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include(틀: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목차] [clearfix] == 대륙별 8강 진출국 == === [[AFC]](아시아) - 1/2 === ||<-2> '''국가''' || '''16강 결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6강 4경기 승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16강 8경기 패 || 월드컵 역사에 길이 남을 [[히딩크호/이탈리아전|대이변을 연출하며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고]] 올라온 대한민국이 아시아 역사상 두 번째 8강 진출국이 되었다[* 첫 번째는 북한이었으나, 이는 조별리그가 16개 국가이던 시절 1승을 따내어 가까스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물론 당시 북한 조에는 전설의 골키퍼인 [[레프 야신]]이 있는 강팀 소련이 있었다는걸 감안하면 그리 만만한 난이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 중에서 결선 토너먼트에 올라와서 1승을 거두고 8강에 올라온 것은 대한민국이 처음이다. 같이 16강까지 올라온 일본은 터키와 분전 끝에 0:1로 패배하여 최종 순위 9위로 마쳤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이 유일한 아시아 8강 진출팀이 되었으며, 對 스페인전에서 붉은 악마 서포터즈는 이를 기념하여 '''Pride of Asia'''라는 카드 섹션을 걸었다.]. === [[UEFA]](유럽) - 4/9 === ||<-2> '''국가''' || '''16강 결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6강 1경기 승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16강 3경기 승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16강 5경기 승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터키''']] || 16강 8경기 승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 16강 3경기 패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16강 4경기 패 ||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 || 16강 5경기 패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16강 6경기 패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16강 7경기 패 || 이탈리아가 한국에게 충격과 공포의 역전패를 얻어맞고 떨어지거나, 스웨덴이 세네갈에게 무너진 것을 제외한다면 올라올 팀만 올라왔다. 웬만하면 상대가 브라질이었거나 같은 유럽 최상위급 팀과 붙어서 떨어진 경우가 다반사. 특이하게도 지역 예선 1위 팀 중 스페인과 잉글랜드만 살아남았다. === [[CAF]](아프리카) - 1/1 === ||<-2> '''국가''' || '''16강 결과''' || ||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 16강 7경기 승 || 아프리카 팀 중 유일하게 결선 토너먼트에 올라온 세네갈이지만 돌풍을 멈추지 않고 스웨덴까지 쓰러트리며 아프리카 역사상 두 번째이자 자국 역사상 최초로 8강 대열에 합류했다. === [[CONCACAF]](북중미/카리브) - 1/2 === ||<-2> '''국가''' || '''16강 결과'''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 16강 2경기 승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 || 16강 2경기 패 || 16강에서 같이 올라온 멕시코와 ~~북중미 골드컵 결승전~~일전을 벌인 끝에 2:0 신승을 거두고 북중미 팀 가운데 유일하게 8강에 진출하였다. === [[CONMEBOL]](남미) - 1/2 === ||<-2> '''국가''' || '''16강 결과'''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16강 6경기 승 ||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16강 1경기 패 || [[전차군단|상대적으로 강한 상대]]를 만난 파라과이는 그럭저럭 분전했으나 패배. 전통 최강자 브라질이 벨기에를 완파하며 8강에 진출하였다. == 8강 토너먼트 == === 잉글랜드 1 vs 2 브라질 === ||<-3>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height=60]]]] '''{{{#a38054 2002 FIFA 월드컵}}} {{{#003b9e 한국}}}{{{#a38054 ·}}}{{{#f1011e 일본}}} {{{#a38054 8강 1경기}}}[br]{{{#a38054 2002.06.21.(금) 15:30 (UTC+9)}}}''' || ||<-3> '''{{{#ffffff [[시즈오카 스타디움|{{{#ffffff 시즈오카 스타디움}}}]] ([[일본|{{{#ffffff 일본}}}]] [[시즈오카현|{{{#ffffff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FFFFFF 시즈오카시}}}]])}}}''' || ||<-3> '''{{{#ffffff 주심:}}}''' [[파일:UEFA MEX.png|height=20]] [[펠리페 리조 라모스|{{{#ffffff '''펠리페 리조 라모스'''}}}]] || || [[파일:UEFA ENG.png|height=100px]] ||<|2> '''{{{+5 1 : 2}}}''' || [[파일:UEFA BRA.png|height=100px]] ||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000040 잉글랜드}}}]]'''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브라질}}}]]''' || || '''{{{#000 23'}}} [[마이클 오언|{{{#000 마이클 오언}}}]]''' || '''득점''' || '''{{{#000 45+2'}}} [[히바우두|{{{#000 히바우두}}}]]'''[br]'''{{{#000 50'}}} [[호나우지뉴|{{{#000 호나우지뉴}}}]]''''''[[프리킥|{{{#090 (FK)}}}]]''' || || - || '''[[레드 카드|{{{#fff 퇴장}}}]]''' || '''{{{#000 57′}}} [[호나우지뉴|{{{#000 호나우지뉴}}}]]''' [[레드 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18px]]]] || ||<-3> '''{{{#ffffff 관중: 47,436명}}}''' || ||<-3> '''{{{#ffffff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BRA.png|height=20]] [[히바우두|{{{#ffffff '''히바우두'''}}}]]''' || ||<-3>
'''{{{#white 중계 방송}}}'''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height=16]]]] || [[서기철]] || [[허정무]]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1986-2005).svg|height=16]]]] || [[임주완]] || [[김주성(축구)|김주성]] || ||<|2> [[SBS|[[파일:SBS 로고.svg|height=20]]]][br]{{{-2 SD | HD}}} || [[김정일(아나운서)|김정일]] || 곽성호 || || 박영웅 || 오일영 || [youtube(nZ35Y4bN29Y)] [youtube(92UsZ-Q9s8k)] [youtube(4JcwixRnFhs)] [youtube(CY_9hwGgSHc)] [youtube(d6vhqCsYXwU)] 지역예선에서 네덜란드, 조별예선에서 프랑스, 아르헨티나, 포르투갈 16강전에서 이탈리아 등 우승후보들이 줄줄이 갈려나간 상황에서 남은 우승후보 브라질과 잉글랜드가 비교적 빠른 8강전에서 격돌하게 되면서 사실상의 결승전이라는 평가를 받은 경기.잉글랜드 특유의 역습에 이은 [[마이클 오언]]의 선취골로 잉글랜드가 앞서가지만, 전반 종료 직전 [[호나우지뉴]]가 화려한 돌파에 이은 킬패스를 [[히바우두]]에게 줬고 히바우두가 지체없이 동점골을 뽑아내며 전반 종료, 그후 호나우지뉴는 상당히 먼 거리에서 프리킥을 슈팅으로 연결, 슈팅을 예상하지 못하고 살짝 앞으로 나와있던 [[데이비드 시먼]]의 머리를 완전히 넘기는 슈퍼골을 보여주며 기어이 역전을 성공시켰고, 7분 뒤에 [[대니 밀스]]의 발목을 밟는 바람에 그 자리에서 퇴장까지 당하며 1골 1어시스트 1퇴장이라는 원맨쇼를 보여주며 브라질의 승리를 이끌었다. ~~[[가린샤 클럽]] 5호 회원에 가입하신걸 축하드립니다.~~ 월드컵 시작 전 [[호나우두]]는 매경기 골을 넣겠다고 선언했고 16강 벨기에전까지는 이 선언을 실현해나가고 있었으나, 이 경기에서만큼은 무득점.[* 그리고 호나우두는 이 경기에서 상당히 지쳐있는지 후반 중반에 에디우송과 교체됐다. 이후 나머지 두 경기에서 터진 세 골(준결승 터키전 1골 + 결승 독일전 2골)은 모두 호나우두가 넣었다.] 호나우지뉴는 이 경기 후 5년 동안 세계 축구의 절대자로 군림했다. 여담으로 브라질이 2002 한일월드컵 본선에서 어웨이 유니폼을 입고 치른 경기는 이 경기가 유일했다. 나머지 경기에서는 모두 홈 유니폼을 입었다. === 독일 1 vs 0 미국 === ||<-3>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height=60]]]] '''{{{#a38054 2002 FIFA 월드컵}}} {{{#003b9e 한국}}}{{{#a38054 ·}}}{{{#f1011e 일본}}} {{{#a38054 8강 2경기[br]2002.06.21.(금) 20:30 (UTC+9)}}}''' || ||<-3> '''{{{#ffffff [[울산문수축구경기장|{{{#ffffff 울산문수축구경기장}}}]]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 [[울산광역시|{{{#ffffff 울산광역시}}}]] [[남구(울산광역시)|{{{#ffffff 남구}}}]])}}}''' || ||<-3> '''{{{#ffffff 주심:}}}''' [[파일:UEFA SCO.png|height=20]] [[휴 달라스|{{{#ffffff '''휴 달라스'''}}}]] || || [[파일:Germany DFB 2002.png|height=100px]] ||<|2> '''{{{+5 1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4%, #000080 2%, #000080 3%, #000080 3%, #000080 97%, #000080 97%, #ffffff 97%)" [[파일:USA USSF 2002.png|height=100px]]}}} ||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ffffff 독일}}}]]'''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USA.png|height=20]] '''{{{#000080 미국}}}''']] || || '''{{{#373a3c,#dddddd 39'}}} [[미하엘 발락|{{{#373a3c,#dddddd 미하엘 발락}}}]]''' || '''득점''' || - || ||<-3> '''{{{#ffffff 관중: 37,337명}}}''' || ||<-3>
'''{{{#whit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중계 방송}}}'''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height=16]]]] || [[전인석]] || 이상철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1986-2005).svg|height=16]]]] || [[최창섭]] || [[차범근]] || ||<|2> [[SBS|[[파일:SBS 로고.svg|height=20]]]][br]{{{-2 SD | HD}}} || [[송재익]] || [[신문선]] || || [[박상도]] || 오일영 || ||<-3>
'''{{{#white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중계 방송}}}''' || || [[NHK|[[파일:NHK_logo.svg|height=22]]]] || 시청률 32.2% || [youtube(ctBKzj6HUSk)] [youtube(NRI_9bzZ9W8)] 경기 시작전 [[프리츠 발터]]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묵념을 진행했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0193156|출처]][* 프리츠 발터는 2002년 6월 17일 사망했다. 과거에는 [[영어]]식으로 프리츠 월터로 읽기도 했다.]. 녹슨 전차군단이라는 비아냥을 듣던 독일이지만, 조별예선 아일랜드전을 제외하고는 무실점으로 의외의 선전을 하고 있었고, 미국 역시 포르투갈, 멕시코라는 강호들을 연속으로 제압하고 8강에 진출하면서 격돌했지만, [[올리버 칸]]이라는 역대 최강급 괴물 골키퍼를 기반으로한 독일의 강력한 수비진은 허물지 못하고, [[미하엘 발락]]의 헤딩골에 패배. 미국이 시종일관 골을 점유했고 슈팅 횟수도 훨씬 앞섰지만, 막강한 수비와 역습, 그리고 세트플레이로 정말 단순하지만 강력한 축구를 보여주는 독일을 넘지는 못했다. 그러나 [[미국]]이 [[독일]]을 훨씬 압도하는 경기력을 보여줌으로써 세계인들에게 미국 축구에 대한 강한 인상을 남긴 경기였다. 확실히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4년 전]]의 맞대결과 비교해 보면 미국은 180도 달라졌다. 사실 독일이 앞선 경기였다고 하지만 칸의 선방이 아니였다면 미국이 독일을 잡고 4강에 진출했을 가능성도 컸던 경기다. 미국에게도 기회가 여러차례가 있었지만... 한편 이 경기에서도 결정적인 오심이 터졌다. 후반 초반 클라우디오 레이나의 코너킥을 받은 [[미국]] 수비수 [[그레그 버홀터]][* 2019년 현재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다.]가 골문 안으로 차 넣은 유효 슈팅이 독일의 [[미드필더]] [[토르스텐 프링스]]의 손을 맞고 나온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미국에 [[페널티킥]]을 줘야 될 상황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골로 인정해야 될 상황이었으나, [[스코틀랜드]] 출신 주심 휴 달라스가 오심으로 그냥 넘어감으로써 미국 입장에서는 1골을 도둑맞은 셈이 됐다. 만약 미국이 독일을 이기고 4강에 진출했다면 한국과의 리턴매치가 성사된 셈이었다. [[2015 AFC 아시안컵 호주/결승]]에서 같은 대회의 호주와의 리턴매치가 성사되기는 했다. === 스페인 0 (a.e.t. 3:5 PSO) 0 대한민국 === ||<-3>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height=60]]]] '''{{{#a38054 2002 FIFA 월드컵}}} {{{#003b9e 한국}}}{{{#a38054 ·}}}{{{#f1011e 일본}}} {{{#a38054 8강 3경기}}}[br]{{{#a38054 2002.06.22.(토) 15:30 (UTC+9)}}}''' || ||<-3> '''{{{#ffffff [[광주월드컵경기장|{{{#ffffff 광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 [[광주광역시|{{{#ffffff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FFFFFF 서구}}}]])}}}''' || ||<-3> '''{{{#ffffff 주심:}}}''' [[파일:UEFA EGY.png|height=20]] [[가말 간두르|{{{#ffffff '''가말 간두르'''}}}]] || || [[파일:UEFA ESP.png|height=100px]] ||<|2> '''{{{+5 0 : 0}}}'''[br]'''(PSO 3 : 5)''' || [[파일:UEFA KOR.png|height=100px]] ||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fbd96c '''스페인'''}}}]]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e2d4c '''대한민국'''}}}]] || ||<:> - ||<:>'''득점'''||<:> - || ||<-3> '''{{{#ffffff 관중: 42,114명}}}''' || ||<-3> '''{{{#ffffff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KOR.png|height=20]] [[이운재|{{{#ffffff '''이운재'''}}}]]''' || ||<-5><#f9cf00> '''[[승부차기|{{{#ffffff 승부차기}}}]]''' || ||<-2>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fbd96c '''스페인'''}}}]][br]{{{#fbd96c (GK: [[이케르 카시야스|{{{#fbd96c 이케르 카시야스}}}]])}}}''' ||<|2> '''{{{+5 {{{#000000,#ffffff 3 : 5}}}}}}''' ||<-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e2d4c '''대한민국'''}}}]][br]{{{#fe2d4c (GK: [[이운재|{{{#fe2d4c 이운재}}}]])}}}''' || ||<-2> 후축 ||<-2> 선축 || || [[페르난도 이에로]]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1}}}'''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황선홍]][* [[이케르 카시야스|카시야스]]의 옆구리를 스치고 골라인 통과] || || [[루벤 바라하]]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2}}}'''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박지성]] || || [[차비 에르난데스]]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3}}}'''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설기현]] || || [[호아킨(축구선수)|호아킨]][* 골키퍼 선방]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000000,#ffffff 4}}}'''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안정환]] || || - || - || '''{{{#000000,#ffffff 5}}}'''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홍명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스페인전)] === 세네갈 0 (a.s.d.e.t.) 1 터키 === ||<-3>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height=60]]]] '''{{{#a38054 2002 FIFA 월드컵}}} {{{#003b9e 한국}}}{{{#a38054 ·}}}{{{#f1011e 일본}}} {{{#a38054 8강 4경기}}}[br]{{{#a38054 2002.06.22.(토) 20:30 (UTC+9)}}}''' || ||<-3> '''{{{#ffffff [[나가이 육상경기장|{{{#ffffff 나가이 육상경기장}}}]] ([[일본|{{{#ffffff 일본}}}]] [[오사카부|{{{#ffffff 오사카부}}}]] [[오사카시|{{{#FFFFFF 오사카시}}}]])}}}''' || ||<-3> '''{{{#ffffff 주심:}}}''' [[파일:UEFA COL.png|height=20]] [[오스카르 루이스|{{{#ffffff '''오스카르 루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9481 5%, #F0C420 5%, #F0C420 10%, #b13 10%, #b13 12%, #FFFFFF 12%, #FFFFFF 88%, #b13 88%, #b13 90%, #F0C420 90%, #F0C420 95%, #029481 95%)" [[파일:Senegal FSF 2002.png|height=100px]]}}} ||<|2> '''{{{+5 0 : 1}}}'''[br]'''{{{#f00 (서든데스 연장전)}}}''' ||<#ff00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5px 2px 47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00px]]}}} || ||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SEN.png|height=20]] {{{#2b7552 세네갈}}}]]''' ||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TUR.png|height=20]] {{{#ffffff 터키}}}]]''' || || - || '''득점''' || '''{{{#373a3c,#dddddd 94′}}} [[일한 만시즈|{{{#373a3c,#dddddd 일한 만시즈}}}]][[골든 골|{{{#f90 (골든골)}}}]]''' || ||<-3> '''{{{#ffffff 관중: 44,233명}}}''' || ||<-3> '''{{{#ffffff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TUR.png|height=20]] [[하산 사슈|{{{#ffffff '''하산 사슈'''}}}]]''' || ||<-3>
'''{{{#white 중계 방송}}}'''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height=16]]]] || [[최승돈]] || 최경식 || || [[SBS|[[파일:SBS 로고.svg|height=20]]]][br]{{{-2 HD}}} || 박영웅 || 오일영 || [youtube(k_ik4Rhrl3A)] 사상 첫 아프리카 4강을 노리던 세네갈과 역시 개최국 일본을 제압하고 올라온 터키의 대결. 세네갈은 좀처럼 경기가 풀리지 않았고 터키의 미남 스트라이커 [[일한 만시즈]]가 골든골을 터뜨리며 스타 탄생을 알렸다. 그리고 이 골든골을 마지막으로 2006년 독일 월드컵부터는 골든골을 볼 수 없었다. 여담이지만 아시아의 최후의 골든골은 안정환이다. == 총평 == 이번 대회 돌풍의 주역인 대한민국과 세네갈은 8강에서 엇갈린 운명을 맞았다. 먼저 대한민국은 스페인보다 이틀을 덜 쉬었고 이탈리아와 117분 동안 격투기에 가까운 혈투를 벌인 탓에 체력적으로 지쳐 있었다. 그러나 선수들의 투지와 수문장 [[이운재]]의 맹활약에 힘입어 스페인의 막강한 파상 공세를 120분 동안 잘 막아내며 무실점으로 틀어막아 [[승부차기]]까지 끌고 갔다. 그리고 승부차기 끝에 스페인을 5 : 3으로 제압하고 아시아 최초 4강 진출에 성공했다. 세네갈 역시 프랑스와 스웨덴 등 어려운 상대들을 만나 여기까지 오느라 체력적으로 많이 지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키를 상대로 잘 싸우며 90분 동안 0 : 0으로 버텨냈다. 그러나 연장전 전반 4분 만에 일한 만시즈에게 골든골을 얻어 맞으며 결국 0 : 1로 패배해 아프리카 최초 4강 신화 달성에는 실패했다. 그런데 이렇게 첫 출전에 8강 신화를 쓴 세네갈은 이후 16년 동안 월드컵 무대에 등장하지 못했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야 다시 등장했다. 한편, 미리 보는 결승전으로 불렸던 브라질과 잉글랜드의 경기에선 끝내 브라질이 2 : 1로 승리했다. 잉글랜드는 원더보이 [[마이클 오언]]이 선제골을 넣으며 기선제압에 성공했으나 전반전 종료 직전 [[히바우두]]의 기습적인 동점골과 후반 5분, [[호나우지뉴]]의 기묘한 프리킥 결승골을 허용하며 분루를 삼켰다. 다만, 호나우지뉴는 이 골을 넣고 [[대니 밀스]]의 발을 고의로 밟는 반칙을 해서 그만 [[가린샤 클럽]] 멤버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매 경기 1골 이상을 넣을 것이라는 선언을 했던 [[호나우두]]는 이 경기에서만큼은 골을 넣지 못하고 [[에디우송]]과 교체돼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독일과 미국의 경기는 예상대로 [[미하엘 발락]]의 결승골로 독일이 1 : 0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내용은 역시 썩 만족스럽지 못했다. 조별리그에서만 5골을 넣으며 득점왕 후보에 올랐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16강에 이어 이 경기에서도 완벽하게 침묵했다. 전반 43분에 클로제가 미국 문전을 향해 헤딩슛을 날렸으나 미국의 골대를 맞고 나와 클로제의 득점 신기록 작성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리고 경기 주도권은 오히려 미국이 쥐고 있었으며 [[미국]] 수비수 그레그 버홀터가 골문 안으로 차 넣은 유효 슈팅이 [[토르스텐 프링스]]의 손을 맞고 나온 상황이 벌어졌다. 미국에 [[페널티 킥]]을 줘야 될 상황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골로 인정해야 될 상황이었으나 [[스코틀랜드]] 출신 주심 휴 달라스가 오심으로 그냥 넘어감으로써 미국 입장에서는 1골을 도둑 맞은 셈이 됐다. 즉, 독일은 수문장 [[올리버 칸]]과 발락 둘이서 하드캐리한 덕에 간신히 이길 수 있었다. 스페인이 월드컵 '''5위''', 잉글랜드가 월드컵 '''6위'''로 4강 진출에 실패하면서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4강에서 대륙별 예선 1위 팀이 전멸했다.[* 터키와 독일은 각각 스웨덴과 잉글랜드에 밀려 유럽 플레이오프를 거쳐 올라왔고, 브라질은 아르헨티나와 에콰도르에 밀려 조 3위로 진출했다.] [각주] [[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