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3> '''{{{#fff {{{+1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 ||<-3> [[파일:1981년 포항 해역 지진.png |width=100%]] || || {{{#fff '''발생'''[br]^^(UTC+9)^^}}} ||<-2> 1981년 4월 15일 11시 47분 00.0초 || ||<|3> '''{{{#fff 진앙}}}''' ||<-2> 경상북도 포항 동쪽 약 65㎞ 해역 || ||<-2>[include(틀:지도, 장소=35.9 130.1&zoom=6, 너비=100%, 높이=240px)] || ||<-2>KMA: 35.9°N 130.1°E[br]USGS: 35.741°N 130.059°E || || '''{{{#fff 진원의 깊이}}}''' ||<-2>USGS: 33km[br]JMA: 40km || || [[리히터 규모|'''{{{#fff 규모}}}''']] ||<-2>M,,L,, 4.8[*KMA 한국 기상청] / M,,b,, 5.0[*USGS [[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usp0001d5q/executive|#]]] / M,,j,, 5.2[*JMA 일본 기상청[[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usp0001d5q/executive|#]]] / M,,w,, 5.2[* Jun, M. S., 1991, “Body-wave analysis for shallow intraplate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Yellow Sea”, Tectonophysics, 192, 345-357.] || ||<|8> '''{{{#fff 진도[br](JMA)}}}''' ||<-2> '''한국 기상청 발표 기준(JMA 진도)''' || || '''4''' || 포항 || || {{{#fff '''3'''}}} || 울산, 안동, 김해, 고리, 부산 || || {{{#fff '''2'''}}} || 대전, 금산 || || {{{#000 '''1'''}}} || 광주, 청주, 서울 등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역 || ||<-2> '''일본 기상청 발표 기준(JMA 진도)''' || || {{{#fff '''2'''}}} || 나가사키현 [[쓰시마시(나가사키현)|쓰시마시]](대마도) || || {{{#000 '''1'''}}} || 후쿠오카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2년 3월 1일 00시 28분 02.1초 울진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8~5.2의 지진. 이 지진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진동을 감지했다. == 감진 기록 == 다음은 기상청에서 조사한 감진 기록이다. * 포항 : 건물이 마치 기우는 듯하고 형광등이 흔들려 사람이 놀라 집밖으로 대피하였으며, 아파트 및 백화점 선반 위의 물건이 떨어졌음. 포항 북쪽 약 20㎞ 지역에서 블록 벽에 금이 갔다는 제보도 있었음(지진굉음). * 부산 : 대형건물이 심히 흔들려 건물 속의 사람이 일시 대피하는 소동이 있었음. * 김해 : 건물이 흔들려 기상청 직원이 현기증을 느꼈음. * 금산 : 지진굉음을 들었음. * 서울 : 여의도, 마포의 고층건물에서 일부 느꼈음. * 전라․충청지역 : 비행기가 지나갈 때와 같이 창문이 흔들렸음. 신문 기사 기록은 다음과 같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41500329207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4-15&officeId=00032&pageNo=7&printNo=10935&publishType=00020|#]]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41600209211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4-16&officeId=00020&pageNo=11&printNo=18316&publishType=00020|#2]]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41600239107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1-04-16&officeId=00023&pageNo=7&printNo=18468&publishType=00010|#3]] 포항 지역에서 유리창이 깨지고, 건물의 벽이 갈라졌으며 진열대의 상품이 떨어졌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김성배(1927)|김성배]] 당시 [[경북도지사]]가 브리핑을 받던 중 지진의 진동으로 브리핑차트가 넘어지며 건물이 흔들려 직원들이 모두 건물 밖으로 대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추가적으로 지금과 비슷하게 한국이 지진과 무관한 곳이 아니라는 기사도 실렸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4160020921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4-16&officeId=00020&pageNo=11&printNo=18316&publishType=00020|#]] == 기타 == 이 지진은 [[1976년 홍도 해역 지진]]부터 시작하여 6년간 발생한 대한민국의 규모 5급 연쇄 지진 중 5번째 지진이다. 다음은 이 시기에 발생한 규모 5급 지진 목록이다. *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 [[1978년 속리산 지진]] * [[1978년 홍성 지진]] * [[1980년 의주 지진]] *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 [[1982년 사리원 지진]] *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 같이 보기 == ||<-5>
{{{#fff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 [[1980년 의주 지진]] || {{{+1 → }}} || '''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 || {{{+1 → }}} || [[1982년 사리원 지진]] || [include(틀:지진/20세기)] [[분류:지진/대한민국]][[분류:1982년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