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나이지리아]] [include(틀: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 '''{{{+3 {{{#fff 200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나이지리아}}}}}}''' || ||<-3> '''{{{#fff 2000 African Cup of Nations [br]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00}}}''' || ||<-3> [[파일:GhanaNigeria2000logo.png|width=200]] || || '''{{{#fff 대회기간}}}''' ||<-2> [[1월 22일]] ~ [[2월 13일]] || || '''{{{#fff 개최국}}}''' ||<-2>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가나]]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나이지리아]] || || '''{{{#fff 참가팀}}}''' ||<-2> 16개팀 || ||<-3> '''{{{#fff 대회 결과}}}''' || || '''{{{#000 우승}}}''' ||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 || [[파일:Cameroon_2000s.png|height=30]] || || '''{{{#000 준우승}}}''' ||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 '''{{{#000 3위}}}'''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남아프리카공화국]]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 '''{{{#000 4위}}}''' ||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 || [[파일: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3> '''{{{#fff 수상}}}''' || || '''{{{#fff 골든볼}}}''' ||<-2> [[파일:Cameroon_2000s.png|height=30]] [[로레아노 비산 에타메 메이에르|로렌]] || || '''{{{#fff 골든부트}}}'''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숀 바틀렛]] (5골) || ||<-3> '''{{{#fff 연표}}}''' || || '''{{{#fff 이전 대회}}}''' ||<-2> {{{-1 [[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부르키나파소|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부르키나파소)]]}}} || || '''{{{#fff 다음 대회}}}''' ||<-2> [[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22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가나]]와 [[나이지리아]]에서 공동개최되었다. 당초 짐바브웨가 1998년 개최권을 획득했으나 1999년 가나와 나이지리아가 공동개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경기장 == 아크라 스포츠 스타디움 (아크라, 가나) - 40,000석 바바 야라 스타디움 (쿠마시, 가나) - 51,500석 라고스 국립 경기장 (라고스, 나이지리아) - 55,000석 사니 아바차 스타디움 (카노, 나이지리아) - 25,000석 == 본선진출국 == * 공동개최국 : 가나 / 나이지리아 * 전 대회 우승국 : 이집트 * 예선통과 13개국 * 예선 1조[* 당시만 해도 짐바브웨 개최가 확정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가나 또한 예선에 참여했다. 이후 개최국 변경이 되면서 가나의 전적은 친선경기로 처리되어 예선 결과에서 빠졌다. 이후 이 조의 예선 2위에겐 직행권이 아닌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주어졌다.] : 카메룬 (1위) * 예선 2조[* 1999년 시에라리온 내전으로 인해 시에라리온이 기권했다.] : 모로코 (1위), 토고 (2위) * 예선 3조 : 코트디부아르 (1위), 콩고 공화국 (2위) * 예선 4조 : 남아프리카 공화국 (1위), 가봉 (2위) * 예선 5조[* 당시만 해도 짐바브웨 개최가 확정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나이지리아 또한 예선에 참여했다. 이후 개최국 변경이 되면서 나이지리아의 전적은 친선경기로 처리되어 예선 결과에서 빠졌다. 이후 이 조의 예선 2위에겐 직행권이 아닌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주어졌다.] : 부르키나파소 (1위) * 예선 6조 : 잠비아 (1위), 콩고 DR (2위) * 예선 7조 : 튀니지 (1위), 알제리 (2위) * 플레이오프[* 가나, 나이지리아가 속한 1조, 5조의 조 2위국과 개최권을 포기해 예선을 치러야 하는 짐바브웨까지 3개국이 홈앤드 어웨이 풀리그를 벌였다.] 통과 : 세네갈 == 조편성 == A조: 가나,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토고 B조: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봉, 콩고 DR, 알제리 C조: 이집트, 잠비아,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D조: 나이지리아, 튀니지, 모로코, 콩고 공화국 == 경기 결과 == === 조별 리그 === ==== A조 ==== 가나 1:1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1:1 토고 ==== B조 ==== ==== C조 ==== ==== D조 ==== === 토너먼트 결과 === || '''{{{+2 2000 CAF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200]] [br] '''카메룬''' || || 세 번째 우승 || == 결과 == == 여담 == * 카메룬 대표팀의 전성기를 알린 대회다. 1998년 월드컵 부진 이후 [[사뮈엘 에투]], 피에르 워메 등 98년 월드컵때 10대 유망주였던 선수들이 대표팀의 주축으로 떠오르면서 맞은 첫 대회였고, 여기서 우승을 거머쥔 것이다. 이후 카메룬 대표팀은 2000년 가을 열린 [[2000 시드니 올림픽/축구(남자)|시드니 올림픽 남자 축구]] 우승, [[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우승, [[200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프랑스]] 준우승 등 황금기를 맞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