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00 시드니 올림픽)] [include(틀:역대 올림픽 야구 우승국)] [include(틀: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2> [[2000 시드니 올림픽|[[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50]]]][br]'''올림픽 야구''' || ||<-2> [[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width=80%]] || || '''종목''' ||[[야구|{{{#black,#white 야구}}}]] || || '''참가 인원''' ||240명 || || '''참가국''' ||8개국 || || '''기간''' ||2000년 8월 15일 ~ 9월 27일 || || '''경기장'''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br][[블랙타운 인터내셔널 스포츠파크 베이스볼 스타디움|블랙타운 베이스볼 스타디움]] || ||<-2> [[https://olympics.com/en/olympic-games/athens-2004/results/baseball|{{{#fff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0 시드니 올림픽]]의 야구 부문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야구종목은 9월 17일부터 시작했으며 9월 27일 끝났다. 경기는 각각 팀을 달리해 [[더블헤더]] 형식으로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에서 이루어졌다. 1996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프로야구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이 허용되면서 한국, 일본, --쿠바--이 최초로 정예 프로선수들을 출전시킨 대회이다. [[김응용]]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김응룡호/2000년|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은 최종순위 3위로 [[동메달]]을 거머쥐었으며 이는 [[올림픽]] 야구종목에서 한국이 최초로 따낸 메달이다. [[박찬호]], [[김병현]] 등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 소속 선수들이 메이저리그 사무국과 [[국제야구연맹]] 간의 불화로 인해 나오지 못했기 때문에 입상은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대회 전이나 대회 중에 갑자기 생긴 부상자들이 많아 선수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당시 커리어 하이를 찍고 있었던 [[송지만]]이 대표팀 연습경기 중 큰 부상을 당해 [[SK 와이번스|SK]] [[이승호(1981)|이승호]]로 교체되었고 무릎부상을 안고 있었던 이승엽은 완전치 않은 컨디션으로 뒤늦게 합류했다. 대회 중에도 박경완, 박재홍, 정민태 등의 부상자가 계속 생겨 경기운영에 애를 먹었다.] 예상 외의 선전으로 입상하며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또한, 최종전이었던 일본과의 3/4위 결정전은 [[구대성]]의 9이닝 1실점 155구 완투승[* 심지어 구대성은 담에 걸려 등판이 힘든 상태였다. 당시 [[김인식]] 감독(당시 대표팀 투수코치)이 '괜찮냐'고 묻자 구대성은 '그냥 견딜만 해요'라고 대답했고, 그러자 '그럼 내일 선발은 너다'라고 통보한 뒤 돌아섰다고 한다. 그리고 구대성은 '[[까라면 까|하라니까 해야지]]'라는 생각으로 등판했다고. 자세한 건 아래 3/4위 결정전 부분 참고.]과 [[이승엽]]의 결승 2타점 2루타 등 투혼이 더욱 빛나 명승부로 회자되고 있다. 대표팀 선수 중 [[손민한]], [[박진만]][* 올림픽 직전 아버지가 병역 브로커에게 면제청탁을 부탁하며 뇌물을 건넨 혐의로 구속되는 바람에 면제 처분이 취소된 바 있었다.], [[정수근]], [[장성호]], [[이승호(1981)|이승호]] 등 5명이 [[예술체육요원|병역 특례]]를 받았다.[* [[정대현(1978)|정대현]]이 이 때 병역 특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은 이미 면제를 받은 상태였다.] [[http://library.la84.org/6oic/OfficialReports/2000/Masters/bb/BBresults.pdf|시드니 올림픽 야구종목 기록지 PDF.]] == 경기장 == ||
'''{{{#ffffff Sydney Baseball Stadium}}}''' || || [[파일:Skodastadium.jpg|width=100%]]|| ||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21,500석) || 메인 스타디움으로 사용된 경기장. 원래 명칭은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으로 [[호식축구]][* 이전까지는 국제대회나 연습경기등이 열렸으나 2008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리그|AFL]] 소속의 [[그레이터 웨스턴시드니 자이언츠]]가 홈구장으로 사용.], [[럭비]][* 1996년부터 [[캔터버리-뱅크스타운 불독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크리켓]] 경기에 사용되는 구장이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때는 한시적으로 야구 전용 구장으로 개조되어 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ffffff Blacktown International Sports Park Baseball Stadium}}}''' || || [[파일:블랙타운 베이스볼 스타디움.jpg|width=100%]]|| || [[블랙타운 인터내셔널 스포츠파크 베이스볼 스타디움]](3,000명 수용) || 보조구장으로 2009년부터 [[호주 프로야구 리그]] 소속의 [[시드니 블루삭스]]의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 == === 1999 [[유럽야구선수권대회]] === || 순위 || '''{{{#012063 참가국}}}''' || '''{{{#012063 승}}}''' || '''{{{#012063 패}}}''' || '''{{{#012063 승률}}}''' || '''{{{#012063 득점}}}''' || '''{{{#012063 실점}}}''' || '''{{{#012063 비고}}}''' || || 유럽 1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html 네덜란드 }}}]]''' || 8 || 0 || 1.000 || 42 || 2 || 본선 직행 || || 유럽 2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이탈리아 }}}]]''' || 7 || 1 || 0.875 || 50 || 9 || 본선 직행 || === 1999 [[팬아메리칸 게임]] === || 순위 || '''{{{#012063 참가국}}}''' || '''{{{#012063 승}}}''' || '''{{{#012063 패}}}''' || '''{{{#012063 승률}}}''' || '''{{{#012063 득점}}}''' || '''{{{#012063 실점}}}''' || '''{{{#012063 비고}}}''' || || 아메리카 1위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html 쿠바 }}}]]''' || 5 || 2 || 0.714 || - || - || 본선 직행 || || 아메리카 2위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 5 || 2 || 0.714 || - || - || 본선 직행 || === 1999 오세아니아야구선수권대회 === || 순위 || '''{{{#012063 참가국}}}''' || '''{{{#012063 승}}}''' || '''{{{#012063 패}}}''' || '''{{{#012063 승률}}}''' || '''{{{#012063 득점}}}''' || '''{{{#012063 실점}}}''' || '''{{{#012063 비고}}}''' || || 오세아니아 1위 ||[[파일:괌 기.svg|width=30]] '''[[괌 야구 국가대표팀|{{{#c62139 괌}}}]]''' || 3 || 2 || .666 || - || - || 대륙별 플레이오프 진출[* 1999년 12월 아프리카 지역 1위팀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대륙별 플레이오프 5전 3선승제 경기에서 매경기 접전을 했으나 3전 전패로 탈락했다.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호주]]는 올림픽 주최국 자격으로 본선 자동진출을 해서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 1999 [[아프리칸 게임]] === || 순위 || '''{{{#012063 참가국}}}''' || '''{{{#012063 승}}}''' || '''{{{#012063 패}}}''' || '''{{{#012063 승률}}}''' || '''{{{#012063 득점}}}''' || '''{{{#012063 실점}}}''' || '''{{{#012063 비고}}}''' || || 아프리카 1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남아프리카 공화국 }}}]]''' || 5 || 0 || 1.000 || 158 || 6 || 대륙별 플레이오프 진출[* 대륙별 플레이오프에서 오세아니아 지역 1위팀인 [[괌 야구 국가대표팀|괌]]에게 3전 전승을 거두어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 === 1999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 || 순위 || '''{{{#012063 참가국}}}''' || '''{{{#012063 승}}}''' || '''{{{#012063 패}}}''' || '''{{{#012063 승률}}}''' || '''{{{#012063 득점}}}''' || '''{{{#012063 실점}}}''' || '''{{{#012063 비고}}}''' || || 아시아 1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대한민국 }}}]]''' || 5 || 0 || 1.000 || - || - || 본선 직행 || || 아시아 2위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 4 || 1 || .800 || - || - || 본선 직행 || == 참가국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20%, #F4C300 40%, #009F3D 60%, #0085C7)" [[국제올림픽위원회|[[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width=50]]]] {{{+1 {{{#ffffff '''시드니 올림픽 참가국'''}}}}}}}}} || || {{{#000000 '''팀'''}}} || {{{#000000 '''출전자격'''}}} || {{{#000000 '''출전확정일자'''}}} || {{{#000000 '''진출횟수'''}}} || {{{#000000 '''최근 출전'''}}} || {{{#000000 '''최고성적'''}}} || {{{#000000 '''WBSC 랭킹'''}}}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html 호주 }}}]]''' ||개최국 자동진출 || [[1993년]] [[9월 23일]] || 2회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7위[*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html 네덜란드 }}}]]''' ||1999 [[유럽야구선수권대회]] 우승 || [[1999년]] [[7월 31일]] || 2회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5위[*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이탈리아 }}}]]''' ||1999 [[유럽야구선수권대회]] 준우승 || [[1999년]] [[7월 31일]] || 3회 ||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야구|1992]] || 4위[*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야구|1992]].] || '''-''' ||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html 쿠바 }}}]]''' ||1999 [[팬아메리칸 게임]] 우승 || [[1999]] [[8월 2일]] || 3회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0]][*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1992]],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1999 [[팬아메리칸 게임]] 준우승 || [[1999]] [[8월 2일]] || 3회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width=20]][*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1912 스톡홀름 올림픽]], [[1936 베를린 올림픽]]에서 야구 종목 금메달을 땃지만 정식 기록으로 채택되진 않는다.] ||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9 [[아프리칸 게임]] 우승[* 정확히는 올아프리카 게임 우승국인 남아공과 오세아니아 대회 우승팀인 [[괌 야구 국가대표팀|괌]]과의 플레이오프를 승리하며 최종 진출했다.] || [[1999년]] [[9월 15일]] || 1회 || 첫 출전 || 첫 출전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대한민국 }}}]]''' ||1999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BFA 아시아선수권]] 우승 || [[1999년]] [[9월 17일]] || 2회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8위[*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1999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BFA 아시아선수권]] 준우승 || [[1999년]] [[9월 17일]] || 3회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width=20]][*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 '''-''' || ==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예선 풀리그|예선 풀리그]] ==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예선 풀리그]] 항목 참조. === 예선라운드 순위 === || '''팀''' || '''경기''' || '''승''' || '''패''' || '''득점''' || '''실점''' || '''승률''' || '''승차''' || '''승자승''' || '''비고''' ||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html 쿠바 }}}]]''' || 7 || 6 || 1 || 49 || 17 || .857 || ― || 1승 0패 ||<|4> 4강 진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 7 || 6 || 1 || 49 || 13 || .857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대한민국 }}}]]''' || 7 || 4 || 3 || 43 || 23 || .571 || 2 || 1승 0패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 7 || 4 || 3 || 41 || 22 || .571 || 2 ||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html 네덜란드 }}}]]''' || 7 || 3 || 4 || 17 || 29 || .428 || 3 || ― ||<|4> 조별예선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이탈리아 }}}]]''' || 7 || 2 || 5 || 30 || 36 || .285 || 4 || 1승 0패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html 호주 }}}]]''' || 7 || 2 || 5 || 33 || 43 || .285 || 4 ||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남아프리카 공화국 }}}]]''' || 7 || 1 || 6 || 11 || 73 || .142 || 4 || ― || == 결선 토너먼트 == === 1경기 : 일본 0 : 3 쿠바 === ||<-2> [[2000 시드니 올림픽|[[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60]]]] '''{{{+5 ·}}}''' [[야구|[[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width=80]]]]||<-13>[[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5 {{{#0e0e0e 2000 시드니 올림픽}}}}}}'''[br]''{{{#d71921 Games of the XXVII Olympiad, Semi Final}}}'']][br]{{{#0e0e0e ━━━━━━━━━━━━━━━━━━━━━━━━━━━━}}}[br]'''{{{#0e0e0e 4강전, 9.26, 12:30, 13,727명,}}}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0e0e0e 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 || ||<-15>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918049 일본}}}]]''' || [[쿠로키 토모히로]]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 || 1 || 0 ||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1e3267 쿠바}}}]]''' || 호세 콘트라레스 || 0 || 0 || 0 || 1 || 0 || 2 || 0 || 0 || X || '''3''' || 9 || 1 || 0 || ===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준결승 2경기|2경기 : 미국 3 : 2 대한민국]] === ||<-2> [[2000 시드니 올림픽|[[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60]]]] '''{{{+5 ·}}}''' [[야구|[[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width=80]]]]||<-13>[[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5 {{{#0e0e0e 2000 시드니 올림픽}}}}}}'''[br]''{{{#d71921 Games of the XXVII Olympiad, Semi Final}}}'']][br]{{{#0e0e0e ━━━━━━━━━━━━━━━━━━━━━━━━━━━━}}}[br]'''{{{#0e0e0e 4강전, 9.26, 19:30, 14,002명,}}}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0e0e0e 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 || ||<-15>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0066b3 대한민국}}}]]''' || '''[[정대현(1978)|정대현]]''' || 0 || 0 || 2 || 0 || 0 || 0 || 0 || 0 || 0 || '''2''' || 3 || 0 || 2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004685 미국}}}]]''' || '''[[로이 오스왈트]]''' || 0 || 0 || 0 || 1 || 0 || 0 || 1 || 0 || 1 || '''3''' || 6 || 1 || 6 || ▲승리투수 : [[토드 윌리엄스]] (1이닝 2K 무실점) ▲패전투수 : [[박석진]] ▲홈런 : [[덕 민케이비츠]] (9회)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준결승 2경기]] 항목 참조. ===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동메달 결정전|동메달 결정전 : 대한민국 3 : 1 일본]] === ||<-2> [[2000 시드니 올림픽|[[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60]]]] '''{{{+5 ·}}}''' [[야구|[[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width=80]]]]||<-13>[[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5 {{{#0e0e0e 2000 시드니 올림픽 순위 결정전}}}}}}'''[br]''{{{#d71921 Games of the XXVII Olympiad, Bronze medal match}}}'']][br]{{{#0e0e0e ━━━━━━━━━━━━━━━━━━━━━━━━━━━━}}}[br]'''{{{#0e0e0e 3,4위 결정전, 9.27, 12:30, 14,058명,}}}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0e0e0e 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 || ||<-15>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918049 일본}}}]]''' || [[마쓰자카 다이스케]] || 0 || 0 || 0 || 0 || 0 || 0 || 0 || 0 || 1 || '''1''' || 5 || 1 || 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0066b3 대한민국}}}]]''' || [[구대성]] || 0 || 0 || 0 || 0 || 0 || 0 || 0 || 3 || X || '''3''' || 6 || 0 || 5 || ▲결승타: [[이승엽]](8회 2사 2,3루서 좌중간 2루타) ▲승리투수 : [[구대성]] (9이닝 5피안타 '''11K''' 1실점) ▲패전투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자세한 내용은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동메달 결정전]] 항목 참조. == 메달 결정전 : 쿠바 0 : 4 미국 == ||<-2> [[2000 시드니 올림픽|[[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60]]]] '''{{{+5 ·}}}''' [[야구|[[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width=80]]]]||<-13>[[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5 {{{#0e0e0e 2000 시드니 올림픽 메달 결정전}}}}}}'''[br]''{{{#00048a Games of the XXVII Olympiad, Gold medal match}}}'']][br]{{{#0e0e0e ━━━━━━━━━━━━━━━━━━━━━━━━━━━━}}}[br]'''{{{#0e0e0e 메달 결정전, 9.27, 18:30, 14,107명,}}} [[시드니 쇼그라운드 스타디움|{{{#0e0e0e 시드니 베이스볼 스타디움}}}]]''' || ||<-15>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004685 미국}}}]]''' || [[벤 시츠]] || 1 || 0 || 0 || 0 || 3 || 0 || 0 || 0 || 1 || '''4''' || 9 || 0 || 0 ||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1e3267 쿠바}}}]]''' || 페드로 루이스 라조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 || [[파일:external/stillmed.olympic.org/USA_team_Baseball_getty_Sydney_2000_Sydney_2000_2_600.jpg]] 한편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쿠바]]를 1회 마이크 네일의 솔로홈런을 포함해 9안타로 두드린 끝에 4-0의 스코어를 기록하며 우승하였다. [[벤 시츠]]의 완봉 대호투가 눈부셨던 경기. 하지만 전날 오심으로 얼룩졌던 경기로 인해 더러운 우승이라며 된통 까였다. --그래서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8년 후 대회]]때는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s-4.2.4|한국]]과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s-4.2.3|미국의 위치]]가 바뀐다-- == 최종 성적 == ||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패 || 비고 || 최종 성적 || || [[금메달|[[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미국}}}]]''' || 9 || 8 || 1 || || 금메달 || || [[은메달|[[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width=30]]]]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1e3267 쿠바}}}]]''' || 9 || 7 || 2 || || 은메달 || || [[동메달|[[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width=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대한민국}}}]]''' || 9 || 5 || 4 || || 동메달 || || 4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일본}}}]]''' || 9 || 4 || 5 || || 4위 || || 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네덜란드}}}]]''' || 7 || 3 || 4 || || 조별리그 || ||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이탈리아}}}]]''' || 7 || 2 || 5 || || 조별리그 || || 7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호주}}}]]''' || 7 || 2 || 5 || || 조별리그 || || 8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000000 남아공}}}]]''' || 7 || 1 || 6 || || 조별리그 || ||<-2>
'''{{{+2 2000 시드니 올림픽 우승}}}''' ||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0]] || || 첫번째 우승 || '''미국''' || == 여담 == * 올림픽 야구 전체성적에서 [[김한수]]는 5득점으로 득점 10위, [[정수근]]과 [[이병규(1974)|이병규]]는 5도루, 3도루를 기록하며 도루 1위와 2위를 차지, [[박석진]]과 [[홍성흔]], [[박진만]], [[김한수]], [[정수근]], [[이병규(1974)|이병규]], [[박재홍(야구)|박재홍]]은 필딩률 1.000으로 각 포지션별 필딩률 1위를 차지했다. [[박종호(1973)|박종호]]는 .960으로 필딩률 5위를 차지했다. [[정대현(1978)|정대현]]은 0.00으로 방어율 1위, [[박석진]]은 1.000으로 승률 1위, [[구대성]]과 [[박석진]]은 삼진 12개와 11개를 기록하며 탈삼진 각 6위와 8위를 차지했다. * 마지막 경기의 임팩트 때문인지 [[구대성]]의 혹사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숨은 히어로는 [[박석진]]이었다. '''대부분 경기에서 계투로 출장'''하여 총 7경기 출장을 기록했고, 도박 논란 다음날 열린 네덜란드전에서 선발로 나와 8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하는 등 전천후로 나와 활약했지만 스포트라이트는 [[구대성]]이다. * 당시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토미 라소다]]였다. 여기서도 막말을 많이 해 구설수에 올랐다.[* 원래 토미 라소다 감독은 성격이 괄괄하기로 유명하다. 이탈리아계 혈통이어서 그런지는 알 수 없어도 거침없는 발언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1988년 월드 시리즈에서 밥 코스타가 당시 다저스 타선이 물방망이라고 했다고 그걸로 역정을 냈을 정도였으니 두말할 필요없다.] 이때 한 대표적인 막말로, 결승전에서 우승하고 상대 팀이었던 쿠바 선수들에게 사탕수수밭이 기다리고 있다는 도발을 시전했다. * 한국과의 두 경기(예선, 준결승)에서 각각 홈런을 뽑아낸 미국 대표팀의 덕 민케이비츠는 4년 후, [[2004 월드 시리즈|자국에서의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보스턴 레드삭스|어느 한 많던 팀]]의 86년간의 월드 시리즈의 저주를 끊을때 팀 멤버로 기쁨을 만끽한다. 이 [[나무위키]]의 [[2004 월드 시리즈]] 항목의 당시 보스턴 우승 직후 보스턴 배터리 위로 점프해 같이 기쁨을 나누는 선수 사진이 그다(등번호 13). * [[정민태]], [[임선동]], [[손민한]], [[진필중]], [[임창용]], [[송진우(야구)|송진우]] 등 국내에선 잘 하던 투수들이 제 활약을 하지 못했다. 특히 (KBO산) 우완 정통파투수들의 국제경쟁력은 2021년 [[도쿄 올림픽 야구|도쿄 올림픽]]이 열리는 시점에서도 전혀 개선되지 않아 씁쓸함을 주고 있다. * 대표팀 사령탑이었던 [[김응용]] 감독은 이 때를 두고 '''"메달을 따지 못하면 50년 야구인생을 끝내려고까지 했다"'''라고 회고했다. 8년뒤에는 김경문도 이승엽한테 똑같은 소리를 해댔다. * 동메달 확정 이후, [[정수근]]은 숙소에서 알몸으로 뛰어다녔다고 한다. * 올림픽 마지막 경기에서 동메달을 결정짓는 결승 2루타를 친 이승엽은 병역 브로커의 이미지를 얻게 된 것과는 별개로 올림픽 기간 내내 부진했는데, 한국에서의 활약상을 고려해 올림픽 대부분의 경기에서 1루수로 출장했음에도[* 1루를 볼 수 있었던 [[김기태(1969)|김기태]]와 [[장성호]]는 각각 지명타자와 좌익수로 출전했기 때문에 대표팀 1루수는 이승엽 혼자 전담했다.] 타율 1할에 5안타 1홈런, 게다가 첫 안타가 예선 일본전이었다. 5차전까지 무안타였다는 소리. 이런 삽질로 "이럴거면 차라리 김기태가 1루를 보고 이승엽은 [[박한이]]로 대체하지 그랬나" 등의 말이 심심찮게 나왔었다. 그리고 8년뒤에도 반복되었다. * 참고로 [[유재석]]이 단골로 쓰는 모자가 바로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모자. 무명시절부터 지금까지 [[http://postshare.co.kr/archives/294380|20년을 넘게 써온 모자]]라고 한다. * 당시 대표팀은 1인당 4,000만원 가량의 포상금을 수령했다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0028616|##]] 리그 최고 연봉자가 3억원이던 [[정민태]]와 [[이승엽]]이던 시절이니 만큼 이 돈은 꽤나 쏠쏠한 부수입인 셈. * [[2032 브리즈번 올림픽]]을 개최하며 호주는 3번째 올림픽을 개최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야구]]가 정식종목이 될 가능성이 적어보인다. [[럭비]]와 [[크리켓]],[[오스트레일리안 풋볼|호주 풋볼]]이 이젠 개최국 한정으로 원하는 종목을 임시 정식 종목이 될 기회를 노리기 때문이고 이들은 야구와 차원이 다른 자국 내 인기로 모두 프로리그를 갖추고 국제적으로 실력도 강호급이다. 호주는 크리켓 월드컵에선 5번 우승, 1번 준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럭비 월드컵]]에서 2번 우승, 2번 준우승을 거둘 정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안 풋볼|호주 풋볼]]은 세계 대회 인지도가 없지만 대신, 호주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가진 프로리그를 치룰 정도이기에 적어도 자국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도전할 인프라가 충분히 있다. 이들보다 리그 시장성도 국제대회 실력도 떨어지고 호주 스포츠계에서 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야구는 아무래도 힘들어보인다.[* 그런데 2023년 10월, [[2028 LA 올림픽]]부터 야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https://news.sbs.co.kr/amp/news.amp?news_id=N1007376438|기사]]] [[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