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연도구분''' || || [[1391년]] || {{{+1 ←}}} || '''1392년''' || {{{+1 →}}} || [[1393년]] || ||<-5> '''연대구분''' || || [[1380년대]] || {{{+1 ←}}} || '''[[1390년대]]''' || {{{+1 →}}} || [[1400년대]] || ||<-5> '''세기구분''' || || [[13세기]] || {{{+1 ←}}} || '''[[14세기]]''' || {{{+1 →}}} || [[15세기]] || ||<-5> '''밀레니엄구분''' || || [[제1천년기]] || {{{+1 ←}}} || '''[[제2천년기]]''' || {{{+1 →}}} || [[제3천년기]] || ||<-2>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력기원|서기]] || 1392년 || || [[단군기원|단기]] || 3725년 || || [[불멸기원|불기]] || 1936년 || || [[황기]] || 2052년 || || [[이슬람력]] || 794년 ~ 795년 || || [[갑자|간지]] || [[신미]]년~[[임신(간지)|임신]]년 || || [[히브리력]] || 5152년 ~ 5153년 || || [[일본]] 북조 || 메이토쿠(明德) 3년 || || [[일본]] 남조 || 겐추(元中) 9년 / 메이토쿠(明德) 3년 || || [[명나라]] || [[홍무제|홍무(洪武)]] 25년 || || [[쩐 왕조]] || [[순종(쩐)|꽝타이(光泰)]] 5년 || || [[고려]] || [[공양왕]] 4년 || || [[조선]] || [[태조(조선)|태조]] 원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사]]의 500년을 거슬러 온 '''[[조선]]의 역사가 시작된 해'''인 동시에, '''[[고려]]가 [[멸망]]한 해'''이기도 하다. == 사건 == === 실제 === * [[봄]] - 3년간의 내전에 지친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왕 [[브와디스와프 2세]] 요가일라가 사촌이자 반란을 일으킨 비타우타스에게 대공 작위를 대가로 평화를 제의하였다. * [[4월 26일]] : [[정몽주]]가 [[선죽교]]에서 살해당함. [[정몽주]]의 굳건한 정신을 담은 시 '[[단심가]]'가 쓰인 날이기도한다.[* 헌데, 일각에서는 이 시가 정몽주의 창작물이 아니고, 전해져 내려오는 시구를 적절히 인용한 것이라고도 본다. [[단심가]] 문서 참조.] * [[8월 2일]] - 요가일라와 비타우타스 간의 오스트루프 평화 협정이 체결되며 리투아니아 내전이 종식되었다. [* 비타우타스가 리투이니아 대공으로, 스킬갈리아는 [[키이우|키예프]] 공작이 되었다.] * [[8월 13일]] : 음력 7월 17일, [[이성계|태조]]가 [[개성시|송경]] [[수창궁]]에서 [[공양왕]]으로부터 [[선위]]의 형식으로 고려의 임금 자리를 물려받음으로서 '''[[고려]]가 34대 475년만에 멸망하고''', '''[[조선]]이 개국했다.''' * [[9월 3일]] : 음력 8월 8일, [[이성계|태조]]가 [[정안군]]을 자신의 고조부인 [[이안사|목조]]가 묻힌 동북면 지역에 파견해 [[이성계|태조]]의 4대조에게 제사를 올리게 하고, 각 무덤마다 능호를 붙였다.[* [[이안사|목조]]의 능에 '덕릉', 그 부인인 [[효공왕후]]의 능에 '[[안릉]]'이란 이름을 붙인다.] * 음력 [[10월 19일]] : [[일본]] 축주 태수 장충가가 승려 장주·종순 등을 파견해, 사로잡혀 있던 조선인들을 돌려보내고 친선 도모를 청함. * 음력 [[10월 28일]] : 덕릉 주위의 민가 몇 호와 권무 2명을 수릉호(守陵戶)로 두어 능지기 역할을 맡게끔 함과 동시에, 그 옆에 재궁(齋宮=재실)을 함께 마련했다. * [[10월 15일]] : [[일본]] [[남북조시대(일본)|남조]]의 마지막 덴노인 [[고카메야마 덴노]]가 화친파의 주장에 따라 [[아시카가 요시미츠]]에게 평화를 요청한다. 이후 [[교토]]로 돌아와 당시 [[남북조시대(일본)|북조]]의 덴노였던 [[고코마츠 덴노]]에게 [[미쿠사노카무다카라|3종신기]]를 건네며 양위하였다. '''이로써 56년에 걸친 [[남북조시대(일본)|남북조시대]]가 막을 내린다.'''[* 당시 평화 조약의 조건으로 남북조 덴노들이 각각 왕좌를 교대로 계승하는 것이 있었는데, 이는 [[1412년]] 파기된다.] * [[12월 1일]] : [[조선]]에서 인재의 천거 등과 같은 시무책을 정한다. * 음력 [[11월 29일]] : 예문관 학사 [[한상질]]을 [[명나라]] [[난징|금릉]]에 보내, [[조선]]과 [[화령]] 중 어느 것을 [[국호]]로 고칠지 결정을 청하였다.[* 근데 명나라 황제의 비위를 맞춰주기 위했던 감이 없잖아 있다. 일부 학자들은 명나라 황제가 ''''[[기자조선|기자조선설]]([[상나라]] 귀족인 [[기자(중국)|기자]]가 고조선 지역을 책봉 받아 국가를 세웠다는 설)'에 의거해 조선이라는 국호를 고른 것'''이라 하기도 한다.] * 음력 11월 : [[조선]]이 승려 각추를 [[무로마치 막부]]에 파견해, [[왜구]] 소탕, 포로 귀환, 친선 도모를 요청했다. 당시 [[쇼군]]이였던 [[아시카가 요시미츠]]는 사신과 함께 포로 100명을 송환하여 조선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말와 술탄국]]이 독립하였다.''' * 지도자와 그의 사촌 간 집안싸움 격이었던 리투아니아 2차 내전이 종결되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향교|능주향교]]가 지어졌다.[* 원래는 능주 서쪽에 있었으나, [[선조(조선)|선조]] 33년([[1600년]])에 하응도가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또한 [[향교|면천향교]][* 정확한 건설년도는 불명확하나, [[이성계|태조]] 원년에 지었다고 전해져 내려온다.], [[향교|김산향교]], [[향교|문경향교]], [[향교|함안향교]], [[향교|광주향교]], [[향교|동래향교]], [[서원#s-1|구호서원]] 등의 교육 기관이 전국적으로 지어지게 된다.[* 대부분의 [[향교]]가 [[이성계|태조]] 대에 지어졌는데, 이는 1392년 태조가 각도의 안찰사들에게 교육의 개혁을 명령하면서 비롯되었다.] * [[고려]] [[성리학]]의 대가 [[이색(고려)|이색]]의 아들 이종학이 [[정도전]]의 사주를 받은 손흥종과 김여지에 의해 암살당함. * [[호조(조선)|호조]] 소속[* 정확히는 [[1405년]] [[육조]] 직무를 나눌 때 호조에 소속된다.]의 관서 내부시[* [[이방원|태종]] 1년([[1401년]])에 내자시로 고쳐진다.]가 설립된다.[* 왕실의 재물을 넣어두던 부고(府庫)의 출납, 궁궐 내 등불의 점멸(點滅)을 담당하였다. 훗날 [[이방원|태종]] 대에 들어서면서 의성고와 병합되어, 왕실에서 사용되는 쌀, 국수, 술, 간장, 기름, 꿀, 채소, 과일, 꽃 및 내연직조(內宴織造) 등도 관장하는 한편, 왕자를 낳은 왕비의 권초례(捲草禮)를 봉안하는 일도 도맡았다.] * '''[[정도전]]이 [[요동#s-1]] 정벌을 계획하기 시작함.'''[* [[명나라]]에게 보내는 경고였을 뿐이라는 해석이 강하다. 실제로 이루어지진 못했다.] * [[베네치아 공화국]]이 [[알바니아/역사#s-2|알바니아 왕국]]의 항구 도시 [[두러스]]를 수중에 넣었다. * [[도교]] 관련 관청이었던 [[복원궁]] 신격전, [[정사색]], 소전색, 태일전, 구요당, 청계배성소 등을 [[대청관]]과 소격전에 통합한다.[* [[세조(조선)|세조]] 12년([[1467년]])에 [[소격서]]로 이름을 고친다.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관청이었다.][* [[녹화사업(비밀 공작)|녹화사업]] 및 [[국군기무사령부]]로 대표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의 이름을 여기서 따왔다.] * [[고려]] 때 있었던 광흥창의 예를 그대로 이어받아 다시 짓는다.[* 모든 관리들의 녹봉 수입, 지출을 관리하는 관청으로 [[호조(조선)|호조]] 소속이다. 지금의 [[마포구]] [[창전동(서울)|창전동]]에 위치했었는데, 그래서 이 부근에 생긴 지하철역에 [[광흥창역]]이란 이름을 붙인다.] * 왕이 탈 말, 수레, 마구와 목축을 관장하는 사복시를 설치한다. * [[실레시아]] (슐레지엔)의 귀족 블라디슬라브 오폴치크가 [[신성 로마 제국]], [[튜튼 기사단]], 실레시아, [[헝가리]]에 의한 [[폴란드 분할]]을 제기하였으나 거절되었다. * 무함마드 7세가 [[나스르 왕조]]의 술탄으로 즉위하였다. * [[잉글랜드]] 의회가 '교황존신죄법'을 제정한다.[* [[헨리 8세]] 시절인 [[1529년]], [[토머스 울지]]가 이 혐의를 뒤집어쓰고 실각한 것으로 유명한데, 곧''' '[[교황]]을 국왕보다 높은 존재로 여기고 행동을 실행한 죄' '''이다.] * 토머스 우드스톡 제1대 [[글로스터#s-1]] 공작이 [[아일랜드]] 주 지사 작위를 수여받으나, '''그와 동시에 그곳으로의 여행을 금지당한다.''' * 루이 드 발루아가 초대 오를레앙 공작이 되었다. * 독일의 [[에어푸르트]] 대학이 세워졌다. === 가상 === == 탄생 == === 실제 === * [[5월 23일]] - 제임스 버틀러 : [[아일랜드]]의 백작. * [[9월 23일]]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 [[이탈리아]] 비스콘티 가문 출신의 밀라노 공작이자 정치가. * [[12월 18일]] - [[선성군]] : [[조선]] 2대 [[국왕]] [[정종(조선)|정종]]의 4남 * 일자불명 * [[순평군]] : [[조선]] 2대 국왕 [[정종(조선)|정종]]의 차남 * 존 드 모브레이 : [[잉글랜드]]의 귀족. * 존 애런델 : [[잉글랜드]]의 기사. [[콘월]] 주장관이었다. * 플라비오 비온도 :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역사학자. === 가상 === == 사망 == === 실제 === * [[2월 2일]] - 아그니스 합스부르크 : [[합스부르크 왕가]]의 공주. * [[4월 26일]] - [[정몽주]] : 고려의 문신, 유학자. * 율리우스력 [[8월 18일]] : [[조선]]의 중추원사 김인찬.[[http://sillok.history.go.kr/id/kaa_10107030_002|김인찬 졸기.]] * [[5월 17일]] - [[주표]] : 명나라의 황태자, [[홍무제]]의 장남 * [[9월 10일]] - [[이숭인]] : 고려 말기의 시인, 대학자[* 고려육은(高麗六隱) 중에 한 사람이며, [[길재]] 대신 [[삼은]]으로 꼽히기도 하는 인물. 허나 조선 건국 이후 장형을 받고 죽는다.] * [[12월 10일]] - [[배극렴]] :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무신, 문신, 정치가이자 조선의 개국공신 * 일자불명 * 이종학 : 고려 말기의 문신, 시인 * [[조리그투 칸]][* 묘호는 공종(恭宗).] : [[몽골 제국]]의 18대 대칸 * 김진양 : 고려 말기의 문신[* [[정몽주]]의 지시로 [[이성계]]를 암살하려 했으나 도리어 반격당해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 마쓰다이라 노부시게 :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영주[* [[미카와|미카와 국]] 마쓰다이라 향.] * 이반계 :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추증 [[영의정]][* 조선 개국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며 단식해 결국 7일만에 숨을 거뒀다. 이를 가상히 여긴 [[이방원|태종]]이 그의 절의를 기려 훗날 [[영의정]]에 추증한다.] * 논란 * 목인길 : 고려의 무신이자 재상. 고려 대에 반역죄로 유배되었다가 조선 건국 이후 풀려나 고향인 [[사천시|사천]]에서 생을 마쳤다는 [[https://ko.wikipedia.org/wiki/%EB%AA%A9%EC%9D%B8%EA%B8%B8|설]]이 있는가 하면, 유배된 해인 [[1380년]] 유배지에서 죽었다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6182&cid=46621&categoryId=46621|설]]도 있다. === 가상 === == 기타 == [[무한도전 TV특강]] 특집에서 멤버들이 직접 역사 강의를 했을 때, [[노홍철]]이 조선이 건국된 1392년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년도인 [[1492년]], 그리고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을 묶어 1492±100년으로 조선의 굵직한 일을 설명했었다. [[분류: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