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화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2mm_2A65.jpg|width=100%]]}}} || || '''152-мм гаубица «Мста-Б»[br]2А65 «Мста-Б»'''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LEUjiIMDmM)]}}} || || '''러시아 연방군 소속 2A65 므스타-B 발사 영상''' || [[냉전]]기 소련에서 개발된 구경 [[152mm|152.4mm]] 견인[[곡사포]]. == 제원 == == 개발사 == 1970년대 초에 등장한 [[152mm 2A36 기아친트-B]] 야전 [[평사포]]와 별개로 기존의 [[152mm ML-20 곡사포|ML-20]]과 [[152mm D-1 곡사포|D-1]], [[D-20]]같은 구형 152mm [[곡사포]]들을 대체하기 위한 신형 곡사포로 Titan-Barrikady 공장에서 1976년부터 개발되었다. 생산은 모토빌리카 공장에서 진행했다. 동구경의 기존 구형 야전 곡사포들보다 사정거리와 포탄 탄속, 포신 올림각, 포탄 위력 증가 등의 성능 강화를 목표로 하였다. 포탄도 새로 설계되면서 기존보다 공기역학 성능이 향상되고 탄도 궤적이 안정되었다. == 운용 == 1986년에 소련 육군이 채택하면서 도입이 시작되었다. 생산은 1987년부터 시작되어 1200문 이상이 만들어졌다. NATO에서는 이를 M1987이라는 코드명으로 불렀다. [[2S19 므스타-S]]의 무장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정확히는 2A65에 포신 배연기를 추가하는 개량이 가해진 2A64 곡사포가 사용되었다. 당시 소련에서 개발된 [[크라스노폴]] 지능형 고폭탄도 사용할 수 있다. 견인은 [[우랄-4320]]같은 군용 트럭이 맡았다. == 파생형 == * '''2A64''' [[2S19 므스타-S]] 자주포의 주무장으로 사용된 버전. 포신에 [[배연기]]가 추가되었다. * '''M-390''' [[155mm]] 구경의 수출형 사양으로 NATO 표준 155mm 포탄을 운용할 수 있다. 예카테린부르크의 9번 공장에서 개발되었다. * '''MZ-146-1''' 수출형 155mm 사양 곡사포. 2008년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포신에 배연기가 있다. == 실전 == === [[돈바스 전쟁]] === === [[시리아 내전]]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사용 국가 == === 소련 === 원조 사용국. === 러시아 === 러시아 육군과 러시아 해군 보병대가 사용한다. === 조지아 === 10대. === 우크라이나 === 130대. === 벨라루스 === 108대. === 카자흐스탄 === 50대. === 투르크메니스탄 === 6대. === 시리아 === == 미디어 == * [[WARNO]]에서 소련군 곡사포로 등장한다. 견인포 중에서는 최고 수준의 명중률과 사거리를 보여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152mm]][[분류:곡사포]][[분류:야포]][[분류:GRAU 코드명]][[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우크라이나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