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1 '''1946년 프랑스 제헌의회 선거'''}}}}}} || ||<-5>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45년]] [[10월 21일]]}}}}}}[[1945년 프랑스 제헌의회 선거|1945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46년]] [[6월 2일]][br]'''1946 6월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46년]] [[11월 10일]][br][[1946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1946 11월 선거]]}}}}}} || }}}}}} || || {{{#002395,#7469E9 '''일정'''}}} ||<-4>6월 2일 || || {{{#002395,#7469E9 '''투표율'''}}} ||<-4>81.85% || ||<-5> {{{#ffffff '''선거 결과'''}}} || ||<-5>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5>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해방 이후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에서 실시된 두 번째 제헌의회 선거. == 배경 == [[1945년 프랑스 제헌의회 선거]]에서는 [[프랑스 공산당]],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대중공화연합의 3당 연합이 제헌의회에서 과반을 차지했다. 하지만 3당 연합은 임시정부의 주석인 [[샤를 드골]]과 행정부의 체제를 놓고 갈등을 빚었고, 샤를 드골은 결국 1월 주석에서 물러났다. 이후 공산당과 SFIO가 중심이 되어 제정된 헌법 초안이 우파의 반대 속에 5월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고, 결국 제헌의회가 해산되어 5월에 다시 제헌의회 선거가 열리게 된다. == 투표 == ||<-4> '''{{{#fff 1946년 프랑스 제헌의회 선거[br](1946. 06. 02.)}}}''' || || '''{{{#fff 정당}}}''' || '''{{{#fff 득표수}}}''' || '''{{{#fff 득표율}}}''' || '''{{{#fff 의석수}}}''' || || [[대중공화운동|{{{#000 '''대중공화운동'''}}}]] || 5,589,213 || 28.22% || 166석 || || [[프랑스 공산당|{{{#fff '''프랑스 공산당'''}}}]] || 5,145,325 || 25.98% || 153석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fff '''SFIO'''}}}]] || 4,187,747 || 21.14% || 128석 || || {{{#fff '''자유공화당'''}}} || 2,538,167 || 12.82% || 78석 || || [[급진당(프랑스)|{{{#fff '''급진당'''}}}]] || 2,299,963 || 11.61% || 52석 || || {{{#fff '''기타'''}}} || 44,915 || 0.23% || 9석 || 선거 이후 제헌의회가 다시 구성되어 양원제와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새로운 개헌안을 제안했고, 10월 13일 국민투표에서 헌법이 가결되었다. 2주 뒤인 10월 27일, [[프랑스 제4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 == 관련 문서 == * [[프랑스/정치]] * [[프랑스 국민의회]] *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분류:프랑스 국민의회 선거]][[분류:1946년 선거]][[분류:프랑스(20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