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KBO 한국시리즈 목록)] ||<-5> [[KBO 한국시리즈|{{{#!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o4a4woaUar1sqk8veo6_r1_400.png|width=200]]}}}]][br] '''{{{#151b54,#abb1ea 역대}}} [[KBO 한국시리즈|{{{#151b54,#abb1ea KBO 한국시리즈}}}]]''' || ||<#f01e23> [[1988년 한국시리즈|{{{#000 1988년}}}]] [br]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1 →}}} ||<#f01e23> '''{{{#000000 1989년}}}''' [br]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1 →}}} ||<#c30452> [[1990년 한국시리즈|{{{#fff 1990년}}}]] [br]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 [include(틀:1989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ncc.phinf.naver.net/9.jpg|width=100%]]}}} || ||<-2> [[파일:A4etEfi.png|width=150]] || ||<-2> '''{{{#ff0000 1989년 한국시리즈 우승}}}''' || ||<-2>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 '''{{{#f01e23 MVP}}}''' || [[박철우(야구)|'''{{{#f01e23 박철우}}}''']] || >'''네! 스트락아웃! 스트락아웃 당하는 [[황대연]]! 경기 끝났습니다. 89 프로야구, 대망의 패권. 해태 타이거즈가 차지하면서 4연패의 위업을 달성하는 해태 타이거즈''' > ---- > [[KBS]] 이세진 캐스터의 우승콜 [목차] [clearfix] == 개요 == ||<-2><:> {{{+2 {{{#edd36c '''1989'''}}} {{{#edd36c '''프로야구'''}}} {{{#ffffff '''한국시리즈'''}}}}}} || ||<#f01e23>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width=110]] ||<#ff6600> [[파일:빙그레 이글스 블랙 심볼.svg|width=150]] || ||<#f01e23> [[해태 타이거즈|{{{#000000 {{{+1 '''해태 타이거즈'''}}}}}}]] ||<#ff6600> [[빙그레 이글스|{{{#000000 {{{+1 '''빙그레 이글스'''}}}}}}]] || [[1989년]] [[10월 26일]]에 시작하여 [[11월 1일]]에 종료된 한국시리즈로 해태 타이거즈가 1988년에 이어 또 다시 빙그레 이글스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한 시리즈다. 해태는 이 우승으로 통산 5번째 한국시리즈 우승 및 당시로서는 전무했던 '''한국시리즈 4연패'''의 위업을 달성했다. 반대로 빙그레는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고도 우승을 놓치면서 2년 연속으로 우승 문턱에서 물러났다. 시리즈 MVP는 18타수 8안타를 치면서 활약한 [[박철우(야구)|박철우]]가 선정되었다. == 일정표 == ||<-8>
'''{{{#000000 1989 한국시리즈[br][[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VS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이글스}}}]]}}}''' || || '''경기''' || '''경기 시간''' || '''경기장''' || '''AWAY''' ||<-2> '''결과''' || '''HOME''' || '''방송사''' || || '''1차전''' || [[10월 26일]] 18:00 ||<|2>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0 || '''4'''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이글스}}}]]'''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2차전''' || [[10월 27일]] 18:00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6''' || 4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이글스}}}]]''' || [[MBC|[[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50]]]] || || '''3차전''' || [[10월 29일]] 14:00 ||<|2> [[무등 야구장]]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이글스}}}]]''' || 0 || '''2'''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4차전''' || [[10월 30일]] 18:00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이글스}}}]]''' || 2 || '''6'''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MBC|[[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50]]]] || || '''5차전''' || [[11월 1일]] 18:00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타이거즈}}}]]''' || '''5''' || 1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이글스}}}]]'''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시리즈 전 상황 == 1989년은 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단일시즌 체제가 도입된 시즌이었다. 이미 1988년에 돌풍의 가능성을 확실히 보여준 빙그레는 1989년에는 돌풍을 넘어 태풍을 일으켰다. 정규시즌 운용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김영덕]] 감독의 시즌 운용에 더해 [[이정훈(1963)|이정훈]], [[유승안]], [[고원부]], [[장종훈]], [[이강돈]]을 비롯한 막강한 타선이 시즌 내내 위력을 보이면서 타격왕과 타점왕 타이틀을 가져간 상황이었고, 마운드에서도 [[이상군]]과 [[한희민]]의 원투펀치가 여전히 건재한 상황이었다. 이 빙그레의 전력에 천하의 해태가 한 수 접고 들어가 2위로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이 해 PO 일정이 좀 묘했는데, KBO가 짜 놓은 PO 일정은 10월 14일부터 10월 21일까지였고, 한국시리즈는 10월 26일부터 11월 3일까지였다. 즉, PO가 5차전까지 가도 PO 승자는 5일을 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1위팀은 경기 감각적인 면에서 불리할 수 있었다. 과거와 다른 단일시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인데, 이 때문에 해태는 2위로 올라가 경기 경험을 쌓고 한국시리즈에 임하면 불리하지 않다고 자신하고 있었다. 마침 PO 상대도 돌풍을 일으키며 올라온 [[태평양 돌핀스]]였고, 태평양은 이미 준PO에서 삼성과의 혈투 속에 그 해 19승을 거둔 [[박정현]]이 부상으로 이탈하는 등 투수진을 소모한 상황이었다. 해태는 가볍게 태평양을 3:0으로 스윕하며 올라갔지만, 그 속에서 타선이 생각보다 터지지 않는 것은 걱정거리였다. 반대로 빙그레는 껄끄러운 해태가 올라왔고, 경기 감각이 걱정되었지만 그래도 그 해 가장 강력했음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 우려했던 경기 감각이 시리즈 내내 빙그레의 발목을 잡고 말았다.[* 공교롭게도 2년전 KS에 먼저 직행한 [[삼성 라이온즈]]도 똑같은 상황을 겪었다. 결국 삼성 역시 한국시리즈 최초의 스윕패와 유일한 전패준을 기록하고 만다.] == 엔트리 == === [[빙그레 이글스]] === ||<-3> '''{{{#000000 빙그레 이글스 1989년 한국시리즈 엔트리}}}''' || || '''{{{#ffffff 감독}}}''' || 1명 || [[김영덕]] || || '''{{{#ffffff 코치}}}''' || 4명 || [[강병철]], [[이희수(야구)|이희수]], [[이선희(야구)|이선희]], [[김종수(1957)|김종수]] || || '''{{{#ffffff 투수}}}''' || 8명 || [[한용덕]], [[한희민]], [[이상군]], [[송진우(야구선수)|송진우]], [[김대중(야구선수)|김대중]], [[김홍명]], [[장정순]], 김락기 || || '''{{{#ffffff 포수}}}''' || 2명 || [[김상국]], [[유승안]] || || '''{{{#ffffff 내야수}}}''' || 9명 || [[강정길]], [[전대영]], [[장종훈]], [[황병일]], [[조양근]], [[김성갑]], [[강석천]], [[황대연]], [[이종호(야구선수)|이종호]] || || '''{{{#ffffff 외야수}}}''' || 6명 || [[이정훈(1963)|이정훈]], [[이강돈]], [[이중화]], [[고원부]], [[송일섭]], 조용호 || === [[해태 타이거즈]] === ||<-3> '''{{{#000000 해태 타이거즈 1989년 한국시리즈 엔트리}}}''' || || '''{{{#ffffff 감독}}}''' || 1명 || [[김응용]] || || '''{{{#ffffff 코치}}}''' || 6명 || [[김인식]], [[백기성]], [[정유복]], [[김봉연]],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 [[김준환]] || || '''{{{#ffffff 투수}}}''' || 8명 || [[선동열]], [[김정수(1962)|김정수]], [[차동철]], [[신동수(1966)|신동수]], [[방수원]], [[문희수]], [[이강철]], [[조계현]] || || '''{{{#ffffff 포수}}}''' || 2명 || [[장채근]], 장호익 || || '''{{{#ffffff 내야수}}}''' || 8명 || [[김성한]], [[서정환]], [[한대화]], [[차영화]], [[조충열]], [[백인수|백인호]], [[박철우(야구)|박철우]], [[문승훈]] || || '''{{{#ffffff 외야수}}}''' || 7명 || [[김종모]], [[이순철]], 조재환, [[김평호]], [[김성규(야구선수)|김성규]], [[이건열]], [[김태완(1966)|김태완]] || == 경기 결과 == === 1차전 === ||<-13> {{{#000000 '''한국시리즈 1차전, 10.26(목), 18:00 ~ 20:54 (2시간 54분),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000000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 [[선동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 ||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 [[이상군]] || 1 || 0 || 0 || 0 || 0 || 0 || 0 || 3 || - || '''4''' || 5 || ||<-15> '''중계방송사: [[KBS1|[[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5]]]] | 캐스터: 이세진 | 해설: 하일성''' || 승리 투수 : [[이상군]] 세이브 투수 : [[한희민]] 패전 투수 : [[선동열]] 홈런 : [[이강돈]](1회, 빙그레) 해태의 1차전 선발은 당연하지만 [[선동열]]이었고, 빙그레는 이에 맞서 팀의 에이스 [[이상군]]을 올렸다. 경기 시작과 함께 묘한 기운이 흘렀는데, 1회말 공격에서 [[이강돈]]이 선동열 상대로 백스크린을 넘기는 선두타자 홈런을 날린 것. 그 뒤로 빙그레는 [[선동열]]의 공을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면서 [[선동열]] 상대로 8개의 볼넷을 얻으면서 지독하게 괴롭혔다. 점수를 많이 뽑지 못하긴 했지만 자신들의 공격을 길게 가져가면서 이상군에게 여유를 준 것은 소득이었다. [[이상군]]도 팀의 기대에 부응하며 해태 타선을 요리했다. 해태는 8회초 2사 만루의 찬스를 잡았지만, [[백인수|백인호]]의 플라이로 물러났고, 위기를 넘긴 빙그레는 곧바로 8회말 공격에서 선동열 상대로 2사 1,2루의 찬스를 잡은 후, [[김상국]]의 2타점 2루타와 [[한대화]]의 실책을 묶어 3점을 뽑으면서 시리즈의 기선을 확실하게 제압했다. 시리즈 전 해태가 유리할 것이라던 전문가들의 예상 및 빙그레의 우려는 선동열을 눌러버림으로써 기우로써 종식시켰던 것. === 2차전 === ||<-15> {{{#000000 '''한국시리즈 2차전, 10.27(금), 18:00,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000000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 [[조계현]] || 1 || 1 || 3 || 0 || 1 || 0 || 0 || 0 || 0 || '''6''' || 10 ||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 [[한용덕]] || 4 || 0 || 0 || 0 || 0 || 0 || 0 || 0 || 0 || '''4''' || 10 || ||<-15> '''중계방송사: [[MBC|{{{#!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dcdcdc" [[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50]]}}}]] | 캐스터: 김용 | 해설: 김소식''' || 승리 투수 : [[신동수(1966)|신동수]] 세이브 투수 : [[이강철]] 패전 투수 : [[송진우(야구)|송진우]] 해태의 선발은 [[조계현]], 빙그레의 선발은 [[한용덕]]이었다. 해태가 1회초에 2사 2루에서 [[박철우(야구)|박철우]]의 내야안타와 상대 송구 실수를 틈타 [[이순철]]이 홈을 파면서 먼저 선취점을 냈다. 그러나 빙그레는 조계현 상대로 1회말에 안타 4개와 볼넷 2개를 묶어 단숨에 4점을 내면서 승부를 뒤집었다. 해태도 정말 끈질겨서 2회 바뀐 투수 김대중 상대로 1점을 만회했고, 다시 3회초에는 빙그레의 3번째 투수 [[송진우(야구)|송진우]] 상대로 1사 만루의 찬스를 잡았다. 그리고 타석에 들어선 [[백인수|백인호]]의 타구는 유격수 앞 땅볼이 되면서 찬스가 날라가는가 싶었다. 그런데... '''[[유격수]] [[장종훈]]이 그만 [[알까기|알을 까고 만다.]]'''[* 이날 경기에서 장종훈의 실책을 보고 [[유수호(1947)|해설진]]이 한 말이 '''"유격수 땅볼 병살 코스. 아, 놓쳤습니다! 알을 깠습니다. 3루 주자 홈인! 2루 주자 홈인! 4대 4 동점! 그리고 주자 3루! 1루! 유격수의 더블 플레이 코스에서 결정격인 실책입니다."''' 참고로 한국 프로야구 레전드 10인 장종훈 편에 나와 있다.] 이 통한의 알까기로 동점을 허용했고, 이어지는 찬스에서 희생플라이가 나오며 간단히 역전했다. 그리고 5회초에 다시 유격수 황대연이 병살 타구를 받아 1루로 송구한 것이 뒤로 빠지면서 또 실점했다. 반대로 해태는 신동수가 역전 직후인 5회 1아웃까지를 소화하고, 그 뒤에 나온 [[이강철]]이 8회말 1사 2, 3루의 찬스를 내주기는 했지만 무실점으로 틀어 막으면서 결국 경기는 해태의 승리로 끝났다. 이 날 빙그레가 저지른 3개의 실책은 모두 득점과 연결되고 말았다. 이날 빙그레가 기록한 3실책의 후폭풍은 엄청났다. 단순히 이날 경기에서 패한 것 뿐만 아니라, 1차전을 선점해서 분위기를 탄 빙그레의 팀 분위기를 한순간에 흐트러뜨림은 물론 해태와 빙그레 양팀의 분위기까지 바꾸고 말았다. 결국 그것이 이후 빙그레의 4연패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이 2차전이 1989년 한국시리즈 전체를 결정한 경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2017년 한국시리즈|28년 후]]에도 반복된다. 그리고 빙그레 입장에선 더 뼈아팠던게, 이 패배를 시작으로 1992년 KS 2차전까지 '''한국시리즈 10연패(敗)'''의 시발점이 된다. === 3차전 === ||<-15> {{{#000000 '''한국시리즈 3차전, 10.29(일), 14:00, [[무등 야구장|{{{#000000 무등 야구장}}}]]'''}}}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 [[한희민]]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 [[문희수]] || 0 || 1 || 0 || 1 || 0 || 0 || 0 || 0 || - || '''2''' || 7 || ||<-15> '''중계방송사: [[KBS1|[[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5]]]] | 캐스터: 정도영 | 해설: 하일성''' || 승리 투수 : [[문희수]] 세이브 투수 : [[선동열]] 패전 투수 : [[한희민]] 빙그레는 선발로 [[한희민]]을, 해태는 1988년의 영웅 [[문희수]]를 선발로 내세웠다. 기선은 빙그레가 잡을 뻔 했다. 1사 3루에서 [[고원부]]의 플라이 때, 이정훈이 홈을 파고 들다가 그만 [[김종모]]의 송구에 아웃되면서 선제점을 뽑을 기회를 놓쳤다. 반대로 해태는 2회말에 [[한대화]]의 적시타로 [[박철우(야구)|박철우]]가 득점했고, 4회말에는 김종모의 적시타로 다시 박철우가 득점하면서 점수를 내 먼저 2:0으로 앞서 갔다. [[문희수]]의 투구에 7이닝 무실점으로 철저하게 눌리던 빙그레는 8회 선두 타자가 나갔지만, 치고 달리기 때 허무하게 주루사를 당하면서 찬스를 날렸다. 그래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빙그레는 9회초 선동열 상대로 무사 2,3루의 절호의 찬스를 잡았지만 여기서 [[고원부]]가 삼진, [[유승안]]이 땅볼, [[강정길]]이 플라이로 물러나면서 동점 찬스를 허무하게 날리며 경기를 패하고 말았다. === 4차전 === ||<-15> {{{#000000 '''한국시리즈 4차전, 10.30(월), 18:00, [[무등 야구장|{{{#000000 무등 야구장}}}]]'''}}}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 [[이상군]] || 0 || 0 || 0 || 0 || 0 || 1 || 0 || 0 || 1 || '''2''' || 7 ||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 [[김정수(1962)|김정수]] || 0 || 0 || 2 || 1 || 0 || 2 || 0 || 1 || - || '''6''' || 10 || 중계방송사는 MBC TV. 승리 투수 : [[김정수(1962)|김정수]] 세이브 투수 : [[이강철]] 패전 투수 : [[이상군]] 홈런 : [[이순철]](3회 2점), [[한대화]](4회 1점), [[김성한]](6회 2점, 8회 1점)(이상 해태), [[장종훈]](9회 1점)(빙그레) 빙그레는 1차전의 영웅 [[이상군]]을 선발로 내세웠고, 해태는 가을의 남자 김정수를 선발로 내세웠다. 빙그레는 이상군을 믿었지만 불행히도 이상군은 사흘 휴식 후에 제 컨디션은 아닌 상황이었다. 그리고 [[김응용]] 해태 감독은 [[이상군]]의 변화구를 노리기 위해 타자들에게 타석 앞으로 좀 더 나갈 것은 지시한 상황이었다. 3회말 공격에서 해태는 [[이순철]] 선제 2점 홈런으로 먼저 기선을 잡았고, 4회말에는 [[한대화]]의 솔로 홈런으로 점수를 벌렸다. 빙그레 입장에서는 1회 1사 2루에서 [[이중화]]가 3루 도루를 시도하다가 잡힌 것과 2회 2사 1,2루에서 [[조양근]]의 타구를 잡아낸 해태 [[김종모]]의 호수비가 뼈아팠다. 6회초 빙그레는 [[유승안]]의 안타로 1점 추격했지만, 해태는 곧바로 6회말 공격에서 [[김성한]]의 2점 홈런으로 달아났고, 8회말에는 김성한의 연타석 홈런으로 승부를 완전히 굳혔다. 빙그레가 9회초 공격에서 [[장종훈]]의 솔로 홈런으로 1점 추격했지만 경기는 이미 뒤집을 수 없었다. === 5차전 === ||<-15> {{{#000000 '''한국시리즈 5차전, 11.01(수), 18:0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000000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해태 타이거즈|{{{#000000 해태}}}]]''' || [[신동수(1966)|신동수]] || 2 || 0 || 2 || 1 || 0 || 0 || 0 || 0 || 0 || '''5''' || 9 || || '''[[빙그레 이글스|{{{#000000 빙그레}}}]]''' || [[한희민]] || 0 || 1 || 0 || 0 || 0 || 0 || 0 || 0 || 0 || '''1''' || 5 || ||<-15> '''중계방송사: [[KBS1|[[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5]]]] | 캐스터: 이세진 | 해설: 하일성''' || [youtube(T5yeq7cms9M)] 승리 투수 : [[선동열]] 패전 투수 : [[한희민]] 홈런 : [[전대영]](2회 1점)(빙그레) 해태는 선발로 신동수를, 빙그레는 선발로 한희민을 내세웠다. 그러나 시리즈 도중 부상을 입은 한희민은 정상 컨디션이 아니었고, 해태는 그런 한희민을 가볍게 두들겼다. 1회초 공격에서 1사 만루의 찬스를 잡아 [[한대화]]의 희생플라이와 [[백인수|백인호]]의 2루타로 가볍게 2점을 냈다. 2회말 공격에서 빙그레가 전대영의 홈런으로 추격하자, 곧바로 3회초 공격에서 박철우의 2루타와 백인호의 스퀴즈로 다시 2점을 더 냈다. 그리고 4회초에는 빙그레의 실책으로 다시 1점 추가했다. 4회말 빙그레는 신동수를 상대로 무사 1,2루의 찬스를 잡았다. 그러나 이 때 등장한 것은 해태의 절망의 벽 선동열. 이미 3차전에서 무사 2,3루의 위기도 넘긴 선동열에게 무사 1,2루는 위기도 아니었다. 선동열은 4회 무사 1,2루에 등장해 9회까지 던지면서 삼진 10개를 잡으며 빙그레 타선을 침묵시켰다. 빙그레가 7회 무사 1,2루와 9회 1사 1,2루의 최후의 찬스를 잡았지만 결국 무득점으로 경기가 끝났고, 해태는 사상 초유의 한국시리즈 4연패라는 대기록을 달성한다. == 기타 == * [[2017년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패하기 전까지 타이거즈가 1차전에서 패한 유일한 시리즈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2017년 한국시리즈는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홈 구장]]에서 1차전 첫 패배였고, 89년 시리즈 1차전은 대전 원정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시리즈에서 1패 후 4연승을 그대로 재현해낸다. * 5차전 9회말 선동렬에게 삼진을 당하며 시리즈의 마지막 타자가 된 [[황대연]]의 아들 [[황인준]]은 아이러니하게도 해태의 후신 KIA 타이거즈에 지명되었다. * 정규리그 2위가 1위팀을 꺾고 뒤집기 우승을 기록해낸 최초의 한국시리즈이다. 이후 기록된 뒤집기 우승은 모두 정규리그 3위팀의 몫([[1992년 한국시리즈|92년 롯데]], [[2001년 한국시리즈|01년 두산]], [[2015년 한국시리즈|15년 두산]])이였다가, [[2018년 한국시리즈]] 때 [[SK 와이번스]]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29년만에 리그 2위팀에 의한 뒤집기 우승에 성공했다. * 이 때 해태가 달성한 한국시리즈 4연패라는 기록은 유일무이한 기록으로 남아있다가 훗날 삼성이 2011년~2014년까지 연속 우승하면서 타이 기록을 세우게 된다.[* 삼성은 통합 4연패 기록이다.] * 5차전 문단에 포함된 영상은 [[전설의 타이거즈]] 채널에서 제작한 영상이다. == 관련 문서 == * [[빙그레 이글스/1989년]] * [[해태 타이거즈]] == 둘러보기 == [include(틀:KIA 타이거즈)] [각주] [[분류:KBO 한국시리즈]][[분류:빙그레 이글스/1989년]][[분류:해태 타이거즈]][[분류:김응용]][[분류:김영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