/pds/200909/15/26/c0028926_4aaf76419e943.jpg|width=100%]]|| [목차] == 개요 == 110 Catridge Film [[코닥]]이 [[1972년]] 내놓은 정지화상 촬영용 [[필름]] 포맷. 110 필름은 플라스틱 카트리지에 담겨 있는 형태로, 기존 [[35mm 필름]]에 비해 장착/탈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불완전하게나마 필름 전체가 카트리지로 보호되는 형태로서, 촬영 중간에 필름을 갈아끼워도 한 컷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촬영 중 감도 변경 등을 위해 갈아끼우는 기능까지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필름은 절대 아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0-film-negative.jpg]] 필름 전체 폭은 16mm이며, 각 프레임은 13×17mm의 크기[* 공교롭게도, 17.3×13.0mm의 크기를 가진 [[포서드]]와 거의 같다.]를 가지고 있었고, 컷마다 한 개의 인식용 구멍이 있었다. 1972년 출시되었을 때부터 매우 작은 크기로 인해 큰 인기를 끌었으며, 초소형 카메라들에 주로 사용되었다. 이들은 2010년대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처럼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크기였으며, 110필름 카트리지에 맞춰 스틱 형태를 갖춘 기종들도 있었다. 드물게는 [[펜탁스]] 110등의 [[SLR]] 시스템이나 렌즈고정식 110필름 SLR도 존재하였으나, 이후 [[APS(필름)|APS]]의 출현, 35mm의 여전한 강세, 그리고 포맷 자체의 부족한 화질 등으로 인해 점점 인기를 잃었다. 필름의 전성기였던 90년대에도 이미 사라져 가고 있던 추세였다[*출처 한정식-사진예술개론] [[후지필름]]이 2009년 110 필름을 단종시킴으로써 110 필름은 더이상 생산되지 않는 듯 싶었으나, 2011년부터 [[로모그래피]]에서 자사의 [[토이 카메라]]용으로 새롭게 생산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몇 종류의 초소형 토이카메라용으로 유통되고 있는데, 이 필름의 현상과 인화를 해 줄 수 있는 장소가 극히 한정되어 있다. 35mm 이후 등장한 [[APS]] 등의 필름들과 달리, 110은 35mm와 같이 현상되었을 때 카트리지가 버려지는 형태이다. 사족으로 110필름이라는 이름은 1898년부터 1929년 10월까지 생산되던 4x5인치의 롤필름에도 사용되었지만, 그 필름을 기억하는 사람들 대다수는 이 세상 사람들이 아닐 뿐더러 위에서 설명한 110도 상당히 유명하였으므로 110필름이라 하면 위에서 논한 카트리지만을 생각해도 된다.[* 아니, 110 롤필름을 기억한다는 자체가 이상한 일이다. 위키니까 올리는 거지...] == 참고항목 == === 110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 === * [[펜탁스 110]] * [[아그파]] AGFAMATIC Pocket * 몇몇 [[토이 카메라]] === 관련항목 === * [[35mm 필름]] * [[APS(필름)]] * [[포서드]] [각주] [[분류: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