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include(틀: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목차] [clearfix] == 개요 == || '''{{{#df6911 순위}}}''' ||<-2> '''{{{#df6911 팀명}}}''' || '''{{{#df6911 경기수}}}''' || '''{{{#df6911 승}}}''' || '''{{{#df6911 무}}}''' || '''{{{#df6911 패}}}''' || '''{{{#df6911 득점}}}''' || '''{{{#df6911 실점}}}''' || '''{{{#df6911 득실차}}}''' || '''{{{#df6911 승점}}}''' || || '''1'''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2 || 1 || 1 || 0 || 5 || 4 || +1 || '''3''' || || 2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2 || 1 || 0 || 1 || 4 || 3 || +1 || 2 || || 3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2 || 0 || 1 || 1 || 2 || 4 || -2 || 1 || ||<-11><:>{{{#8E8 '''■'''}}} 토너먼트 진출 | {{{#FBB '''■'''}}} 탈락||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의 13개국 본선 13강 조별 라운드의 진행 상황 중, 3조에 대해 정리하는 페이지. == 1경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2 vs 3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 경기장 ||<-2> 이스타지우 두 파카엠부[br][[상파울루]] - [[브라질]] || || 경기일 ||<-2> 1950년 6월 25일 15:00[br](1950년 6월 26일 03:00) || || 국 가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 득 점 || 2 || '''3''' || || 득점자 ||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7')[br]에르메스 무치넬리 (78') || 한스 예프손 (25', 69')[br]수네 안데르손 (34') || || {{{#ffffff '''라인업''' }}}[* 원래 이 대회부터 [[등번호]]가 있었지만 이 때의 [[등번호]]는 선수에 매겨진 것이 아니라 포지션에 따라 매겨졌고, 현실적으로 모든 경기에 포메이션이 남아있지 않아 등번호의 기재는 생략했다.] || {{{#ffffff '''이름''' }}} || {{{#ffffff '''비고''' }}} || {{{#0000ff '''라인업''' }}} || {{{#0000ff '''이름''' }}} || {{{#0000ff '''비고''' }}} || ||<|11> 선발 || 루치디오 센티멘티 || GK ||<|11> 선발 || 카예 스벤손 || GK || || 아틸리오 지오반니니 || || 레나트 사무엘손 || || || 제피로 푸리아시 || || 수네 안데르손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 카를로 안노바치 || || [[에리크 닐손]]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아우구스토 말리 || || 잉바르 고르드 || || || 카를로 파롤라 || || 크누트 노르달[* [[AC 밀란]]의 전설적인 스트라이커 [[군나르 노르달]]의 [[형]]이다.] || || ||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렌나르트 스코글룬드]] || || || 알도 캄파텔리 || || 스텔란 닐슨 || || || 에르메스 무치넬리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스티그 순드크비스트 || || ||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 || 칼예리크 팔미에르 || || || 지노 카펠로 || || 한스 예프손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11> 교체 || 주세페 모로 || GK ||<|11> 교체 || 토르스텐 린드베리 || GK || || 주세페 카사리 || GK || 군나르 요한손 Ⅱ || || || 오스발도 파토리 || || 아네 몬손 || || || 이바노 블라손 || || 울레 울룬드 || || || 레안드로 레몬디니 || || 브로르 멜베리[* 117경기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대표팀]] 수비수 중 역대 최다 A매치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는 [[올로프 멜베리]]가 그의 종손자이다.] || || || 오메로 토니온 || || 이에곤 욘손 || || || 지아코모 마리 || || 잉바르 리델 || || || 베니토 로렌지 || || || || || 아메데오 아마데이 || || || || || 에밀리오 카프릴레 || || || || || 에지스토 판돌피니 || || || || 3조의 첫 경기는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 벌어졌다.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는 [[수페르가의 비극]]을 겪어 전력이 많이 약화된 채로 대회에 출전했는데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가 이 비극을 딛고 과연 조 1위로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결선 리그]]에 진출할 수 있을지도 큰 관심사였다. 당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의 스쿼드에는 [[수페르가의 비극]]을 겪지 않아 살아남은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발렌티노 마촐라]]의 사망으로 그가 [[토리노 FC]]의 주장 완장을 이어받았다.], [[유벤투스]]의 어린 에이스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등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카라펠레세는 경기가 시작된지 7분 만에 왼발 슈팅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선수들은 집념을 가지고 열심히 뛰었다. 하지만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의 예프손이 이탈리아의 왼쪽 골문을 뚫는 슈팅으로 동점골을 넣었고 전반 33분에는 문전 상황에서 페널티 박스 밖으로 흐른 공을 수네 안데르손이 침착하게 중거리 슈팅으로 연결,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이 결국 경기를 뒤집고 말았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는 계속 골문을 두드렸지만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의 골문을 열지 못했고 오히려 후반 24분에는 예프손에게 한 골을 더 얻어맞고 패색이 짙어졌다. 후반 30분, 라이트 윙 무치넬리가 한 골을 추가했고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는 계속 공격을 퍼부었지만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의 [[골키퍼]] 카예 스벤손의 방어를 뚫지 못한 채 결국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의 승리로 끝났다. 공교로운 것이, 그로부터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유럽)/플레이오프|68년 후]] 거의 비슷하게 스웨덴이 이탈리아를 눌러버렸고 그로 인해 스웨덴은 본선에 올랐고 이탈리아는 지역예선에서 떨어졌다. 다만 차이점이라면 스웨덴이 1950년 때는 3:2로 이겼고 2018년에는 1:0으로 이겼다는 점이다. == 2경기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2 vs 2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 경기장 ||<-2> 이스타지우 두리발 지 브리투[br][[쿠리치바]] - [[브라질]] || || 경기일 ||<-2> 1950년 6월 29일 15:30[br](1950년 6월 30일 03:30) || || 국 가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br][[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 득 점 || 2 || 2 || || 득점자 || 스티그 순드크비스트 (17')[br]칼-예리크 팔미에르 (26') || 세사르 로페스 프레테스 (35')[br]아틸리오 로페스 (74') || || {{{#0000ff '''라인업''' }}} || {{{#0000ff '''이름''' }}} || {{{#0000ff '''비고''' }}} || {{{#003366 '''라인업''' }}} || {{{#003366 '''이름''' }}} || {{{#003366 '''비고''' }}} || ||<|11> 선발 || 카예 스벤손 || GK ||<|11> 선발 || 마르셀리노 바르가스 || GK || || 레나트 사무엘손 || || 마누엘 가빌란 || || || 수네 안데르손 || || 알베르토 곤살레스 || || || [[에리크 닐손]]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카시아노 세스페데스 || || || 잉바르 고르드 || || 비토리아노 레기사몬 || || || 크누트 노르달 || || 카스트로 칸테로 || || || [[렌나르트 스코글룬드]] || || 다리오 하라 사기에르 || || || 스티그 순드크비스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레온히노 운사인 || || || 이에곤 욘손 || || 세사르 로페스 프레테스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 칼-예리크 팔미에르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아틸리오 로페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 한스 예프손 || || 엔리케 아발로스 || || ||<|11> 교체 || 토르스텐 린드베리 || GK ||<|11> 교체 || 파블로 센투리온 || GK || || 군나르 요한손 Ⅱ || || 안토니오 카브레라 || || || 아네 몬손 || || 엘리오로 파레데스 || || || 울레 울룬드 || || 멜라니오 바에스 || || || 브로르 멜베리 || || 아르만도 곤살레스 || || || 스텔란 닐슨 || || 로렌소 칼롱가 || || || 잉바르 리델 || || 마르샬 아발로스 || || || || || 앙헬 베르니 || || || || || 일라리온 오소리오 || || || || || 프란시스코 소사 || || || || || 후안 레온 카녜테 || || 만약 이 경기에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이 승리를 거두면 그대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이 결승 리그에 가는 상황이었다.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은 이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를 상대로 승리를 따냈기 때문에 한결 여유가 있었다.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은 전반 17분, 순드크비스트가 [[골키퍼]]와의 1:1 상황에서 골을 넣으며 선제골을 넣었고 26분에는 팔미에르가 추가골을 넣어 승리를 거의 눈앞에 두었다. 하지만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의 반격도 만만치 않아서 전반 35분에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의 아틸리오 로페스가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수비수들을 제치고 골을 넣었다. 그리고 후반 29분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의 동점골이 터져 양 팀이 사이좋게 무승부로 승부가 결정되었다. == 3경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2 vs 0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 경기장 ||<-2> 이스타지우 두 파카엠부[br][[상파울루]] - [[브라질]] || || 경기일 ||<-2> 1950년 7월 2일 15:00[br](1950년 7월 3일 03:00) || || 국 가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br][[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 득 점 || '''2''' || 0 || || 득점자 ||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12')[br]에지스토 판돌피니 (63') || || || {{{#ffffff '''라인업''' }}} || {{{#ffffff '''이름''' }}} || {{{#ffffff '''비고''' }}} || {{{#003366 '''라인업''' }}} || {{{#003366 '''이름''' }}} || {{{#003366 '''비고''' }}} || ||<|11> 선발 || 주세페 모로 || GK ||<|11> 선발 || 마르셀리노 바르가스 || GK || || 오스발도 파토리 || || 마누엘 가빌란 || || || 이바노 블라손 || || 알베르토 곤살레스 || || || 제피로 푸리아시 || || 카시아노 세스페데스 || || || 레안드로 레몬디니 || || 비토리아노 레기사몬 || || || 지아코모 마리 || || 카스트로 칸테로 || || ||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다리오 하라 사기에르 || || || 아메데오 아마데이 || || 레온히노 운사인 || || || 에르메스 무치넬리 || || 세사르 로페스 프레테스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에지스토 판돌피니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아틸리오 로페스 || || || 지노 카펠로 || || 엔리케 아발로스 || || ||<|11> 교체 || 루치디오 센티멘티 || GK ||<|11> 교체 || 파블로 센투리온 || GK || || 주세페 카사리 || GK || 안토니오 카브레라 || || || 아틸리오 지오반니니 || || 엘리오로 파레데스 || || || 카를로 안노바치 || || 멜라니오 바에스 || || || 아우구스토 말리 || || 아르만도 곤살레스 || || || 오메로 토니온 || || 로렌소 칼롱가 || || || 카를로 파롤라 || || 마르샬 아발로스 || || || 베니토 로렌지 || || 앙헬 베르니 || || || 알도 캄파텔리 || || 일라리온 오소리오 || || || 에밀리오 카프릴레 || || 프란시스코 소사 || || ||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 || 후안 레온 카녜테 || || 3조의 마지막 경기는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와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의 일전이었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는 전 경기에서 이미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이 무승부를 거두었기 때문에 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탈락이 확정된 상황이었지만 디펜딩 챔피언으로서의 자존심과 함께 [[수페르가의 비극]]으로 희생된 동료 선수들에게 조금이라도 좋은 경기력을 펼쳐보이고 싶은 결의가 있었고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는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을 제치고 4강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결선 리그]] 진출을 위해서는 무조건 승리를 거두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당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의 감독은 루치아노 로보였는데 [[토리노 FC]]의 회장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직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가 [[FIFA 월드컵 트로피|줄 리메 컵]]을 사고 희생자들의 [[영전]]에 바치고 싶은 마음이 가장 컸을 것이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는 7명의 멤버를 바꾼 채로 이 경기에 임했고 그 멤버들은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를 몰아붙였다. 그 결과 전반 12분, [[주장]] 카라펠레세가 선제골을 터뜨렸다. 아마데이의 크로스를 받아 무릎으로 골을 넣은 것이다. 선제골 이후에 양 팀은 계속된 공방전을 펼쳤지만 큰 소득이 없이 전반전이 끝났다. 후반 17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의 판돌피니가 카라펠레세의 크로스를 받아 쐐기골을 넣었고 경기는 그대로 종료되었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는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를 상대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지만 이미 탈락(7등)[* 당시 8강전이 없었다.]이 확정된 상황이라 그들의 능력을 [[브라질]]에서는 더 이상 보여줄 기회가 없었다. == 4강 결선 리그 진출팀 ==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이후 정보는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항목에서 기재. [각주] [[분류:1950 FIFA 월드컵 브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