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include(틀: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목차] [clearfix] == 개요 == || '''{{{#df6911 순위}}}''' ||<-2> '''{{{#df6911 팀명}}}''' || '''{{{#df6911 경기수}}}''' || '''{{{#df6911 승}}}''' || '''{{{#df6911 무}}}''' || '''{{{#df6911 패}}}''' || '''{{{#df6911 득점}}}''' || '''{{{#df6911 실점}}}''' || '''{{{#df6911 득실차}}}''' || '''{{{#df6911 승점}}}''' || || '''1'''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1 || 1 || 0 || 0 || 8 || 0 || +8 || '''2''' || || 2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 1 || 0 || 0 || 1 || 0 || 8 || -8 || '''0''' || ||<-11><:>{{{#8E8 '''■'''}}} 토너먼트 진출 | {{{#FBB '''■'''}}} 탈락||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의 조별 라운드의 진행 상황 중, 4조에 대해 정리하는 페이지. == 1경기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8 vs 0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 || 경기장 ||<-2> 이스타지우 인디펜덴시아[br][[벨루오리존치]] - [[브라질]] || || 경기일 ||<-2> 1950년 7월 2일 18:00[br](1950년 7월 3일 06:00) || || 국 가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br][[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 득 점 || '''8''' || 0 || || 득점자 || '''[[오스카르 미게스]]''' (14', 40', 51')[br][[에르네스토 비달]] (18')[br][[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후안 스키아피노]] (23', 54')[br][[훌리오 페레스(1926)|훌리오 페레스]] (83')[br][[알시데스 기지아]] (87') ||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000000 '''라인업''' }}} || {{{#000000 '''이름''' }}} || {{{#000000 '''비고''' }}} || ||<|11> 선발 || [[로케 마스폴리]] || GK ||<|11> 선발 || [[에두아르도 구티에레스]] || GK || || [[마티아스 곤살레스(1925)|마티아스 곤살레스]] || || 안토니오 그레코 || || || [[에우세비오 테헤라]] || || 알베르토 아차 || || || [[후안 카를로스 곤살레스]] || || 호세 부스타만테나바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빅토르 로드리게스 안드라데]] || || 레오나르도 페렐 || || || [[옵둘리오 바렐라]]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안토니오 발렌시아 || || || [[알시데스 기지아]]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로베르토 카파렐리]] || || || [[에르네스토 비달]]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베니그노 구티에레스 || || || [[오스카르 미게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벤하민 말도나도 || || ||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후안 스키아피노]]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빅토르 알가라냐스 || || || [[훌리오 페레스(1926)|훌리오 페레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width=20]] || [[빅토르 우가르테]] || || ||<|11> 교체 || [[아니발 파스]] || GK ||<|11> 교체 || [[비센테 아라야]] || GK || || [[슈베르트 감베타]] || || 두베르티 아라오스 || || || 엑토르 빌체스 || || 레네 카브레라 || || || [[윌리암 마르티네스]] || || 엑토르 사베드라 || || || [[로돌포 피니]] || || 마리오 메나 || || || 와싱톤 오르투뇨 || || 베네딕토 고도이 || || || [[루벤 모란]] || || 빅토르 브라운 || || || 루이스 리호 || || 후안 게라 || || || [[카를로스 로메로(1927년생 축구선수)|카를로스 로메로]] || || || || || 후안 부르게뇨 || || || || || 훌리오 세사르 브리토스 || || || || [[FIFA 월드컵|월드컵]] 역사상 유일하게 단판 승부로 결정된 조별 예선 경기이다. 원래 4조에 소속되어 있던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까지 기권하면서 팀 수가 2팀으로 줄어버렸다. 원래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를 넣었더니 거절,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을 넣었더니 또 거절해서 하는 수 없이 프랑스를 넣었는데 프랑스는 참가에 응했다가 기권해버렸다. 2팀만 남은 4조에서는 누가 봐도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가 올라갈 것이 분명해보였고 우루과이는 약체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를 상대로 8:0이라는 기록적인 스코어로 압살해버렸다. 이 경기에서 [[오스카르 미게스]]는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초대 월드컵]]에서의 선배 [[페드로 세아]]에 이어 우루과이 선수로는 두 번째로 [[FIFA 월드컵|월드컵]] 무대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 결선 리그 진출팀 ==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이후 정보는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항목에서 기재. [각주] [[분류:1950 FIFA 월드컵 브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