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농구연맹전]], [[한국대학농구리그]],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분류:대학농구연맹전]] || [[1990 대학농구연맹전]] [br] 춘계 우승: 중앙대 [br] 추계 우승: 중앙대 || → || '''1991 대학농구연맹전''' [br] 춘계 우승: '''중앙대''' [br] 추계 우승: '''연세대''' || → || [[1992 대학농구연맹전]] [br] 춘계 우승: 연세대 [br] 추계 우승: 중앙대 || [목차] == 개요 == 1991년도 대학농구연맹전 및 기타 대학농구 대회들에 대해 소개한다. || 대회 || 일시 || 우승팀 || MVP || 준우승팀 || 3위 || 4위 || 비고 || || '''춘계 대학농구연맹전''' || 4월 || '''중앙대''' || 남경원(중앙대) ||<-3><:> 경희대/고려대/국민대/연세대/단국대[* 5팀의 전적이 2승 3패로 동률, 공동 준우승으로 인정되었다.] || [* 연세대 [[정재근(농구)|정재근]], [[문경은]], [[오성식(농구)|오성식]], 중앙대 표필상이 각각 1991 고베 아시아선수권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 ||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 5월 || '''중앙대''' || [[정경호(농구)|정경호]](중앙대) || 경희대 || 고려대 || 명지대 || [* 연세대 [[정재근(농구)|정재근]], [[문경은]], [[오성식(농구)|오성식]], 중앙대 표필상이 각각 1991 고베 아시아선수권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 || '''추계 대학농구연맹전''' || 9월 || '''연세대''' || 이상범(연세대) || 경희대 ||<-2><:> 건국대/중앙대[* 공동 3위] || || || 전국체전 || 10월 || '''경희대''' || - || 중앙대 || || || || == 대회결과 == === 춘계 대학농구연맹전 (4월) === 1) 참가팀 및 주요 사항 * 대학농구연맹 남대 1부 12개팀 전체가 참가하였다. * 1991 고베 아시아선수권[*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출전권이 달려있었다.] 대표팀에 연세대 [[정재근(농구)|정재근]], [[문경은]], [[오성식(농구)|오성식]], 중앙대 [[표필상]]이 소집되면서 두 대학교, 특히 연세대의 전력이 크게 하락하였다. 2) 조별 예선 || 순위 ||<-2><:> A조 ||<-2><:> B조 ||<-2><:> C조 || || 1 || '''한양대'''※ || 2 - 1 || '''중앙대''' || 3 - 0 || '''경희대''' || 3 - 0 || || 2 || '''고려대'''※ || 2 - 1 || '''국민대'''※ || 1 - 2 || '''연세대''' || 2 - 1 || || 3 || 동국대※ || 2 - 1 || 홍익대※ || 1 - 2 || 건국대 || 1 - 2 || || 4 || 단국대 || 0 - 3 || 명지대※ || 1 - 2 || 성균관대 || 0 - 3 || ※ 골득실차로 순위 결정. 3) 결선리그[* 예선에서의 상대 전적을 가지고 간다.] || 순위 ||<-2><:> 결선리그 || 비고 || || 1 || '''중앙대''' || 5 - 0 || 우승 || ||<|5><:> 2 || 경희대 || 2 - 3 ||<|5><:> 5팀 공동 준우승 || || 고려대 || 2 - 3 || || 국민대 || 2 - 3 || || 연세대 || 2 - 3 || || 한양대 || 2 - 3 || * MVP: 남경원(중앙대) ===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5월) === [[1991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항목 참조 || 1 || '''중앙대''' || || 2 || 경희대 || || 3 || 고려대 || || 4 || 명지대 || * MVP: [[정경호(농구)|정경호]](중앙대) === 추계 대학농구연맹전 (9월) === 1) 참가팀 및 주요 사항 * 고려대를 제외한 11개팀이 2개조로 나뉘어 예선을 진행하였다. * 1991 고베 아시아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던 연세대의 [[정재근(농구)|정재근]], [[문경은]] 등 국가대표 선수들이 귀국하자마자 김포공항에서 바로 이동, 경기에 출전하는 촌극을 펼치기도 했다. 모처럼 각 대학팀들이 100% 전력으로 참가한 연맹전이었다. 2) 조별 예선 || 순위 ||<-2><:> A조 ||<-2><:> B조 || || 1 || '''중앙대''' || 4 - 0 || '''연세대''' || 5 - 0 || || 2 || '''건국대''' || 3 - 1 || '''경희대''' || 4 - 1 || || 3 || '''홍익대''' || 2 - 2 || '''명지대''' || 3 - 2 || || 4 || 한양대 || 1 - 3 || 단국대 || 2 - 3 || || 5 || 성균관대 || 0 - 4 || 동국대 || 1 - 4 || || 6 || || || 국민대 || 0 - 5 || 3) 6강 토너먼트 || 6강 || 4강 || 결승 || || - ||<|2><:> 중앙대: 패 [br] '''경희대: 승''' ||<|4><:> 경희대: 패 [br] '''연세대: 승''' || || '''경희대: 승''' [br] 홍익대: 패 || || - ||<|2><:> '''연세대: 승''' [br] 건국대: 패 || || '''건국대: 승''' [br] 명지대: 패 || * 최종순위: 연세대 우승 / 경희대 준우승 / 건국대/중앙대 공동 3위 * MVP: [[이상범(농구)|이상범]](연세대) * 중앙대는 표필상(4년,200cm)-정경호(3년,202cm)의 더블포스트를 본격 가동하며 김유택(197cm)-한기범(207cm)의 쌍돛대 콤비 시절을 재현할 것으로 보였으나, 4강전에 [[장창곤]](1년,194cm)-[[이창수]](4년,196cm)의 경희대에 오히려 밀리며 결승진출에 실패하고 만다. 2% 부족한 국내 최장신 더블포스트는 이후 중앙대의 강점이자 금방 간파되는 약점이 되었고, 이후 대학 최고 센터의 타이틀은 표필상에서 이창수에게로 넘어가게 된다. * 경희대는 결승에서 연세대에 패하면서 춘계연맹전-MBC배-추계연맹전의 3연속 준우승에 머문다. 이후 10월 전국체전 결승에서 중앙대를 꺾고 마침내 시즌 첫 타이틀을 차지했다. * 국가대표 3인방이 모두 복귀한 연세대는 비록 라이벌 중앙대와의 맞대결은 없었지만 예선부터 결승까지 7전 전승을 거두며 우승, 국대 3인방 없이 치렀던 춘계연맹전에서의 부진이 본 실력이 아님을 증명했다. === 전국체전 (10월) === || 1 || '''경희대''' || || 2 || 중앙대 || * 경희대는 9월 추계연맹전에 이어 또다시 중앙대를 격파, '중대 킬러'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며 자신들이 이견없는 '''대학 3강'''임을 입증했다. === 1991-92 농구대잔치 (11월~1991년 2월) === [[1991-92 농구대잔치]] 항목 참조 || 팀명 || 최종성적 || 전적 || 비고 || || 연세대 || 4위 (3-4위전 패) || 16 - 8 || 1차대회: 2위 [br] 2차대회: 3위 [br] 3차대회: 3위 || || 경희대 || 3차대회(8강) 진출 || 7 - 11 || 1차대회: 5위 || || 중앙대 || 2차대회 B조 4위(6팀) || 4 - 5 || || || 고려대 || 2차대회 A조 5위(7팀) || 3 - 7 || || || 국민대 || 2차대회 B조 6위(6팀) || 0 - 9 || || || 홍익대 || 2차대회 A조 7위(7팀) || 0 - 9 || || || 한양대 || 1차대회 B조 5위(5팀) || 0 - 4 || 2차대회 불참 || * 농구대잔치 개인부문 수상자 * 대회 Best 5: [[문경은]](연세대) * 신인상: [[이상민(농구)|이상민]](연세대) == 시즌 결산 == ||<|2><:> ||<-4><:> '''연맹전/MBC배/전국체전''' ||<|2><:> '''농구대잔치''' || || '''우승''' || '''준우승''' || '''4강''' || '''6강''' || || 중앙대 || 춘계/MBC배 || 체전 || 추계 || || 예선탈락 || || 연세대 || 추계 || 춘계※ || || || 4위 || || 경희대 || 체전 || 춘계※/MBC배/추계 || || || 8강 || || 고려대 || || 춘계※ || MBC배 || || 예선탈락 || || 국민대 || || 춘계※ || || || 예선탈락 || || 한양대 || || 춘계※ || || || 예선탈락 || || 명지대 || || || MBC배 || 추계 || || || 건국대 || || || 추계 || || || || 홍익대 || || || || 추계 || 예선탈락 || ※ 춘계연맹전에서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연세대, 한양대 5팀이 서로 승패가 동률로서 공동 준우승으로 인정되었다. * 중앙대가 4월 춘계연맹전과 5월 MBC배를 석권하며 2관왕을 차지하면서 더블우승을 달성했지만, 이는 1991 고베 ABC에 연세대의 주전 3인방([[오성식(농구)|오성식]]-[[문경은]]-[[정재근(농구)|정재근]])이 차출되면서 중앙대를 대적할만한 상대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중앙대도 주전센터 표필상이 차출되었지만 3학년이 된 정경호(202cm)이 그 공백을 잘 메웠고, 1학년 [[김영만(농구)|김영만]]-~~[[양경민(1972)|양경민]]~~까지 맹활약해주면서 연세대 없는 봄철 농구 대회들을 싹쓸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국대 멤버들이 복귀한 완전체 연세대와 정면대결을 펼치기도 전에경희대에게 추계대회/전국체전에서 연이어 발목을 잡히며 타이틀을 놓쳤고, 기대했던 농구대잔치에서 또한번 실업팀들에 연이어 발리고 예선탈락하면서, [[표필상]]-[[정경호(농구)|정경호]]의 짝퉁 더블포스트로는 허-동-택 시절의 영광 재현이 불가능함을 다시한번 확인하고 만다. * 국대 3인방 없이 참가한 춘계대회에서 결선리그 2승 3패라는 충격적인 결과[* 그런데 이게 상대전적이 물고 물려서, 5전 전승 중앙대를 제외하곤 5팀이 2승 3패 동률이 된다. 결국 5팀 공동 준우승;;]를 받게된 연세대는 5월의 MBC배 참가까지 포기하면서 하반기를 준비한다. 국대 3인방이 복귀한뒤 추계대회를 가뿐히 접수하고 농구대잔치에서도 지난해보다 더 강력한 돌풍을 일으키며 최종 4강까지 오른다. * 대학 No.1 센터 [[이창수]]가 물오른 경희대는 [[최명도]](G, 180cm), [[장창곤]](C, 194cm) 등 좋은 신인까지 가세하면서 전국체전 금메달과 3개대회 준우승(;;) 등 경희대 농구부 창단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둔다. 이어 농구대잔치에서도 중앙대도 못간 8강에 오르며, 명실상부 1991년도 대학 3강 한자리가 자신들임을 증명한다. * 지난해 주전 중 3명[[김상식(농구)|김상식]]-김지홍-서동철)이 졸업한 고려대는 [[정인교(농구)|정인교]]가 나중에도 홀로 분투하게될 [[부산 kt 소닉붐|산업은행]] 시절의 프리뷰같은 모습을 보이며 약체로 전락한다. 다른 대학들도 좋은 신입생을 연세대와 중앙대(그리고 경희대)에 대부분 뺏기면서 전력보강에 실패, 전반적으로 대학농구가 하향평준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 1991년 대학선발팀 == === 제14회 이상백배 한-일 대학농구대회 (5월) === 감독: 추헌근(동국대) / 코치: [[최희암]](연세대) (연세대 [[정재근(농구)|정재근]], [[문경은]], [[오성식(농구)|오성식]]과 중앙대 [[표필상]]이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 가드: 김영주(경희대 4), [[이상범(농구)|이상범]](연세대 4), 남경원(중앙대 4), 허기영(건국대 4) * 포워드: [[정인교(농구)|정인교]](고려대 3), [[조성원]](명지대 2), 김재열(한양대 3), 박재현(동국대 3) * 센터: [[이창수]](경희대 4), [[정경호(농구)|정경호]](중앙대 3), [[김재훈(농구)|김재훈]](연세대 2), 전병삼(단국대 4) === 1991 셰필드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7월) === 감독: 하문수(단국대) / 코치: [[최부영]](경희대) * 가드: [[이상범(농구)|이상범]](연세대 4), 남경원(중앙대 4), [[김상식(농구)|김상식]](기업은행), 김지홍(현대전자) * 포워드: [[임근배]](현대전자), [[장일(농구)|장일]](상무), [[강양택]](삼성전자), [[정한신]](고려대 4) * 센터: [[이창수]](경희대 4), [[정경호(농구)|정경호]](중앙대 3), [[김재훈(농구)|김재훈]](연세대 2), 전병삼(단국대 4) == 1991년 졸업반 선수들의 행보 == 지금의 KBL 드래프트에 대입해보면 1순위는 당연히 [[정재근(농구)|정재근]]이지만 외인출전 2인제로 인해 KBL에서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내외곽을 넘나드는 전천후 포워드형보다는 3점만 잘 넣으면 되는 전문 슈터들([[문경은]], [[우지원]], [[양희승]] 등)이 수명이 더 길었던게 사실이다. [[이창수]], [[표필상]] 같은 만년 백업 빅맨들이 오히려 10년도 넘게 활동할수 있었던 이유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빅 3(;;) 이외에 단 한두시즌이라도 주전급으로 뛰었던 선수로는 강병수(97 원년시즌, 97-98 시즌 원주나래), [[이상범(농구)|이상범]](97 원년시즌), 김영주(97 원년시즌) 정도로, 87학번과 마찬가지로 88학번도 상위 몇명을 제외하곤 좋은 선수가 많지 않았다. * 국가대표팀 선발 || 선수 || 신장 || 포지션 || 학교 || 실업팀 || KBL || KBL 시즌 || || [[정재근(농구)|정재근]][* 대학 3학년때인 1990년부터 첫 선발되어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까지 9년간 대표팀에서 3, 4번을 넘나들며 국대에서도 준 주전급으로 활약하였다. 1997 리야드 ABC 우승의 주역.] || 193 || F/C || 연세대 || SBS(창단멤버) || 안양SBS(97-00)-대전현대/전주KCC(00-05) || 9 || || [[이창수]][* 울산 모비스 시절 34세의 나이로 2003 하얼빈 ABC 대표로 선발되었다.] || 196 || C || 경희대 || 삼성전자 || 수원/서울삼성(97-02)-울산모비스(02-09)-창원LG(09-11) || 14 || || [[표필상]][* 중앙대 3,4학년때이던 1990~1991년 2년간 대표로 선발되었다.] || 200 || C || 중앙대 || SBS(창단멤버) || 안양SBS(97-02)-창원LG(02-03)-서울삼성(03-04)-인천전자랜드(04-07) || 11 || * KBL 출범(1997) 이후까지 활약 || 선수 || 신장 || 포지션 || 학교 || 실업팀 || KBL || KBL 시즌 || || [[강병수]] || 191 || F/C || 고려대 || 산업은행 || 원주나래(97-98)-수원/서울삼성(98-02) || 6 || || [[정한신]] || 192 || F/C || 고려대 || 현대전자 || 대전현대(97)-원주나래/TG(97-01) || 5 || || [[이상범(농구)|이상범]] || 182 || G || 연세대 || SBS(창단멤버) || 안양SBS(97-00) || 4 || || 허기영 || 183 || F || 건국대 || 기아자동차 || 부산기아(97)-인천대우/신세기(97-00) || 4 || || 김영주 || 180 || G || 경희대 || 기업은행 || 광주나산(97-99) || 3 || || 오영춘 || 182 || G || 국민대 || SBS(창단멤버) || 안양SBS(97-98) || 1 || * 프로출범 이전 은퇴 || 선수 || 신장 || 포지션 || 학교 || 실업팀 || || 임채란 || 187 || F || 건국대 || 현대전자 || || 이진형 || 176 || G || 단국대 || 한국은행 || || 전병삼 || 194 || C || 단국대 || 삼성전자 || || 남경원 || 185 || G || 중앙대 || SBS(창단멤버) || || 박정근 || 184 || G || 한양대 || 현대전자 || || 김광수 || 194 || C || 한양대 || SBS(창단멤버) || == 그때 그 선수들 ==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4학년 선수들을 위주로 작성되었다. === 건국대 === 추계연맹전 4강 * 설왕진(3학년,G,180cm) * '''허기영'''(4학년,F,183cm): 계성고 졸. 기아자동차-부산기아(97)-인천대우/신세기(97-00) * '''임채란'''(4학년,F,187cm): 현대전자 입단. 아시아 청소년대표 출신의 슈터. 현대전자에는 기존의 강인태, 임근배 등 슈터들이 많았고 2년 후 [[조성원]]까지 입단하면서 출전기회 자체를 잡기 어려웠다. * 김승환(3학년,F,190cm) * 이일웅(2학년,C,195cm) === 경희대 === 전국체전 우승, 농구대잔치 3차대회(8강) 진출 * '''김영주'''(4학년,G,180cm): 휘문고 졸. 기업은행-광주나산 플라망스(97-99) 이창수와 함께 경희대를 대학 3강까지 이끈 주역. 1991년 대학선발에도 뽑혀 이상백배 한일전에 출전하였다. 기업은행 입단 후 [[김상식(농구)|김상식]], [[장일(농구)|장일]], [[이민형(농구)|이민형]] 등과 함께 나름 팀 세대교체의 일원으로 활약했으나, 이후 대학후배인 [[최명도]](180cm, G)가 입단한 후 주전에서 밀렸다. KBL 출범 원년시즌에는 [[최명도]]의 상무 입대 공백을 메우며 다시 주전 포인트가드를 맡았는데, 실업무대에서도 하위권이던 기업은행 멤버에 타 팀보다 한참 후순위로 뽑은 [[에릭 이버츠|웬 백인 아저씨]] 정도만 추가한 [[부산 kt 소닉붐|광주 나산 플라망스]]를, 전체 8팀 중 5위로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데 공헌하며 선수로서 마지막 불꽃을 태운다. 1997-98 시즌엔 팀이 외인 포인트가드 아도니스 조던(178cm)을 뽑으면서 후보로 밀렸고, 그담 시즌엔 상무에서 [[최명도]]가 복귀한데다 IMF로 재정난에 시달리던 모기업 나산그룹이 노장 선수들에 대한 대대적인 정리작업에 들어가면서 98-99 시즌 종료 후 31세의 나이로 [[이민형(농구)|이민형]], [[김현국]] 등과 함께 은퇴했다. WKBL 구리KDB생명 감독을 맡고 있다가[* 10-12 시즌동안 이미 같은팀 감독을 수행한적 있는 구리KDB생명의 前 감독이기도 하다.] 2017-18시즌 도중 자진 사퇴했다. * [[최명도]](1학년,G,180cm) * [[김현국]](3학년,F,188cm) * [[김도명]](2학년,F,190cm) * [[장창곤]](1학년,C,194cm) * [[이창수]](4학년,C,196cm): 군산고 졸. === 고려대 === 춘계연맹전 공동 2위, MBC배 3위 * [[윤호영(1970)|윤호영]](3학년,G,180cm) * [[정인교(농구)|정인교]](3학년,F,182cm) * [[이지승]](1학년,F,188cm) * '''노정현'''(4학년,C,193cm): 경복고 졸. 청소년 대표에도 뽑혔던 경복고 출신 센터. 90년대 들어 대학농구계에서부터 시작된 장신화 탓에 겨우 190 초반대였던 고대 센터들은 경쟁력을 잃었고, 주전센터였던 노정현은 졸업후 선수생활을 접었다. * '''[[정한신]]'''(4학년,C,192cm): 경복고 졸. 현대전자-대전현대(97)-원주TG(97-01) 노정현과는 경복고 동기이며, 졸업후 현대전자에 입단했으나 [[정경호(농구)|정경호]], [[최병식]], [[김재훈(농구)|김재훈]] 등에 밀려 출장기회를 얻지 못했다. KBL 출범 후 두번째시즌부터 [[원주 동부 프로미|원주 나래 블루버드]]로 이적, 백업포워드로 4시즌을 더 보냈다. 원주동부 프로미의 스카우트 담당을 지냈고, 2015-16 시즌 [[STN SPORTS]] KBL 해설위원을 맡기도 했다. 2018 자카르카-팔렘방 아시안게임에 한국 3X3 대표팀 감독으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따는데 기여했다. * '''[[강병수]]'''(4학년,C,191cm): 송도고 졸. 산업은행/나래이동통신-원주나래(97-98)-수원/서울삼성(98-02). 94-95 농구대잔치 리바운드 부문 2위 은퇴후 KTF 코치를 거쳐 2009년 6월 이충희 감독과 함께 고려대 코치로 부임하여 2018년 1월 서동철 감독 부임과 함께 그만두었다가, 2018년 5월에 고려대 감독으로 부임했다. === 국민대 === 춘계연맹전 공동 2위, 농구대잔치 출전 * '''오영춘'''(4학년,G,182cm): 전북기계공고 졸. SBS-안양SBS(97-98) 정재근, 표필상 등과 함께 SBS 농구단의 창단멤버로 KBL에선 한시즌만 뛰고 은퇴, 이후 SBS 영상취재팀에 카메라기자로 취업하였다!!! 국민대 후배 조승민과 함께 현 동호회농구 장년부를 폭격하고 있다고 한다.(;;) * [[장윤섭]](3학년,F,187cm) * 조승민(2학년,C,192cm) === 단국대 === * '''이진형'''(4학년,G,176cm): 한국은행 입단. 왼손잡이 공격형 가드로 황상하(C,194cm), 김동철 등과 함께 한국은행 농구팀의 황혼기를 함께했으며, 1996년 한국은행 농구팀 해체 시 나래이동통신으로 이동하지 않고 한국은행에 남아 현재 일반 은행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 '''전병삼'''(4학년,C,194cm): 삼성전자 입단. 1991년 이상백배 및 셰필드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삼성전자 입단 후 이창수, 박상관, 강양택 등과의 경쟁에 밀려 거의 뛰지 못하고 금새 은퇴하였다. === 동국대 === MBC배 패자준결승(6강) * [[봉하민]](2학년,G,190cm) * [[박재현(농구인)|박재현]](3학년,F,189cm) * 이병률(3학년,C,195cm) === 성균관대 === * [[박규훈]](1학년,G,180cm) * 박상욱(2학년,C,200cm) === 명지대 === MBC배 4위, 추계연맹전 6강 * [[고상준]](2학년,F,182cm) * [[조성원]](2학년,F,182cm) * 장기명(1학년,F,186cm) * [[박상관]](3학년,C,200cm) * '''채명석'''(4학년,C,193cm): 광주고 졸. 기업은행-광주나산(97-98). 광주고 시절엔 [[정재근(농구)|정재근]], [[이창수]] 등을 제치고 고교 랭킹 1위로 꼽히기도 했으나, 명지대 진학 이후론 두각을 나타내진 못했다. === 연세대 === 추계연맹전 우승, 농구대잔치 최종 4위 * [[이상민(농구)|이상민]](1학년,G,183cm) * [[오성식(농구)|오성식]](3학년,G,184cm) * '''[[이상범(농구)|이상범]]'''(4학년,G,182cm) * [[문경은]](2학년,F,190cm) * '''[[정재근(농구)|정재근]]'''(4학년,C,193cm) * [[김재훈(농구)|김재훈]](2학년,C,193cm) === 중앙대 === 시즌 2관왕(춘계연맹전, MBC배) * [[김승기(농구)|김승기]](2학년,G,182cm) * '''남경원'''(4학년,G,185cm): 삼일상고 졸. SBS 입단. 청소년대표 출신 가드로 외곽슛이 빼어나 상무시절 [[김상식(농구)|김상식]] 외곽을 전담하며 [[1993-94 농구대잔치]] 결승까지 진출했다.정재근, 표필상 등과 함께 SBS 창단멤버였으나, 상무시절 입은 부상으로 의병전역한 후 재활에 매달리다가 KBL 출범 직전 은퇴, 이후 안양SBS 스타즈팀 매니저로 활동하였고 안양SBS팀이 KT&G에 매각되면서 SBS에 남았다. 2016년 현재 SBS 예능본부 마케팅담당[* 국장급 직위.]로 재직중이다. (농구선수에서 성공한 직장인으로~) * '''원병선'''(4학년,G,180cm): 대경상고 졸. [[일본]] [[규슈산업대학]] 편입 청소년대표 출신임에도 불구, 대학 4년 내내 벤치를 지키면서 취업 걱정을 하다가 4학년이던 1992년에 일본 규슈산업대학의 스카웃 제의를 받고 일본 유학을 선택했다. 규슈산업대 4학년이던 1996년 [[선수 겸 감독]]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2006년까지 규슈산업대 감독을 맡은 뒤, 2007년부터 [[도카이대학]] [[구마모토]] 캠퍼스 농구부 감독에 취임, 현재까지 감독직을 수행하는 등 일본 대학농구계에서 지도자로써의 수완을 인정받고 있다. * '''[[양형석]]'''(4학년,F,195cm) * [[김영만(농구)|김영만]](1학년,F,193cm) * '''[[표필상]]'''(4학년,C,200cm): 부산동아고 졸. * [[정경호(농구)|정경호]](3학년,C,202cm) * [[홍사붕]](2학년,G,185cm) * ~~[[양경민(1972)|양경민]]~~(1학년,F,193cm) * [[조동기]](2학년,C,197cm) === 한양대 === 춘계연맹전 공동 2위, 농구대잔치 출전 * '''박정근'''(4학년,G,184cm): 현대전자 입단. * 김동철(1학년,G,180cm) * 김재열(3학년,F,191cm) * [[최호(농구)|최호]](1학년,F,193cm) * '''김광수'''(4학년,C,194cm): SBS 입단. === 홍익대 === MBC배 패자준결승(6강), 추계연맹전 6강, 농구대잔치 출전 * 문필호(3학년,G,182cm) * [[이무진(농구)|이무진]](1학년,F,186cm) * 김대현(1학년,F,190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