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 ||<-3> {{{+4 ''' {{{#c12a21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 ''' }}} || ||<-3> '''{{{#fff 제9회 동계올림픽 경기대회[br]IX. Olympische Winterspiele[br] IX Olympic Winter Games[[상표|{{{#fff ™}}}]][br]{{{+1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경기대회}}}[br]Olympische Winterspiele Innsbruck 1964[br]Olympic Winter Games Innsbruck 1964}}}''' || ||<-3> [[파일: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로고.svg|width=75%]] || ||<-3> [[파일:attachment/1964_innsbruck_poster.jpg|width=100%]] || || {{{#fff ''' 대회기간 ''' }}} ||<-2> [[1964년]] [[1월 29일]] ~ [[2월 9일]] || || {{{#fff ''' 개최국 ''' }}} ||<-2>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 || || {{{#fff ''' 마스코트 ''' }}} ||<-2> 없음 || || {{{#fff ''' 참가국 ''' }}} ||<-2> 36개국 || || {{{#fff ''' 참가선수 ''' }}} ||<-2> 1,091명[br](남자: 892명, 여자: 199명) || || {{{#fff ''' 경기종목 ''' }}} ||<-2> 6개 종목, 34개 세부 종목 || || {{{#fff ''' 개회선언 ''' }}} ||<-2> 아돌프 샤르프[br],,오스트리아 대통령,, || || {{{#fff ''' 선수 선서 ''' }}} ||<-2> 파울 아스테 || || {{{#fff ''' 성화점화 ''' }}} ||<-2> 요세프 리에더 || || {{{#fff ''' 개·폐회식장'''}}} ||<-2> 베르기젤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4년 1월 29일부터 2월 9일까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개최된 제9회 동계올림픽. == 유치 == 후보 도시는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캐나다]] [[캘거리]], [[핀란드]] 라흐띠. [[1959년]] [[뮌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의 결과는.. |||||||||| 1964년 올림픽 유치 투표 과정 || || 국가 || 도시 || 1차투표 || 결과 || ||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 || '''48''' || '''유치 선정''' || || [[캐나다]] || 캘거리 || 12 || 유치 탈락 || || [[핀란드]] || 라흐띠 || 1 || 유치 탈락 || 핀란드의 라흐띠가 '''1'''표를 받는 사이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가 선정되었다. == 메달 집계 == ■ 1964 9회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1964 Winter Innsbruck Olympics) * 기간 : 1월 29일 ~ 2월 9일 * 종목 : 34개 * 참가선수 : 1,091명 * 개막일 : [[1964년]] [[1월 29일]] * 폐막일 : [[1964년]] [[2월 9일]] [[파일:대한민국동계올림픽성적5.png]] == 기타 == * 이 대회도 대회 전부터 분단국인 [[대한민국]], [[독일]], [[중국]]의 참가 문제로 시끄러웠다. 독일은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동독]]과 [[서독]]의 '독일 연합 팀'(EUA)으로 참가했다. 한국은 [[대한민국]]은 계속 한국(Korea)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고 [[북한]]은 '북한'(North Korea)으로 별도로 IOC의 승인을 받아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중국은 [[대만]]이 IOC를 대표하여 중공은 참석하지 못했고, 한편으로 [[아열대|동계스포츠 저변이 취약한]] 대만도 참가하지 않았다. * 앞서 언급한 북한과 함께 [[몽골]]과 [[인도]]가 처음으로 동계[[올림픽]] 대회에 참가하였다. 물론 몽골과 인도는 메달은 못땄지만[* [[2018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몽골과 인도는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도는 [[아시안 게임|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이 없다.], 북한은 [[스피드 스케이팅]]의 [[한필화]]가 여자 3,000m에서 예상 외의 은메달을 따며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한필화의 은메달은 이 대회에서 [[유럽]]과 [[북미]] 지역 이외의 국가 출신 선수가 얻은 유일한 메달이다. * [[소련]]의 스코블리코바는 여자 스피드스케이팅에 걸린 [[전관왕|4개의 금메달을 모두 휩쓸며]], 동계올림픽 최초의 4관왕이 되었다. 소련은 자그마치 금 11, 은 8, 동 6으로 대회를 휩쓸었다. 참고로 이 올림픽에 걸린 금메달이 모두 34개였다. 오스트리아는 금 4, 은 5, 동 3으로 2위의 나쁘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3위 [[노르웨이]]의 금 3, 은과 동 각각 6개에 메달 수가 뒤졌다. * 그해 [[인스브루크]]에는 눈이 거의 내리지 않았던 탓에, 군대까지 동원되어 산악지대에서 1㎥짜리 눈덩이 수만 개를 공수해 오기도 했다. * [[루지]]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개막하기도 전에 참가선수 2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있었다. 동계올림픽에서의 첫 사망 사고로, 1964년 1월 23일 폴란드 출신의 영국 선수 카지미에시 케이 스크시페키(Kazimierz Kay-Skrzypecki)가 루지 연습 중 트랙을 이탈해 추락사했다. 그로부터 이틀 후인 1월 25일에는 호주의 로스 밀른이 스키 활강 종목 연습 중 다른 선수를 피하려다 코스를 이탈해 나무에 부딪혀 사망했다. 공교롭게도 사망 사고가 난 루지와 스키 활강 종목 모두 동계올림픽에서 빠른 스피드로 유명한 종목들이다. 한편 밀른의 죽음을 놓고 다른 논란이 일었다. IOC에서는 당시 만 19세였던 밀른의 나이를 문제 삼아 경험 부족이 사망의 원인이 됐다면서 호주에서 어린 선수를 뽑은 게 문제가 됐다고 주장했고, 이에 당시 호주 스키팀 감독은 스키장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고 반박했다. 이후 리히텐슈타인의 에드먼드 새들러도 해당 스키장에서 주행 중 심각한 부상을 당하면서 1월 30일에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 논란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고, 유럽의 스키 관계자들은 밀른이 호주 출신인 걸 문제 삼아 호주와 뉴질랜드 출신 선수는 유럽의 험한 산지에서 스키를 타는 게 부적합하다면서 호주와 뉴질랜드 등 남반구 출신 스키선수의 활강 종목 출전을 불허해야 한다고 주장하기까지 이르렀는데, 이 논란은 로스 밀른의 동생인 말콤 밀른의 활약으로 종결됐다. 말콤 밀른은 1969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우승했고[* 비유럽권 선수로는 최초 월드컵 우승이었다.], 1970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세계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수상하는 등 유럽과 미국에서 열린 7번의 스키 대회에서 모두 10위 안에 들면서 남반구 출신 활강 선수도 얼마든지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올림픽의 경우에는 1968년과 1972년에 출전해 모두 20위권에 그쳤지만 당시 호주 선수로는 최고 기록이었다. [각주] [[분류: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