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1999년 동티모르 위기'''[br]'''[[마인어|Krisis Timor Timur 1999]]'''[br]'''[[영어|1999 East Timorese Crisis]]'''}}}}}} || ||<-2> {{{#fff '''기간'''}}} || ||<-2> [[1999년]] [[4월]] ~ [[2005년]] || ||<-2> {{{#fff '''장소'''}}} || ||<-2> [[동티모르]] || ||<-2> {{{#fff '''교전국 및 교전세력'''}}} || ||<^|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3]] 친[[인도네시아]] 군부 * 아이타락 * 베시 메라 푸티 * 락사우르 * 마히디 ---- 지원단체:[br]코파수스[br]국가정보국 ||<^|1>[include(틀:국기, 국명=동티모르)] ---- 지원단체 및 국가:[br][[파일:UN기.svg|width=23]] [[유엔 동티모르 임시행정부]] || ||<-2> {{{#fff '''지휘관'''}}} || ||<^|1>'''[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출력= )] [[위란토]]'''[br]'''유리코 구테레스''' ||<^|1>'''[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 [[존 하워드]]''' || ||<-2> {{{#fff '''병력'''}}} || ||<^|1>군사: 13,900명 ||<^|1>군사 및 경찰: 11,000명 || ||<-2> {{{#fff '''피해'''}}} || ||<^|1>15 ~ 19명사망[br]301명 이상 체포 ||<^|1>총 65명 사망[br]49명 체포 || ||<-2> 민간인 1,400명 사망[br]220,000명 이상 이재민 발생 || ||<-2> {{{#fff '''결과'''}}} || ||<-2> 친인도네시아 군벌 패배[br]동티모르의 정치적 안정[br]동티모르 분리독립 투표 실시[br][[미국]]의 인도네시아와 무기 거래 중단(1999년 9월 9일~2005년 11월 22일)[br][[영국]]의 인도네시아와 무기 거래 중단(1999년 9월 11일~2012년 4월 11일)[br][[호주]]의 인도네시아와 무기 거래 중단(1999년 9월)[br][[유럽연합]]의 인도네시아와 무기 거래 중단(1999년 9월 16일~2000년 1월 17일)[br]동티모르의 공공 기반 시설 80% 파괴[br]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내 영향력 지속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티모르]]의 수도 [[딜리]]를 중심으로 친인도네시아 군벌과 동티모르 사이에 발생한 대규모 폭력 사태. == 배경 == [[인도네시아]]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해 [[수하르토]]가 [[1998년]] 5월 30년간 지속했던 대통령직을 내려놓게 된다. 당시 [[인도네시아군]]이 동티모르에 수행하고 있던 군사 작전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재정에 큰 부담이 되었다. [[6월 8일]], 수하르토의 뒤를 이은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가 동티모르 자치권 보장에 대한 특별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선언한다. [[존 하워드]] [[호주 총리]]는 동티모르의 독립 투표를 시행하라고 인도네시아에게 조언한다. [[1999년]] [[5월 5일]], 인도네시아와 포르투갈은 동티모르의 독립 또는 자치권을 두고 [[8월 6일]]에 투표를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후에 [[8월 30일]]로 연기되었다. == 상세 == 투표날이 다가올 수록 독립을 지지하는 단체와 자치권을 지지하는 단체 간의 갈등이 심해졌고 결국 두 집단 사이의 폭력 사태로 번졌다. [[5월 16일]], 인도네시아군과 결탁한 갱단이 친독립파를 공격했다. 독립 투표가 실시되고 98.6%의 투표율을 기록한 투표는 [[9월 4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ㅣ 78.5%가 독립에 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실을 인도네시아인들은 믿지 못했고 유엔과 호주가 하비비에 독립 투표 실시를 종용했다는 뉴스를 믿었다. 이에 준군사단체는 딜리에서 시민들을 무차별 공격하기 시작했고 수많은 시민들이 산으로 피신을 했다. 수아이에서는 100여명이 사망했다. [[9월 8일]] [[자카르타]]에서는 하비비가 유엔에서 온 대표단들에 동티모르의 유혈 사태는 거짓이라고 설명했고 위란토 장군 또한 사태가 군대에 의해 진정되었다고 했다. [[분류:1999년/사건사고]][[분류:인도네시아의 사건 사고]][[분류:동티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