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include(틀:2002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파일:2002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wid=350&height=300]] [목차] [clearfix] == 개요 == 2002 시즌 [[미네소타 트윈스]]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애너하임 에인절스]]간의 [[아메리칸 리그]] 왕좌를 놓고 벌인 대결. 에인절스가 시리즈 전적 4대1로 [[2002년 월드 시리즈|월드 시리즈]]에 진출하였다. == 양 팀 상황 == 같은 지구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소위 [[머니볼]]을 내세우면서 시즌 중반에 20연승을 달리는 기염을 토하면서 아쉽게도 지구 타이틀을 내줘야했지만, 2002년의 에인절스 역시 결코 약한 팀이 아니었다. [[존 래키]],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트로이 퍼시벌]]이 버티는 투수진과 [[개럿 앤더슨]], [[트로이 글로스]], [[데이비드 엑스타인]] 등이 주축을 이룬 타선에다 명장 [[마이크 소시아]]까지 결부되면서 전력이 대폭발, 99승이라는 훌륭한 성적을 내면서 와일드카드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200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ALDS]]에서 만난 악의 제국 [[뉴욕 양키스]]를 가볍게 3승 1패로 ~~쌈싸먹고~~ 누르고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한다.[* 이것이 대단한 것이, 그전까지 양키스는 무려 4년 연속 월드시리즈에 진출한 막강팀이었다.] 한편 [[론 가든하이어]] 감독이 이끄는 [[미네소타 트윈스]]는 상대적으로 투수진은 빈약했고 타선은 유망주들로만 가득했지만[* 이 해 메이저리그 전체에서 로스터 진입 선수들의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팀이었다.], [[토리 헌터]]와 브라이언 뷰캐넌, [[데이비드 오티즈]] 등의 파워 하나는 뛰어난 ~~정확도는 갖다 팔아버린~~ 타선을 바탕으로 94승을 거두면서[* 특히 막판 스퍼트가 눈부셨다. 전반기까지는 5할보다 살짝 위 정도의 승률이었는데 후반기에 6할을 훌쩍 넘기는 승률을 기록하면서 제대로 팀분위기가 탄력을 받는다.]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 우승을 차지한다. 그리고 [[200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ALDS]]에서 그해 리그를 지배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3승 2패로 꺾고 챔피언십 시리즈 진출에 성공한다. == 진행 == === 1차전 === ||<-14> {{{#d31145 2002년 10월 8일 [[US 뱅크 스타디움#s-1.1|{{{#d31145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ANA}}}]]''' || 케빈 에이피어 || 0 || 0 || 1 || 0 || 0 || 0 || 0 || 0 || 0 || '''1''' || 4 || 0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조 메이스 || 0 || 1 || 0 || 0 || 1 || 0 || 0 || 0 || - || '''2''' || 5 || 1 || 승:조 메이스(1승) 패:케빈 에이피어(1패) 세:에디 구아다도(1세) [[조 메이스]]와 [[케빈 에피어]]의 팽팽한 투수전에서 메이스가 판정승을 거둔다. [[A.J. 피어진스키]]의 희생플라이와 [[코리 코스키]]의 적시타를 묶은 미네소타가 2-1로 신승을 거둔다. 그리고 이 경기는 [date] 기준, 미네소타가 홈에서 거둔 마지막 포스트시즌 승리 경기가 되었다. === 2차전 === ||<-14> {{{#ffffff 2002년 10월 9일 [[US 뱅크 스타디움#s-1.1|{{{#ffffff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ANA}}}]]''' || 라몬 오티즈 || 1 || 3 || 0 || 0 || 0 || 2 || 0 || 0 || 0 || '''6''' || 10 || 0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릭 리드 || 0 || 0 || 0 || 0 || 0 || 3 || 0 || 0 || 0 || '''3''' || 11 || 1 || 승:라몬 오티즈(1승) 패:릭 리드(1패) 세:[[트로이 퍼시벌]](1세) 홈런 두방을 포함해서 일찌감치 미네소타 투수진을 두들겨 팬 애너하임이 시리즈를 동률로 만드는 데 성공한다. 특히나 압권은 2회초 [[애덤 케네디]]가 런다운에 걸려서 횡사할 뻔한 상황에서 [[A.J. 피어진스키]]의 글러브를 손으로 쳐서 공을 놓치게 만들었음에도 어떤 심판도 수비 방해를 선고하지 않은 상황.[* 그리고 피어진스키는 3년뒤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나선 [[200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ALCS]]에서 낫아웃 사기 사건으로 에인절스에게 고스란히 빚을 갚아준다.] 미네소타는 에인절스보다 안타를 더 쳐냈음에도 3득점에 묶이면서 집중력이 아쉬웠던 경기. === 3차전 === ||<-14> {{{#ffffff 2002년 10월 11일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ffffff 에디슨 필드}}}]]}}}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에릭 밀튼 || 0 || 0 || 0 || 0 || 0 || 0 || 1 || 0 || 0 || '''1''' || 6 || 0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ANA}}}]]''' || [[재러드 워시번]] || 0 || 1 || 0 || 0 || 0 || 0 || 0 || 1 || - || '''2''' || 7 || 2 || 승:[[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1승) 패:J.C. 로메로(1패) 세:[[트로이 퍼시벌]](2세) 2회말 [[개럿 앤더슨]]이 솔로홈런을 날린 이후로 양팀 선발투수였던 [[에릭 밀튼]]과 [[재러드 워시번]] 사이의 팽팽한 투수전이 이어진다. 미네소타는 7회초 [[자크 존스]]의 2루타로 동점을 만드는데 성공했지만 8회말 [[트로이 글로스]]가 다시 솔로 홈런을 날려버리면서 그대로 리타이어.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와 [[트로이 퍼시벌]]로 이어지는 에인절스의 불펜진은 이날도 사기스러움을 자랑하면서 미네소타 타선을 꽁꽁 묶어버린다. === 4차전 === ||<-14> {{{#ffffff 2002년 10월 12일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ffffff 에디슨 필드}}}]]}}}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브래드 래드키 || 0 || 0 || 0 || 0 || 0 || 0 || 0 || 0 || 1 || '''1''' || 6 || 2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ANA}}}]]''' || [[존 래키]] || 0 || 0 || 0 || 0 || 0 || 0 || 2 || 5 || - || '''7''' || 10 || 0 || 승:[[존 래키]](1승) 패:브래드 래드키(1패) [[브래드 래드키]]와 [[존 래키]]의 선발투수 대결에서 양 팀은 팽팽하게 7회초까지 무실점으로 동점을 이뤘지만 7회말 [[트로이 글로스]]의 적시타로 동률이 깨진데 이어서 8회말 [[벤지 몰리나]]의 2타점 3루타까지 터져나오면서 뒤늦게 경기는 에인절스 쪽으로 급속히 기울어버린다. 미네소타는 9회초 1점을 냈지만 이미 기울어 버린 대세에 별다른 의미는 없었다. === 5차전 === ||<-14> {{{#ffffff 2002년 10월 13일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ffffff 에디슨 필드}}}]]}}}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미네소타 트윈스|{{{#d31145 MIN}}}]]''' || 조 메이스 || 1 || 1 || 0 || 0 || 0 || 0 || 3 || 0 || 0 || '''5''' || 9 || 0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ANA}}}]]''' || 케빈 에이피어 || 0 || 0 || 1 || 0 || 2 || 0 || 10 || 0 || - || '''13''' || 18 || 0 || 승:[[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2승) 패:[[요한 산타나]](1패) 6회말까지 끌려가던 미네소타가 7회초 대거 3득점을 내면서 5-3으로 앞서나가면서 승부를 6차전으로 끌고가는가 싶었지만 계투로 등판한 [[요한 산타나]][* 이 시기 산타나는 체인지업을 장착하기 이전의 아직 구위는 좋지만 제구가 ~~똥망이었던~~ 흔들렸던 유망주였고, 주로 계투로 등판하곤 했다.] 를 상대로 7회말 에인절스 타선은 가을 야구 역사에 남을 불꽃놀이를 장식한다. [[스캇 스피지오]]와 [[벤지 몰리나]]가 연속으로 안타를 치면서 만든 찬스에서 [[애덤 케네디]]가 쓰리런을 날려버리면서 그대로 경기를 뒤집었던 것. 하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이후로 에인절스 타선은 연거푸 안타를 쳐대면서 7점을 더냈고 그 이닝에만 무려 10점을 내버리면서 미네소타 투수진을 초토화시켜버렸다. 경기는 그렇게 끝났고, 에인절스는 창단 첫 월드 시리즈 진출의 감격을 누리게 된다. 그리고 [[2002년 월드 시리즈|이어진 월드 시리즈]]에서도 [[배리 본즈]]가 버티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7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4승 3패로 누르면서 창단 첫~~그리고 지금까지도 마지막~~ 우승을 누리는 기쁨을 안게 된다. [[분류:챔피언십 시리즈]][[분류:미네소타 트윈스]][[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