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주요선거)] ||<-4> {{{+1 {{{#fff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br]{{{#fff '''1912 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주별 결과.svg|width=100%]]}}}{{{#!wiki style="margin:-10px 0px;" {{{-3 ▼}}}}}} || ||<-4><#e81018>{{{#!wiki style="margin: -16px -12px -22px; letter-spacing: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right: -0.5px; margin-bottom: -1px; width: 81.9%;" ||<#00a6ef>[[우드로 윌슨|{{{#FFF '''윌슨'''}}}]] {{{-2 '''523인 (81.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0.5px; margin-bottom: -1px; width: 16.5%;" ||<#A2ED70> {{{#!wiki style="color: rgba(0, 0, 0, 0);" ·}}}||}}}}}}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2 [[1908년]] [[11월 3일]]}}}[br][[1908년 미국 대통령 선거|1908 대선]] || → || {{{-2 [[1912년]] [[11월 5일]]}}}[br]'''1912 대선''' || → || {{{-2 [[1920년]] [[11월 7일]]}}}[br][[1916년 미국 대통령 선거|1916 대선]] ||}}} || || {{{#0d164a '''투표율'''}}} ||<-3>58.8% || ||<-4> {{{#ffffff '''선거 결과'''}}} || || {{{#0d164a '''후보'''}}} || [[공화당(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81018; font-size: .8em" {{{#ffffff '''공화당'''}}}}}}]][br]'''{{{-2 대통령}}}[br][[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윌리엄 H. 태프트]][br]{{{-2 부통령}}}'''[br]{{{#!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니콜라스 M. 버틀러[* 원래 부통령 지명자는 현직 부통령인 제임스 S. 셔먼이었지만 선거 6일 전에 사망하는 바람에 이 사람이 대신해 선거인단 투표를 받았다.]'''}}} || [[민주당(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5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EF; font-size: .8em" {{{#ffffff '''민주당'''}}}}}}]][br]'''{{{-2 대통령}}}[br][[우드로 윌슨]][br]{{{-2 부통령}}}[br][[토머스 R. 마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2ED70; font-size: .8em" {{{#000 '''진보당'''}}}}}}[br]'''{{{-2 대통령}}}[br][[시어도어 루스벨트]][br]{{{-2 부통령}}}[br][[하이럼 존슨]]''' || ||<|2> {{{#0d164a '''선거인단'''}}}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calc(8*100%/531), #00A6EF 0%, #00A6EF calc((8 + 435)*100%/531), #A2ED70 0%, #A2ED70)" }}} || || 8인 || '''435'''인 || 88인 || ||<|2> {{{#0d164a '''전국 득표'''}}}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23.2%, #00A6EF 0%, #00A6EF 65.0%, #808080 0%, #808080 72.6%, #A2ED70 72.6%, #A2ED70)" }}} || || 23.2%[br]3,486,242표 || '''41.8%[br]6,296,284표''' || 27.4%[br]4,122,721표 || ||<-2> {{{#fff '''대통령 당선인'''}}} ||<-2> {{{#fff '''부통령 당선인'''}}}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윌슨&마샬.jpg|width=100%]]}}} || ||<-4> [[민주당(미국)|{{{#fff '''민주당'''}}}]][br]{{{#!wiki style="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6px 0" {{{+2 [[우드로 윌슨|{{{#fff '''우드로 윌슨'''}}}]]}}}}}} || {{{#!wiki style="margin: -6px 0" {{{+2 [[토머스 R. 마셜|{{{#fff '''토머스 R. 마셜'''}}}]]}}}}}} ||}}} || [목차] [clearfix] == 개요와 배경 == [[미국]]의 27대 혹은 28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 집권 여당인 공화당의 내부분열로 표가 분산되어 민주당 후보인 우드로 윌슨이 8개주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1위를 차지하며 16년만에 정권교체가 되었다. 이전 선거까지 본토 내 준주였던 [[애리조나]]와 [[뉴멕시코]]가 1912년 주로 승격되면서 미국 본토 지역 모든 주에서 선거인단을 배출할 수 있게 되었다. == 후보 == === 민주당 === 무려 46회 까지 가는 경선 끝에 [[우드로 윌슨]] [[뉴저지]] 주지사가 민주당 대통령 후보에 지명 되었다. 부통령 후보 경선은 2차만에 [[토머스 R. 마셜]] [[인디애나]] 주지사로 확정 되었다. === 공화당 === [[윌리엄 태프트]] 현 대통령과 그의 보수 정책에 반발한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을 포함한 5명의 후보가 경선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당시 주류였던 보수파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선거인단을 구성하여 최종 후보로 태프트 현 대통령이 결정 되었다. 루스벨트 전 대통령과 그의 지지 세력인 진보파는 이에 반발하여 공화당을 탈당하였다. 부통령 후보는 [[제임스 S. 셔먼]] 현 부통령이 경선에 지명 되었으나 얼마안가 지병으로 사망하여 니콜라스 머레이 버틀러 후보가 최종 부통령 후보로 확정 되었다. === 진보당 === [[진보당(미국 1912년)]] 참조.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을 포함한 공화당 내 진보파들은 경선과정의 문제로 공화당을 탈당하여 진보당을 창당. 대통령 후보에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을 부통령 후보에는 [[하이럼 존슨]]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지명하였다. === 기타 정당 === * [[미국 사회당(1901)|사회당]] : [[유진 데브스]] 총재를 대통령 후보에 지명하고 러닝메이트로 에밀 세이델 [[밀워키]] 시장을 지명하였다. * 금지당 : 대통령 후보에 유진 샤핀, 부통령 후보에 에이런 왓킨스를 지명하였다. * [[미국 사회주의노동당]] : 대통령 후보에 아서 라이머, 부통령 후보에 어거스트 길하우스를 지명하였다. == 결과 == 우드로 윌슨은 41.8%의 득표율을 얻는 데에 그쳤지만 선거인단의 82%인 435명을 확보하여 당선되었다. 범 공화당 계열 후보들인 루스벨트와 태프트의 득표율은 합쳐서 50%가 넘었으나 표가 갈린 탓에 진보당과 공화당은 각각 6개 주(선거인단 88명), 2개 주(선거인단 8명)에서만 승리하였고 그렇게 민주당이 어부지리 승리를 거뒀다. ||<-12>
{{{#ffffff {{{+5 '''최종 선거 결과'''}}} }}} || ||<-12> {{{#ffffff {{{+1 투표 시간}}} }}} || ||<-12> 1912년 11월 5일(UTC +9} || ||<-12> {{{#ffffff {{{+1 투표 결과}}} }}} || || 후보자 || [[우드로 윌슨|{{{#ffffff 우드로 윌슨}}}]] || [[시어도어 루스벨트|{{{#ffffff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ffffff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 '''선거인단 수''' || '''{{{#ffffff 435 / 531명}}}''' || '''{{{#ffffff 88 / 531명}}}''' || '''{{{#ffffff 8 / 531명}}}''' || || 전국 득표 수 || {{{#ffffff 6,296,284표 (41.8%)}}} || {{{#ffffff 4,122,721표 (27.4%)}}} || {{{#ffffff 3,486,242표 (23.2%)}}} || ||<-12>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s-7|{{{#ffffff 당선인 }}}]] || ||<-12> [[파일:President_Wilson_1919-bw.tif.png|width=100%]]|| ||<-12> '''[[우드로 윌슨|{{{#ffffff {{{+2 우드로 윌슨}}} }}}]]''' || == 여담 == * 공화당의 분열은 1860년의 선거의 민주당의 사례와 유사하다. 당시 민주당은 노예제 문제를 두고 당이 북부와 남부로 갈라지는 바람에 공화당에게 정권을 내줘야만 했었다. * 태프트는 이번 선거에서 선거인단 확보가 단 8명에 그쳐 1936년 같은 당의 알프 랜던 후보와 같이 공화당 역사상 최저 선거인단이었다.[* 표가 갈려서 대부분의 주에서 민주당이 1위를 차지한 것도 있고, 그나마 보수 계열이 승리한 곳에서도 대부분 진보당의 루스벨트가 태프트를 앞서면서 단 '''2개'''의 주에서만 승리를 거두었다.] == 관련 문서 == * [[미국/정치]] * [[미국 대통령]] * [[미국 대통령 선거]] [[분류:미국의 대통령 선거]][[분류:태프트 행정부]][[분류:시어도어 루스벨트]][[분류:19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