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챔피언십 시리즈]][[분류:미네소타 트윈스]][[분류:볼티모어 오리올스]] [include(틀:역대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5]] {{{#FFFFFF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 || [[1969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000 1969년}}}]][br]{{{-2 [[볼티모어 오리올스|BAL]] vs [[미네소타 트윈스|MIN]]}}} || → || '''1970년'''[br]{{{-2 [[볼티모어 오리올스|BAL]] vs [[미네소타 트윈스|MIN]]}}} || → || [[197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000 1971년}}}]][br]{{{-2 [[볼티모어 오리올스|BAL]] vs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include(틀:1970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 ||<-9>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5]] {{{#FFFFFF '''{{{+1 1970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 ||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66~1988).png|width=150]] ||<|2> '''팀''' ||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61~1975).svg|width=150]]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미네소타 트윈스]]''' || || '''108승 54패'''[br]{{{-2 동부지구 1위}}} || '''시즌 전적''' || 98승 64패[br]{{{-2 서부지구 1위}}} || || 5승 7패 || '''상대 전적''' || '''7승 5패''' || || [[얼 위버]] || '''감독''' || 빌 리그니 || [clearfix] [목차] == 개요 == 1970년 개최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를 다룬 문서. 5전 3선승제로 개최되며, 1, 2차전은 [[미네소타 트윈스]]의 홈 구장인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에서, 3, 4, 5차전은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홈 구장인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진행한다. == 일정 == ||<-9>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5]] {{{#FFFFFF '''1970 ALCS 일정'''}}} || || '''경기''' || '''일시''' || '''승리투수''' || '''패전투수''' || '''결승타''' || '''결과''' || '''홈 구장''' || '''방송사''' || || 1차전 || 10월 3일 15:00 (CT) || [[딕 홀]] || [[짐 페리]] || [[브룩스 로빈슨]] || {{{#fff BAL 승, 10-6}}} ||<|2>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3> [[NBC(미국 방송)|NBC]] || || 2차전 || 10월 4일 15:00 (CT) || [[데이브 맥널리]] || 톰 홀 || [[부그 파웰]] || {{{#fff BAL 승, 11-3}}} || || 3차전 || 10월 5일 13:00 (ET) || [[짐 파머]] || [[짐 카트]] || [[부그 파웰]] || {{{#fff BAL 승, 1-6}}} || 메모리얼 스타디움 || == 경기 진행 == === 1차전 === ||<-15> '''{{{#fff 1970년 10월 3일 15:00 (CT)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br]{{{#fff 관중 : 26,847명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36분}}}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잔루|{{{#000 LOB}}}]]'''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 BAL}}}]]''' || [[마이크 퀘이야]] || 0 || 2 || 0 || 7 || 0 || 1 || 0 || 0 || 0 || '''10''' || 13 || 0 || 4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짐 페리]] || 1 || 1 || 0 || 1 || 3 || 0 || 0 || 0 || 0 || '''6''' || 11 || 2 || 6 || ||<-15> 승리투수 : [[딕 홀]](1승) / 패전투수 : [[짐 페리]](1패) / 결승타 : [[브룩스 로빈슨]](4회, 우익수 1타점 희생플라이)[br] 홈런 : [[하먼 킬러브루]](1점, [[마이크 퀘이야]]) / 마이크 와이야(4점, [[짐 페리]]) / 돈 버포드(1점, [[짐 페리]]) / [[부그 파웰]](1점, 빌 젭) || ==== 선발 라인업 ==== ||<-1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5]] '''{{{#fff 1970 ALCS 1차전 선발 라인업}}}''' || ||<-3>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구분''' ||<-3>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 || '''{{{#fff 선수}}}''' || '''{{{#fff POS}}}''' || '''{{{#fff 시즌 AVG}}}'''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POS}}}''' || '''{{{#fff 시즌 AVG}}}''' || || 돈 버포드 || [[좌익수|LF]] || .272 || '''1''' || 세자르 토바 || [[중견수|CF]] || .300 || || [[폴 블레어]] || [[중견수|CF]] || .267 || '''2''' || 레오 카데나스 || [[유격수|SS]] || .247 || || [[부그 파웰]] || [[1루수|1B]] || .297 || '''3''' || [[하먼 킬러브루]] || [[3루수|3B]] || .271 ||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306 || '''4''' || [[토니 올리바]] || [[우익수|RF]] || .325 || || 엘로드 헨드릭스 || [[포수|C]] || .242 || '''5''' || 브랜드 알리아 || [[좌익수|LF]] || .291 ||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276 || '''6''' || 리치 리스 || [[1루수|1B]] || .261 ||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281 || '''7''' || 조지 미터왈드 || [[포수|C]] || .222 || || 마크 벨란저 || [[유격수|SS]] || .218 || '''8''' || 대니 톰슨 || [[2루수|2B]] || .219 || || [[마이크 퀘이야]] || [[투수|P]] || .089 || '''9''' || [[짐 페리]] || [[투수|P]] || .247 || ==== 투구 기록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2> [[볼티모어 오리올스|[[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66~1988).png|height=35]]]]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실점 || 자책 || 탈삼진 || 볼넷 || 피안타 || 피홈런 || 고의사구 || HBP || 기록 || ERA || || [[마이크 퀘이야]] || 4.1 || 6 || 6 || 2 || 1 || 10 || 1 || 0 || 1 || || 12.46 || || [[딕 홀]] || 4.2 || 0 || 0 || 3 || 0 || 1 || 0 || 0 || 0 || '''W''' || 0.00 || ===== [[미네소타 트윈스]] ===== ||<-12> [[미네소타 트윈스|[[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61~1975).svg|height=3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실점 || 자책 || 탈삼진 || 볼넷 || 피안타 || 피홈런 || 고의사구 || HBP || 기록 || ERA || || [[짐 페리]] || 3.1 || 8 || 7 || 1 || 1 || 8 || 2 || 0 || 0 || '''L''' || 18.90 || || 빌 젭 || 0.2 || 1 || 1 || 2 || 0 || 1 || 0 || 0 || 0 || || 13.50 || || 딕 우드슨 || 1 || 1 || 1 || 0 || 1 || 2 || 0 || 0 || 0 || || 9.00 || || 스탄 윌리엄스 || 3 || 0 || 0 || 1 || 1 || 2 || 0 || 0 || 0 || || 0.00 || || [[론 페라노스키]] || 1 || 0 || 0 || 2 || 0 || 0 || 0 || 0 || 0 || || 0.00 || ==== 상세 ==== 미네소타의 선발투수 [[짐 페리]]는 1회 초를 삼자범퇴로 넘어갔고, 1회 말에는 선두타자 세자르 토바의 안타 이후 레오 카데나스의 번트, [[하먼 킬러브루]]의 1타점 중전 안타가 터지며 트윈스가 먼저 리드를 잡았다. 그러나 이것은 트윈스의 이번 시리즈 처음이자 마지막 리드가 되었다. 2회 초에는 볼티모어가 곧바로 반격에 나섰다. 1사 후 5번 엘로드 헨드릭스와 6번 [[브룩스 로빈슨]]이 연속안타로 출루하며 1사 1,2루의 기회를 만들었고, 후속타자 [[데이비 존슨]]이 몸 맞는 볼로 나가며 1사 만루가 되었다. 여기서 마크 벨란저가 유격수쪽 병살코스로 타구를 날렸고, 유격수 레오 카데나스가 2루에 공을 뿌리며 하나의 아웃카운트가 올라갔으나 2루수 대니 톰슨이 1루로 악송구를 날려버리며 두 명의 주자에게 홈을 허용하고 말았다. 이렇게 볼티모어는 2-1의 리드를 잡는다. 그러나 2회 말 미네소타는 1사 이후 터진 안타와 2루타, 그리고 투수 [[짐 페리]]의 스퀴즈 번트로 한 점을 얻어내며 균형을 맞췄다. 3회에는 양 팀 모두 무득점으로 물러났다. 3회까지 팽팽했던 경기의 균형은 4회 초 완전히 무너져내렸다. 볼티모어는 연속안타 두 개로 무사 1,3루의 기회를 만들었고, [[브룩스 로빈슨]]의 우익수 희생플라이가 나오며 다시 리드를 잡는다. 이후 다시 연속안타가 터지며 1사 만루라는 절호의 기회를 잡았다. 여기서 타석에 들어선 선수는 투수 [[마이크 퀘이야]]였다. 퀘이야는 여느 투수들과 같이 시즌 타율이 1할에도 미치지 못하는[* 정규시즌 112타수 10안타, 타율 .089], 그야말로 기대치가 0에 수렴하는 선수였다. 그러나..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vKHO1q-tjI)]}}}|| 그는 여기서 만루홈런을 치는 믿을 수 없는 결과를 만들었고, 스코어는 7-2로 크게 벌어졌다. 개인 통산 첫 만루홈런을 포스트시즌에서 터뜨린 것. 이후 1번타자 돈 버포드의 백투백 홈런까지 터지며 트윈스의 선발투수 [[짐 페리]]는 걷잡을 수 없이 무너졌다. 결국 그는 빌 젭으로 교체되어 마운드를 내려갔다. 빌 젭은 올라온 이후 첫 타자를 삼진으로 처리했으나 후속타자 [[부그 파웰]]에게 홈런을 허용, 9-2의 7점차 리드를 내주고 말았다. 4회 말 미네소타는 안타 두 개를 묶어 한 점을 쫓아갔고, 5회에는 선두타자 [[하먼 킬러브루]]의 솔로포와 [[토니 올리바]]의 2루타, 브랜트 알리야의 볼넷, 그리고 올리바와 알리야를 불러들이는 조지 미터왈드의 2타점 적시타로 경기를 석 점차로 좁혔다. 이후 볼티모어는 선발투수 [[마이크 퀘이야]]를 [[딕 홀]]로 교체했고, 홀은 대니 톰슨을 병살로 요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리드가 석 점차로 좁혀지자 위기감을 느낀 오리올스는 6회 초 다시 한 점을 달아났고, 미네소타는 이후 9회까지 네 이닝동안 단 한번의 출루만을 기록하며 무기력하게 경기를 마감했다. 볼티모어의 선발투수 [[마이크 퀘이야]]는 마운드에서 4.1이닝 10피안타 6실점으로 크게 무너졌으나 타석에서 만루홈런으로 깜짝 활약했다. 마운드를 이어받은 [[딕 홀]]은 4.2이닝 1피안타 무사사구 무실점의 완벽한 피칭을 펼치며 팀의 승리를 지켰고, 승리투수가 되는 기쁨도 누렸다. 타선에서는 6번타자 3루수로 선발출장한 [[브룩스 로빈슨]]이 3타수 3안타 1타점으로 완벽하게 활약했고, 엘로드 헨드릭스, [[부그 파웰]]이 각각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미네소타의 선발투수 [[짐 페리]]는 4회에만 안타 6개, 홈런 2개를 허용하며 속절없이 무너졌다. 스탄 윌리엄스가 3이닝 무실점으로 그나마 호투했으나 타선이 터져주지 않으며 팀을 승리로는 이끌지 못했다. 타선에서는 [[토니 올리바]]와 조지 미터왈드가 각각 3안타를 때리며 분전했다. === 2차전 === ||<-15> '''{{{#fff 1970년 10월 4일 15:00 (CT)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br]{{{#fff 관중 : 27,490명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9분}}}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잔루|{{{#000 LOB}}}]]'''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 BAL}}}]]''' || [[데이브 맥널리]] || 1 || 0 || 2 || 1 || 0 || 0 || 0 || 0 || 7 || '''11''' || 13 || 0 || 7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톰 홀 || 0 || 0 || 0 || 3 || 0 || 0 || 0 || 0 || 0 || '''3''' || 6 || 2 || 6 || ||<-15> '''승리투수''' : [[데이브 맥널리]](1승) / '''패전투수''' : 톰 홀(1패) / '''결승타''' : [[부그 파웰]](9회, 좌익수 옆 2타점 2루타)[br] '''BAL 홈런''' : [[프랭크 로빈슨]](2점, 톰 홀) / 데이비 로빈슨(3점, 루이스 티안트) [br]'''MIN 홈런''' : [[하먼 킬러브루]](2점, [[데이브 맥널리]]) / [[토니 올리바]](1점, [[데이브 맥널리]]) || ==== 선발 라인업 ==== ||<-1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5]] '''{{{#fff 1970 ALCS 2차전 선발 라인업}}}''' || ||<-3>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구분''' ||<-3>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 || '''{{{#fff 선수}}}''' || '''{{{#fff POS}}}''' || '''{{{#fff 시즌 AVG}}}'''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POS}}}''' || '''{{{#fff 시즌 AVG}}}''' || || 마크 벨란저 || [[유격수|SS]] || .218 || '''1''' || 세자르 토바 || [[중견수|CF]] || .300 || || [[폴 블레어]] || [[중견수|CF]] || .267 || '''2''' || 레오 카데나스 || [[유격수|SS]] || .247 ||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306 || '''3''' || [[하먼 킬러브루]] || [[3루수|3B]] || .271 || || [[부그 파웰]] || [[1루수|1B]] || .297 || '''4''' || [[토니 올리바]] || [[우익수|RF]] || .325 || || 머브 레텐먼드 || [[좌익수|LF]] || .322 || '''5''' || 브랜드 알리아 || [[좌익수|LF]] || .291 ||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276 || '''6''' || 조지 미터왈드 || [[포수|C]] || .222 ||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281 || '''7''' || 리치 리스 || [[1루수|1B]] || .261 || || [[앤디 에체바렌]] || [[포수|C]] || .243 || '''8''' || 대니 톰슨 || [[2루수|2B]] || .219 || || [[데이브 맥널리]] || [[투수|P]] || .133 || '''9''' || 톰 홀 || [[투수|P]] || .182 || ==== 투구 기록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2> [[볼티모어 오리올스|[[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66~1988).png|height=35]]]]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실점 || 자책 || 탈삼진 || 볼넷 || 피안타 || 피홈런 || 고의사구 || HBP || 기록 || ERA || || [[데이브 맥널리]] || '''9''' || 3 || 3 || 5 || 5 || 6 || 2 || 0 || 0 || '''W''' || 3.00 || ===== [[미네소타 트윈스]] ===== ||<-12> [[미네소타 트윈스|[[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61~1975).svg|height=3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실점 || 자책 || 탈삼진 || 볼넷 || 피안타 || 피홈런 || 고의사구 || HBP || 기록 || ERA || || 톰 홀 || 3.1 || 4 || 4 || 4 || 3 || 6 || 1 || 0 || 0 || '''L''' || 10.80 || || 빌 젭 || 0.2 || 0 || 0 || 0 || 2 || 1 || 0 || 0 || 0 || || 6.75 || || 스탄 윌리엄스 || 3 || 0 || 0 || 1 || 1 || 0 || 0 || 0 || 0 || || 0.00 || || [[론 페라노스키]] || 1.1 || 5 || 5 || 1 || 1 || 5 || 0 || 0 || 0 || || 19.29 || || [[루이스 티안트]] || 0.2 || 2 || 1 || 0 || 0 || 1 || 1 || 0 || 0 || || 13.50 || ==== 상세 ==== 미네소타의 선발투수 톰 홀은 1회부터 제구 난조를 겪었다. 볼넷만 두 개를 내주며 1사 1,2루의 위기를 맞았고, 이후 4번타자 [[부그 파웰]]에게 1타점 2루타를 허용하며 선취점을 내주었다. 1회 말에는 2사 이후 볼넷을 골라나갔으나 후속타가 터지지 않으며 득점하지 못했다. 2회에는 양 팀 타선이 모두 삼자범퇴로 물러났고, 3회 볼티모어의 3번타자 프랭크 로빈슨이 투런포를 터뜨리며 스코어는 3-0이 되었다. 4회 초에는 단타 세 개로 볼티모어가 넉 점차까지 점수를 벌렸고, 결국 홀은 3.1이닝만을 소화한 채 마운드를 빌 젭에게 넘겼다. 젭은 올라오자마자 [[폴 블레어]]에게 병살을 유도하며 이닝을 종료했다. 기세를 잡은 트윈스는 4회 선두타자 볼넷이 이은 [[하먼 킬러브루]]와 [[토니 올리바]]의 백투백 홈런으로 석 점을 따라잡으며 턱밑까지 추격했다. 그러나 이후 세 타자가 내야 뜬공, 삼진, 삼진으로 처리되며 동점을 만들지는 못했다. 5회 초 볼티모어는 볼넷 두 개와 안타를 묶어 무사 만루의 절호의 찬스를 잡았다. 그러나 이후 67-8번의 하위타선이 포수 뜬공, 우익수 뜬공, 삼진으로 물러나며 달아나지 못했다. 이어지는 5회 말에는 미네소타가 득점권의 기회를 잡았으나, 이들 역시도 주루사, 내야뜬공으로 득점을 올리지 못했다. 이후 양 팀은 이렇다할 득점 기회를 잡지 못했고, 이러한 침묵을 깬 것은 9회 초의 볼티모어 오리올스였다. 2루타와 안타로 무사 1,3루의 위기를 잡았고, 후속타자 [[폴 블레어]]는 삼진으로 물러났으나 프랭크 로빈슨이 볼넷을 골라 나가며 1사 만루의 기회를 맞았다. 이후 [[부그 파웰]]의 2타점 적시타, 머프 레텐먼드의 1타점 적시타, 유격수 실책, [[데이비 존슨]]의 쓰리런 홈런이 연달아 터지며 점수는 11-3으로 급격하게 균형추가 기울었다. 트윈스는 6-3에서 투수를 루이스 티안트로 바꾸었으나 대량 실점을 막지 못했다. 9회 말 마지막 기회에서는 삼자범퇴로 물러나며 트윈스는 이제 1패만 거두면 시즌이 끝나는, 벼랑 끝에 몰리게 되었다. === 3차전 === ||<-15> '''{{{#fff 1970년 10월 5일 13:00 (ET) 메모리얼 스타디움}}}'''[br]{{{#fff 관중 : 27,608명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20분}}}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잔루|{{{#000 LOB}}}]]'''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짐 카트]]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7 || 2 || 8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 BAL}}}]]''' || [[짐 파머]] || 1 || 1 || 3 || 0 || 0 || 0 || 1 || 0 || X || '''6''' || 10 || 0 || 9 || ||<-15> '''승리투수''' : [[짐 파머]](1승) / '''패전투수''' : [[짐 카트]](1패) / '''결승타''' : [[부그 파웰]](1회, 우익수 옆 1타점 1루타)[br] '''BAL 홈런''' : [[데이비 존슨]](1점, [[짐 페리]]) || ==== 선발 라인업 ==== ||<-1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5]] '''{{{#fff 1970 ALCS 3차전 선발 라인업}}}''' || ||<-3>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 '''구분''' ||<-3>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 '''{{{#fff 선수}}}''' || '''{{{#fff POS}}}''' || '''{{{#fff 시즌 AVG}}}'''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POS}}}''' || '''{{{#fff 시즌 AVG}}}''' || || 세자르 토바 || [[중견수|CF]] || .300 || '''1''' || 돈 버포드 || [[좌익수|LF]] || .272 || || 레오 카데나스 || [[유격수|SS]] || .247 || '''2''' || [[폴 블레어]] || [[중견수|CF]] || .267 || || [[토니 올리바]] || [[우익수|RF]] || .325 || '''3'''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306 || || [[하먼 킬러브루]] || [[3루수|3B]] || .271 || '''4''' || [[부그 파웰]] || [[1루수|1B]] || .297 || || 짐 홀트 || [[중견수|CF]] || .266 || '''5'''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276 || || 폴 라틀리프 || [[포수|C]] || .268 || '''6'''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281 || || 리치 리스 || [[1루수|1B]] || .261 || '''7''' || [[앤디 에체바렌]] || [[포수|C]] || .243 || || 대니 톰슨 || [[2루수|2B]] || .219 || '''8''' || 마크 벨란저 || [[유격수|SS]] || .218 || || [[짐 카트]] || [[투수|P]] || .197 || '''9''' || [[짐 파머]] || [[투수|P]] || .150 || 이번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좌투수를 선발로 냈고, 벼랑 끝에 몰린 미네소타는 타선에서 약간의 변화를 들고나왔다. 미터왈드와 알리아가 타선에서 빠졌고, 짐 홀트와 폴 라틀리프가 각각 5번타자 중견수, 6번타자 포수로 시리즈 첫 선발 출장했다. 그러나 이들은 도합 8타수 1안타로 도리어 [[짐 파머]]에게 꽁꽁 묶이고 말았다. ==== 투구 기록 ==== ===== [[미네소타 트윈스]] ===== ||<-12> [[미네소타 트윈스|[[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61~1975).svg|height=3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실점 || 자책 || 탈삼진 || 볼넷 || 피안타 || 피홈런 || 고의사구 || HBP || 기록 || ERA || || [[짐 카트]] || 2 || 4 || 2 || 1 || 2 || 6 || 0 || 0 || 0 || '''L''' || 9.00 || || [[버트 블라일레븐]] || 2 || 1 || 0 || 2 || 0 || 2 || 0 || 0 || 0 || || 0.00 || || 톰 홀 || 2 || 0 || 0 || 2 || 1 || 0 || 0 || 0 || 0 || || 6.75 || || [[짐 페리]] || 2 || 1 || 1 || 2 || 0 || 2 || 1 || 0 || 0 || || 13.50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2> [[볼티모어 오리올스|[[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66~1988).png|height=35]]]]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실점 || 자책 || 탈삼진 || 볼넷 || 피안타 || 피홈런 || 고의사구 || HBP || 기록 || ERA || || [[짐 파머]] || '''9''' || 1 || 1 || 12 || 3 || 7 || 0 || 0 || 0 || '''W''' || 1.00 || ==== 상세 ==== 볼티모어의 선발투수 [[짐 파머]]는 1회를 삼자범퇴로 막으며 깔끔하게 출발했다. 이후 1회 말 볼티모어는 2사 3루에서 터진 [[부그 파웰]]의 적시타로 먼저 달아난다. 뒤이어 [[브룩스 로빈슨]]의 안타와 [[데이비 존슨]]의 볼넷으로 2사 만루의 추가 득점 기회를 잡았으나 앤디 에츠바렌이 중견수 라인드라이브로 물러나며 1득점에 만족해야 했다. 2회 초에는 2사 이후 미네소타의 폴 라틀리프가 안타를 만들었으나 후속타자가 유격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2회 말에는 1사 이후 [[짐 파머]]의 중견수 뜬공을 트윈스의 중견수 짐 홀트가 떨어뜨리며 1사 2루 득점권 위기를 만들었고, 뒤이어 돈 버포드의 1타점 적시타가 터지며 볼티모어의 2-0 리드가 만들어졌다. 이후 3회 말에는 오리올스의 [[브룩스 로빈슨]]과 [[데이비 존슨]]이 각각 2루타와 안타를 터뜨리며 무사 1,3루의 득점권 기회를 다시 맞이했고, 더 이상의 점수를 내주면 안된다고 판단한 미네소타의 벤치는 선발투수 [[짐 카트]]를 내리고 정규시즌에서 선발투수로 좋은 활약을 펼쳤던 신인 [[버트 블라일레븐]]을 올린다. 블라일레븐은 올라오자마자 앤디 에츠바렌에게 유격수 방면 땅볼을 유도했고, 유격수는 잡아서 홈으로 송구했으나 포수의 포구 실책이 나오며 3루주자의 득점을 허용했다. 이후 땅볼, 2루타, 희생플라이가 연이어 나오며 볼티모어는 두 점을 추가로 획득, 점수는 5-0이 되었다. 4회 초에는 [[짐 파머]]가 시작부터 안타와 볼넷을 내주며 무사 1,2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이후 세 타자를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우는 괴력을 선보이며 위기를 탈출했다. 5회 초에는 2사 이후 세자르 토바에게 우전 3루타를 내주며 또 득점권의 위기를 맞았고, 레오 카데나스의 중전 적시타로 한 점을 허용, 미네소타는 5-1로 추격했다. 그러나 이것은 미네소타의 처음이자 마지막 득점이었다. 이후 9회까지 투수전의 양상이 이어지며 양 팀은 이렇다할 기회를 잡지 못했고, 미네소타는 1차전과 2차전의 선발투수였던 톰 홀과 [[짐 페리]]를 올리며 끝까지 추격의 기회를 노렸다. 그러나 도리어 오리올스가 7회 말 [[데이비 존슨]] 홈런으로 달아났고, 큰 반전 없이 경기는 종료되었다. 볼티모어의 선발투수 [[짐 파머]]는 9이닝 7피안타 1실점의 완투승을 거두었다. 자신의 통산 포스트시즌 세 번째 완투[* 첫 완투는 1966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월드 시리즈 2차전에서, 두 번째 완투는 1969년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챔피언십 시리즈 3차전에서 기록했다.]. 오리올스는 선발투수들이 이틀 연속으로 완투를 거두며 불펜투수를 아꼈다. 타선에서는 좀 버포드가 멀티히트와 2타점으로 활약했고, [[브룩스 로빈슨]]은 3안타 1득점으로 자신의 몫을 다했다. 미네소타의 선발투수 [[짐 카트]]는 매 이닝마다 고전하며 긴 이닝을 소화하지 못했고, 결국 그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이후 불펜진이 6이닝 2실점으로 잘 막았으나 타선이 터지지 못하며 승리하지 못했다. 미네소타는 이날 6번의 득점권 타수에서 단 하나의 안타밖에 뽑아내지 못하며 답답한 타선의 흐름이 이어졌고, 잔루도 8개나 남기고 말았다. == 총평 ==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미네소타 트윈스]]를 시리즈 내내 공격에서도, 수비에서도 압도했다. 특히 미네소타는 1차전 1회 이후에는 26이닝동안 단 한번의 리드도 잡지 못하며 철저하게 볼티모어에게 끌려다녔다. 또 1차전과 2차전에서는 각각 4회, 9회에 대량실점을 내주며 투수교체 타이밍도 제대로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면 볼티모어는 1차전에서 [[딕 홀]]을 낸 이후로는 단 한명의 불펜투수를 소모하지 않으며 트윈스의 타선을 꽁꽁 묶었다. 볼티모어는 이렇게 불펜을 비축해 둔 덕에 이후 [[1970년 월드 시리즈|월드 시리즈]]에서도 승리를 가져간다. 볼티모어에서는 [[브룩스 로빈슨]]이 12타수 7안타, 2루타 2개로 활약했으며 [[부그 파웰]]은 14타수 6안타 6타점으로 타점을 쓸어담았다. [[데이비 존슨]]은 홈런 두 개로 OPS 1.371을 기록했다. 반면 [[폴 블레어]]는 13타수 1안타, 앤디 에치바렌은 9타수 1안타로 부진을 겪으며 팀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미네소타에서는 시리즈 내내 주전 우익수이자 클린업으로 출장한 [[토니 올리바]]가 12타수 6안타, 앞선 두 경기에서 선발 마스크를 쓴 조지 미터왈드가 8타수 4안타로 5할대 타율을 기록했고, [[하먼 킬러브루]]가 홈런 두 개로 팀 최다인 4타점을 쓸어담았으나 승리로 팀을 이끌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