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include(틀: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 '''{{{+3 {{{#fff 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 ||<-3> '''{{{#fff 2002 African Cup of Nations [br]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02}}}''' || ||<-3> [[파일:Mali_CAN2002.png|width=200]] || || '''{{{#fff 대회기간}}}''' ||<-2> [[1월 19일]] ~ [[2월 10일]] || || '''{{{#fff 개최국}}}''' ||<-2> [[파일:말리 국기.svg|width=30]] [[말리]] || || '''{{{#fff 참가팀}}}''' ||<-2> 16개팀 || ||<-3> '''{{{#fff 대회 결과}}}''' || || '''{{{#000 우승}}}''' ||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 || [[파일:Cameroon_2000s.png|height=30]] || || '''{{{#000 준우승}}}''' ||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 [[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 '''{{{#000 3위}}}''' ||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 '''{{{#000 4위}}}''' ||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말리]] || [[파일:말리 축구 대표팀.png|height=30]] || ||<-3> '''{{{#fff 수상}}}''' || || '''{{{#fff 골든볼}}}''' ||<-2> [[파일:Cameroon_2000s.png|height=30]] [[리고베르 송]] || || '''{{{#fff 골든부트}}}''' ||<-2>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줄리어스 아가호와]] [br] [[파일:Cameroon_2000s.png|height=30]] [[파트리크 음보마]] [br] [[파일:Cameroon_2000s.png|height=30]] [[살로몽 올렘베]] (이상 3골) || ||<-3> '''{{{#fff 연표}}}''' || || '''{{{#fff 이전 대회}}}''' ||<-2> {{{-1 [[200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나이지리아|200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나이지리아)]]}}} || || '''{{{#fff 다음 대회}}}''' ||<-2> [[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23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말리]]에서 개최되었다. == 경기장 == 26 마르 경기장(바마코) - 60,000석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바마코) - 30,000석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케스) - 15,000석 바레마 보쿰 경기장(모프티) - 15,000석 아마르 다우 경기장(세구) - 15,000석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시카소) - 15,000석 == 본선진출국 == * 개최국 : 말리 * 전 대회 우승국 : 카메룬 * 예선통과 14개국 * 예선 1조 : 나이지리아 (1위), 잠비아 (2위) * 예선 2조 : 라이베리아 (1위), 남아프리카공화국 (2위) * 예선 3조 : 모로코 (1위), 튀니지 (2위) * 예선 4조 : 알제리 (1위), 부르키나파소 (2위) * 예선 5조 : 토고 (1위), 세네갈 (2위) * 예선 6조 : 가나 (1위), 콩고 DR (2위) * 예선 7조 : 이집트 (1위), 코트디부아르 (2위) == 조편성 == A조: 나이지리아, 말리, 라이베리아, 알제리 B조: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나, 모로코, 부르키나파소 C조: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 토고, 코트디부아르 D조: 세네갈, 이집트, 튀니지, 잠비아 == 경기 결과 == === 조별 리그 === ==== A조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나이지리아''' || 3 || 2 || 1 || 0 || 2 || 0 || +2 || '''7''' || || '''말리''' || 3 || 1 || 2 || 0 || 3 || 1 || +2 || '''5''' || || 라이베리아 || 3 || 0 || 2 || 1 || 3 || 4 || -1 || '''2''' || || 알제리 || 3 || 0 || 1 || 2 || 2 || 5 || -3 || '''1''' || || 팀 1 || 결과 || 팀 2 || || 말리 || 1:1 || 라이베리아 || || 알제리 || 0:1 || 나이지리아 || || 말리 || 0:0 || 나이지리아 || || 라이베리아 || 2:2 || 알제리 || || 말리 || 2:0 || 알제리 || || 라이베리아 || 0:1 || 나이지리아 || '검은 다이아몬드' [[조지 웨아]]가 버티는 라이베리아는 말리전과 알제리전 모두 1점차로 리드하다가 후반 막판에 동점골을 내주는 바람에 다 잡은 승리를 놓쳤다. 그리고 나이지리아에 지면서 탈락하였다. 나이지리아가 조 1위를 차지하였으며 개최국 말리도 라이베리아와 나이지리아에게서 무를 캐고 마지막 경기에서 알제리를 이김으로써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 B조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1 || 2 || 0 || 3 || 1 || +2 || '''5''' || || '''가나''' || 3 || 1 || 2 || 0 || 2 || 1 || +1 || '''5''' || || 모로코 || 3 || 1 || 1 || 1 || 3 || 4 || -1 || '''4''' || || 부르키나파소 || 3 || 0 || 1 || 2 || 2 || 4 || -2 || '''1''' || || 팀 1 || 결과 || 팀 2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0:0 || 부르키나파소 || || 모로코 || 0:0 || 가나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0:0 || 가나 || || 부르키나파소 || 1:2 || 모로코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1 || 모로코 || || 부르키나파소 || 1:2 || 가나 ||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나가 8강에 진출하였다. 두 팀 모두 1, 2경기에서 무재배했지만,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8강에 진출하였다. 특히 가나는 부르키나파소에게 1:0으로 밀리며 탈락이 확정되는 듯 싶었으나... 90분에 동점골, 90+2분에 역전골을 만들어내었다. 부르키나파소는 다 잡은 8강을 놓친 셈이고 가나는 기적을 만든 셈이다. 모로코도 1승 1무를 기록한 상황에서 남아공한테 무만 캐도 8강이었는데 아쉽게 되었다. ==== C조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카메룬''' || 3 || 3 || 0 || 0 || 5 || 0 || +5 || '''9''' || || '''콩고 민주 공화국''' || 3 || 1 || 1 || 1 || 3 || 2 || +1 || '''4''' || || 토고 || 3 || 0 || 2 || 1 || 0 || 3 || -3 || '''2''' || || 코트디부아르 || 3 || 0 || 1 || 2 || 1 || 4 || -3 || '''1''' || || 팀 1 || 결과 || 팀 2 || || 카메룬 || 1:0 || 콩고 민주 공화국 || || 토고 || 0:0 || 코트디부아르 || || 카메룬 || 1:0 || 코트디부아르 || || 콩고 민주 공화국 || 0:0 || 토고 || || 카메룬 || 3:0 || 토고 || || 콩고 민주 공화국 || 3:1 || 코트디부아르 || 카메룬이 무실점 전승으로 가볍게 조 1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1무 1패의 상황인 마지막 경기에서 같은 처지의 코트디부아르를 격파함으로써 8강에 진출하였다. ==== D조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세네갈''' || 3 || 2 || 1 || 0 || 2 || 0 || +2 || '''7''' || || '''이집트''' || 3 || 2 || 0 || 1 || 3 || 2 || +1 || '''6''' || || 튀니지 || 3 || 0 || 2 || 1 || 0 || 1 || -1 || '''2''' || || 잠비아 || 3 || 0 || 1 || 2 || 1 || 3 || -2 || '''1''' || || 팀 1 || 결과 || 팀 2 || || 세네갈 || 1:0 || 이집트 || || 튀니지 || 0:0 || 잠비아 || || 이집트 || 1:0 || 튀니지 || || 세네갈 || 1:0 || 잠비아 || || 이집트 || 2:1 || 잠비아 || || 세네갈 || 0:0 || 튀니지 || 세네갈이 무실점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였다. 두 번의 승리 모두 딱 1골씩만 넣었다. ~~늪축구?~~ 이집트도 첫 경기에서 세네갈에게 패배했으나 튀니지와 잠비아를 연파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 토너먼트 결과 ===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 A ||<:> 8강 1경기 [br] 남아프리카 공화국 0:2 '''말리''' ||<|2><:> E ||<|2><:> 4강 1경기(연장) [br] 나이지리아 1:2 '''세네갈''' ||<|4><:> G ||<|4><:> 결승 [br] '''카메룬''' 0:0(3:2) 세네갈 || ||<:> B ||<:> 8강 4경기 [br] '''세네갈''' 2:0 콩고 민주 공화국 || ||<-4><:> {{{#white - }}} || ||<:> C ||<:> 8강 3경기 [br] '''카메룬''' 1:0 이집트 ||<|2><:> F ||<|2><:> 4강 2경기 [br] '''카메룬''' 3:0 말리 || ||<:> D ||<:> 8강 2경기 [br] 가나 0:1 '''나이지리아''' || H || 3/4위전 [br] '''나이지리아''' 1:0 말리 || 여담으로 결승전에서 세네갈은 1, 2번 키커 모두 성공하고 카메룬은 한 명이 실축하여 2:1 상황이었는데, 거짓말처럼 세네갈의 3, 4, 5번 키커가 연달아 실축하며 ~~삼연뻥~~ 카메룬에게 우승을 내주었다. ||
'''{{{+2 2002 CAF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200]] [br] '''카메룬''' || || 네 번째 우승 || == 결과 == ||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비고 || ||<:> 1 || 카메룬 || 6 || 5 || 1 || 0 || 9 || 0 || +9 || '''16''' || '''우승''' || ||<:> 2 || 세네갈 || 6 || 4 || 2 || 0 || 6 || 1 || +5 || '''14''' || 준우승 || ||<:> 3 || 나이지리아 || 6 || 4 || 1 || 1 || 5 || 2 || +3 || '''13''' || 3위 || ||<:> 4 || 말리 || 6 || 2 || 2 || 2 || 5 || 5 || 0 || '''8''' || 4위 || ||<:> 5 || 이집트 || 4 || 2 || 0 || 2 || 3 || 3 || 0 || '''6''' || 8강 || ||<:> 6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 1 || 2 || 1 || 3 || 3 || 0 || '''5''' || 8강 || ||<:> 7 || 가나 || 4 || 1 || 2 || 1 || 2 || 2 || 0 || '''5''' || 8강 || ||<:> 8 || 콩고 민주 공화국 || 4 || 1 || 1 || 2 || 3 || 4 || -1 || '''4''' || 8강 || ||<:> 9 || 모로코 || 3 || 1 || 1 || 1 || 3 || 4 || -1 || '''4''' || 1라운드 || ||<:> 10 || 라이베리아 || 3 || 0 || 2 || 1 || 3 || 4 || -1 || '''2''' || 1라운드 || ||<:> 11 || 튀니지 || 3 || 0 || 2 || 1 || 0 || 1 || -1 || '''2''' || 1라운드 || ||<:> 12 || 토고 || 3 || 0 || 2 || 1 || 0 || 3 || -3 || '''2''' || 1라운드 || ||<:> 13 || 부르키나파소 || 3 || 0 || 1 || 2 || 2 || 4 || -2 || '''1''' || 1라운드 || ||<:> 13 || 잠비아 || 3 || 0 || 1 || 2 || 1 || 3 || -2 || '''1''' || 1라운드 || ||<:> 15 || 알제리 || 3 || 0 || 1 || 2 || 2 || 5 || -3 || '''1''' || 1라운드 || ||<:> 16 || 코트디부아르 || 3 || 0 || 1 || 2 || 1 || 4 || -3 || '''1''' || 1라운드 || == 여담 == * 당시 아프리카에서도 중위권 정도로 여겨졌던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이 돌풍을 일으키며 결승전까지 진출해 놀라움을 안겨준 대회였다. 결승전에서 당시 아프리카 최강팀이었던 카메룬을 맞아 싸우면서도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깝게 지는 등 심상찮은 모습을 보였다. 당시 4개월 뒤 열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월드컵 본선]]에서 최약체 팀으로 분류되던 터라, 이 대회 후 축구 전문가들은 조심스레 세네갈의 돌풍을 예상하기도 했다.[* 이 예상은 월드컵에서 적중한다. 되려 전문가들의 예상을 훌쩍 넘는 선전으로 월드컵 첫 출전만에 8강에 오르는 등 아프리카 월드컵 본선 최고성적 타이기록을 쓴다. [[세네갈 쇼크]]로 일컬어지는 월드컵 본선 역사에 남을 최대 이변을 만들어낸 건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