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include(틀: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목차] == 개요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의 8강 경기 내용을 다루는 문서. == 각 대륙별 8강 진출국 == * '''[[UEFA]]''' 이탈리아, 독일, 크로아티아, 덴마크, '''프랑스''', 네덜란드 * '''[[CONMEBOL]]''' 브라질, 아르헨티나 유럽과 남미를 제외한 나머지 대륙은 16강에서 모두 탈락했다. == 경기 목록 == === 1경기: 이탈리아 0-0(PK 3-4) 프랑스 (생드니)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8강 제1경기}}} [br]{{{#000 1998. 07. 03. (금) 16:3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프랑스|{{{#ffffff 스타드 드 프랑스}}}]] ([[프랑스|{{{#ffffff 프랑스}}}]], [[생드니#s-1|{{{#ffffff 생드니}}}]])}}}''' || ||<-3> '''{{{#ffffff 주심:}}}''' [[파일:UEFA SCO.png|height=20]] [[휴 댈러스|{{{#ffffff '''휴 댈러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 #0053A5 1%, #0053A5 99%, #fff 99%)" [[파일:Italy FIGC 1994.png|height=100px]]}}} ||<|2> '''{{{+5 0 : 0}}}[br]{{{-1 A.E.T.}}}[br]{{{-1 (P.S.O. 3: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fff 90%),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002395 20%, #002395 40%, #fff 40%, #fff 59%, #ED2939 59%, #ED2939 60%, #fff 60%, #fff 79%, #ED2939 79%, #ED2939 80%, #fff 80%, #fff 99%, #ED2939 99%, #ED2939 100%)" [[파일:France FFF 1998 v2.png|height=100px]]}}} ||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TA.png|height=20]] {{{#fff '''이탈리아'''}}}]]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FRA.png|height=20]] {{{#002395 '''프랑스'''}}}]] || || '''{{{#373a3c,#dddddd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 || ||<-5><#0d2b88> '''[[승부차기|{{{#ffffff 승부차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 #0053A5 1%, #0053A5 99%, #fff 99%)"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TA.png|height=20]] {{{#fff '''이탈리아'''}}}]]}}} ||<|2> '''{{{+5 {{{#000000 3 : 4}}}}}}'''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002395 20%, #002395 40%, #fff 40%, #fff 59%, #ED2939 59%, #ED2939 60%, #fff 60%, #fff 79%, #ED2939 79%, #ED2939 80%, #fff 80%, #fff 99%, #ED2939 99%, #ED2939 100%)"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FRA.png|height=20]] {{{#002395 '''프랑스'''}}}]]}}} || ||<-2> {{{#fff '''후축'''}}} ||<-2> {{{#002395 '''선축'''}}} || || [[로베르토 바조|{{{#000 바조}}}]]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1}}}'''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지네딘 지단|{{{#000 지단}}}]] || || [[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000 알베르티니}}}]]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2}}}'''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비셴테 리사라수|{{{#000 리사라수}}}]] ||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000 코스타쿠르타}}}]]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3}}}'''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다비드 트레제게|{{{#000 트레제게}}}]] || || [[크리스티안 비에리|{{{#000 비에리}}}]]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4}}}'''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티에리 앙리|{{{#000 앙리}}}]] || || [[루이지 디 비아조|{{{#000 디 비아조}}}]]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5}}}'''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로랑 블랑|{{{#000 블랑}}}]] || [youtube(r-zZr9uJDII)] ||<-3>
'''{{{#white 중계 방송}}}'''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height=16]]]] || [[손석기]] || 강신우 || 양팀 다 우승 후보다운 경기력을 선보이며 120분 동안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지네딘 지단]]의 출장 정지가 풀렸지만, 이탈리아 역시 지네딘 지단에 대한 대비가 철저했고, 프랑스는 덴마크전 1실점을 제외하면 전혀 실점을 하지 않을 정도로 막강한 수비력을 선보이고 있었다. 프랑스가 좀 더 우세한 모습을 보이며 공격을 퍼부었지만 이탈리아는 역시 노련하게 잘 버텄다. 결국 하지 않을 정도로 막강한 수비력을 선보이고 있었다. 레블뢰와 아주리는 승부를 가리지 못했고, 결국 대회 두 번째 승부차기에 돌입. 에이스인 지네딘 지단이 먼저 성공시키고, 4년 전 비극의 주인공 [[로베르토 바조]] 역시 침착하게 성공시킨다. 바조는 PK를 성공시킨 후 자신의 오른쪽 검지 손가락을 입으로 갖다대며 4년 전의 악몽을 훌훌 털었다. 두 번째 키커인 [[비셴테 리사라수]]와 [[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의 슛은 각각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다비드 트레제게]],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티에리 앙리]], [[크리스티안 비에리]], [[로랑 블랑]]이 차례로 성공시키고 이탈리아의 마지막 키커 [[루이지 디 비아조]]의 슛이 크로스바에 명중(!)하면서 4년 전 결승전과 비슷한 장면을 그대로 연출하며 개최국 프랑스의 4강 진출이 이뤄지게 되었다. 이래저래 승부차기에 약한 이탈리아지만,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 독일 월드컵]] [[2006 FIFA 월드컵 독일/결승|결승전]]에서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이기며 설욕에 성공한다. --하지만 언론은 그런 것보다 [[지네딘 지단|지단]]의 박치기에만 관심이 있었다...-- === 2경기: 브라질 3-2 덴마크 (낭트)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8강 제2경기}}} [br]{{{#000 1998. 07. 03. (금)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ffffff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낭트|{{{#ffffff 낭트}}}]])}}}''' || ||<-3> '''{{{#ffffff 주심:}}}''' [[파일:UEFA EGY.png|height=20]] [[가말 간두르|{{{#ffffff '''가말 간두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transparent 5%, transparent 95%, #008000 95%), linear-gradient(to bottom, #fce901 5%, #008000 5%, #008000 6%, #fce901 6%)" [[파일:Brazil CBF 1998.png|height=100px]]}}} ||<|2> '''{{{+5 3 : 2}}}''' ||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4%, #008000 4%, #008000 5%, #0047A0 5%, #0047A0 95%, #008000 95%, #008000 96%, #fff 96%)"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BRA.png|width=20]] {{{#!html 브라질}}}]]'''}}} ||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DEN.png|height=20]] {{{#D3223D '''덴마크'''}}}]] || || '''{{{#373a3c,#dddddd 11′}}} [[베베투|{{{#373a3c,#dddddd 베베투}}}]][br]{{{#373a3c,#dddddd 27′, 60′}}} [[히바우두|{{{#373a3c,#dddddd 히바우두}}}]]'''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2′}}} [[라르스 마르틴 예르겐센|{{{#373a3c,#dddddd 예르겐센}}}]][br]{{{#373a3c,#dddddd 50′}}} [[브리안 라우드루프|{{{#373a3c,#dddddd B. 라우드루프}}}]]''' || [youtube(x5qdBNF72-o)] [youtube(Be3CnoubbFY)] [youtube(CYtWOJI8NEs)] [youtube(3OPmHgShHuY)] 빠르게 전개한 프리킥 혼전 상황 속에서 마르틴 예르겐센의 벼락 같은 선제골이 터졌지만, 브라질은 [[베베투]]와 [[히바우두]]의 골로 역전. 그리고 [[브리안 라우드루프]]의 동점골[* 유명한 모델 세레머니가 선보여진 그 골이다. 그 전에 [[호베르투 카를로스]]의 화려한 오버헤드 헛발질은 덤(...)]이 터지며 경기의 행방은 알 수 없게 됐지만, [[히바우두]]가 강력한 왼발 중거리슛으로 결승골을 성공시키면서 브라질이 [[펠레 스코어]] 승리를 거두었다. 여담으로 이 경기가 덴마크의 최초이자 현재까지도 유일한 월드컵 8강 경기이다. 또한 라우드루프 형제의 마지막 A매치 경기이기도 하다. === 3경기: 네덜란드 2-1 아르헨티나 (마르세유)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8강 제3경기}}} [br]{{{#000 1998. 07. 04. (토) 16:30 (UTC+1)}}}''' || ||<-3> '''{{{#ffffff [[스타드 벨로드롬|{{{#ffffff 스타드 벨로드롬}}}]] ([[프랑스|{{{#ffffff 프랑스}}}]], [[마르세유|{{{#ffffff 마르세유}}}]])}}}''' || ||<-3> '''{{{#ffffff 주심:}}}''' [[파일:UEFA MEX.png|height=20]] [[아르투로 브리시오 카르테르|{{{#ffffff '''아르투로 브리시오 카르테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8533 15%, transparent 15%), linear-gradient(to right, #FF8533 3%, #000 3%, #000 4%, #FF8533 4%, #FF8533 96%, #000 96%, #000 97%, #FF8533 97%)" [[파일:Netherlands KNVB 1998 Home.png|height=100px]]}}} ||<|2> '''{{{+5 2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4.3%, #abdded 14.3%, #abdded 28.6%, #ffffff 28.6%, #ffffff 42.9%, #abdded 42.9%, #abdded 57.2%, #ffffff 57.2%, #ffffff 71.5%, #abdded 71.5%, #abdded 85.8%, #ffffff 85.8%)" [[파일:Argentina AFA 1990.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3%, #000 3%, #000 4%, #fff 4%, #fff 96%, #000 96%, #000 97%, #fff 97%)"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NED.png|width=20]] {{{#000 네덜란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212329 2%, #212329 98%, #fff 98%)"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ARG.png|width=20]] {{{#ffffff 아르헨티나}}}]]'''}}} || || '''{{{#373a3c,#dddddd 12′}}} [[파트릭 클라위버르트|{{{#373a3c,#dddddd 클라위버르트}}}]][br]{{{#373a3c,#dddddd 90′}}} [[데니스 베르캄프|{{{#373a3c,#dddddd 베르캄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17′}}} [[클라우디오 로페스|{{{#373a3c,#dddddd 로페스}}}]]''' || [youtube(9Alav4qqLUQ)] [youtube(VIQNzjBL8qU)] ||<-3>
'''{{{#white 중계 방송}}}''' || || [[MBC|[[파일:MBC 로고(1986-2005).svg|height=16]]]] || [[송재익]] || [[신문선]] || 징계에서 돌아온 네덜란드의 스트라이커 [[파트릭 클라위버르트]]가 [[데니스 베르캄프]]의 헤딩 패스를 받아 선제골을 넣었다. 그러나 네덜란드 수비진의 오프사이드 트랩 실패로 1대1 찬스를 맞이한 [[클라우디오 로페스]]가 동점골을 터뜨리고 공방이 오가던 중 85분에 [[아리엘 오르테가]]가 [[에드윈 반 데 사르]]의 도발에 넘어가 시원하게 헤딩으로 들이받고[*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16년 후]], 포르투갈의 페페가 독일의 토마스 뮐러를 헤딩으로 들이받고 퇴장당했다. 단, 오르테가는 할리우드 액션으로 넘어진 상태에서 일어나면서 그대로 데 사르의 턱을 머리로 들이받은 반면, 페페는 아예 주저앉은 상태의 뮐러를 그대로 머리로 박치기한 차이점이 있다.]는 [[레드카드]]를 받아 퇴장당했다. 그리고... 드디어 89분에, [[프랑크 더 부르]]의 롱 패스에 이어 히든 스트라이커의 교과서인 [[데니스 베르캄프]]가 월드컵 축구 역사상 손꼽히는 '''오른발 쓰리 터치''' 골을 성공 시켜 네덜란드가 2:1로 승리를 거두고 4강에 진출했다. --해설자의 데니스 베르캄프x5~~~ 라는 말과 으아아아앍 이라는 신음이 참으로 인상깊다.-- === 4경기: 독일 0-3 크로아티아 (리옹)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8강 제4경기}}} [br]{{{#000 1998. 07. 04. (토)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제를랑|{{{#ffffff 스타드 드 제를랑}}}]] ([[프랑스|{{{#ffffff 프랑스}}}]], [[리옹|{{{#ffffff 리옹}}}]])}}}''' || ||<-3> '''{{{#ffffff 주심:}}}''' [[파일:UEFA NOR.png|height=20]] [[루네 페데르센|{{{#ffffff '''루네 페데르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5%, #000 25%, #000 30%, #fff 30%, #fff 35%, #dd0000 35%, #dd0000 40%, #fff 40%, #fff 45%, #ffce00 45%, #ffce00 50%, #fff 50%)" [[파일:Germany DFB 1998.png|height=100px]]}}} ||<|2> '''{{{+5 0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0%, #034ea2 10%, #034ea2 90%, transparent 90%), linear-gradient(to bottom, #fff 11.1%, #DD1D29 11.1%, #DD1D29 22.2%, #fff 22.2%, #fff 33.3%, #DD1D29 33.3%, #DD1D29 44.4%, #fff 44.4%, #fff 55.5%, #DD1D29 55.5%, #DD1D29 66.6%, #fff 66.6%, #fff 77.7%, #DD1D29 77.7%, #DD1D29 88.8%, #fff 88.8%)" [[파일:Croatia HNS 1998.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95%, #dd0000 95%)"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fff '''독일'''}}}]]}}}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CRO.png|height=20]] {{{#fff '''크로아티아'''}}}]] || || '''{{{#373a3c,#dddddd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45+3′}}} [[로베르트 야르니|{{{#373a3c,#dddddd 야르니}}}]][br]{{{#373a3c,#dddddd 80′}}} [[고란 블라오비치|{{{#373a3c,#dddddd 블라오비치}}}]][br]{{{#373a3c,#dddddd 85′}}} [[다보르 슈케르|{{{#373a3c,#dddddd 슈케르}}}]]''' || [youtube(Jiqv18Afllw)] ||<-3>
'''{{{#white 중계 방송}}}'''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height=16]]]] || [[손석기]] || 강신우 || '''8강전 최고의 이변'''이라고 할 수 있는 경기였다. 90년 월드컵, 유로 96을 재패한 독일의 승리를 대부분 점쳤으나 정작 결과는 '''신생 국가 크로아티아의 3:0 대승으로 허망하게 끝났다.'''[* [[베르티 포크츠]]가 [[방심|"크로아티아 쯤이야"]]라고 비웃었지만, 독일 수비수의 최강 에이스인 [[크리스티안 뵈른스]]가 거친 백태클로 인해 다이렉트로 퇴장당하고 만다. 포크츠가 그 뵈른스의 다이렉트 퇴장 모습을 보고 아쉬워하며 불안해했고 결국 크로아티아한테 3골이나 먹혀 패배하여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이에 포크츠는 엄청난 충격을 받았고 결국 감독직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크리스티안 뵈른스]]의 백태클로 인한 퇴장으로 수적 우세를 점한 크로아티아는 전반 추가 시간에 나온 로베르토 야르니의 중거리슛 선제골로 후반을 기분 좋게 시작하였고, 후반 막판에 나온 블라오비치의 또 한번의 중거리슛 골, [[다보르 슈케르]]의 연속골로 깔끔한 마무리까지 하며 독일에 큰 치욕을 안겨줬다. 그야말로 [[LTE-A]]급 역습. 지난 대회 돌풍의 주역 불가리아에 8강에서 무릎을 꿇은 독일은 이번에도 동유럽 돌풍에 또다시 무릎을 끓었다. [[게리 리네커]] [[의문의 1패]]. 이 패배는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먼훗날 상상 이상의 그 치욕적인 패배]]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독일 vs 일본|그것도 2연속]]으로 겪기 전까지 독일의 월드컵 축구 역사상 최악의 패배로 기록되어 있다. [youtube(TRaOd4pfKcw)] 이 경기에서 전반 막판에 뵈른스가 백태클로 퇴장당하는 역적질을 저지르며 독일에 구멍이 뚫리기 시작하며 무너지기 시작한게 컸지만, 이 경기에서 크로아티아는 딱딱하고 투박한 독일식 축구를 어떻게 공략하는지 잘 알고 있음을 직접 증명해보였다. 결국 독일은 [[크로아티아]] 특유의 독일 약점 공략전술과 [[다보르 슈케르]], [[크로아티아]]의 [[LTE]]급 역습에 완전히 무너지고 말았다. 이때 당시 크로아티아는 조별리그에서 최고로 허접한 팀인 자메이카에게도 패배한 일본을 상대로 하마터면 비길 뻔했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고는 해도 '''처녀 출전국치고는 1998 프랑스 월드컵 본선 최대 돌풍팀이었다'''. 여담으로 이 경기가 현재까지 독일이 동서독 통일 이래 월드컵 본선에서 가장 큰 점수차로 패배한 경기다. 더불어 크로아티아가 월드컵 토너먼트에서 무실점 클린시트를 기록한 마지막 경기이기도 하다. [[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