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온게임넷 스타리그)] ||<:> [[파일:OSL_02_3rd_poster.jpg]] || || 리그 엠블럼 || || [[파일:/liveboard/e-sports/e222c442be4940cb80f88f33d890e03d.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리그기간 : 2002년 11월 15일 ~ 2003년 2월 14일 * 조 편성 ||A조||[[박정석]], [[강도경]], '''[[이윤열]]''',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베르트랑]]'''|| ||B조||'''[[이운재(프로게이머)|이운재]]''', [[장진남]],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임요환]]'''|| ||C조||[[김현진(e스포츠)|김현진]],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홍진호]]''', [[한웅렬]]|| ||D조||'''[[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성학승]], '''[[박경락]]''', [[변길섭]]|| * 우승 [[이윤열]], 준우승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3위 [[홍진호]], 4위 [[박경락]] * 특이사항 * [[일본]] 기업이 최초로 스폰을 한 시즌 * 챌린지리그 1위 첫 시드(4번)배정([[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한웅렬]]의 마지막 스타리그 * [[이윤열]],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박경락]]의 스타리그 데뷔 * [[홍진호]] 2대회 연속 3위 * 선수 소개시 커리어, 총 전적, 총 승률 표기 / 경기 시작 전 종족별 전적 표기 시작. * 3,4위전이 5판 3선승제로 변경. * 최초로 스타리그 헌정곡 탄생. 곡명은 'Good Luck 2U'.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012248|해당 기사.]][* 2002년 11월 15일과 22일 방송분(16강 1, 2주차)에는 가사 공모 이벤트가 진행 중이어서 MR 버전이 사용되었으며, 동년 12월 27일 8강 1주차 방송분에야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 스타1 기준 스타리그 마지막 테란 [[로얄로드|로얄로더]][* 스타2까지 포함하면 스타리그 마지막 테란 로얄로더는 조성주다.] * 결승전을 통해 사상 최초로 프로게이머 은퇴식 실시([[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 사상 최초로 프로토스가 16강에서 '''전멸''', 8강에 2종족만 편성(테란, 저그).[* 이후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차기 시즌]]과 [[IOPS 스타리그 04~05]]에서 다시 한 번 재현된다...] * 사상 최초로 조별리그 3승 진출자 발생이 없었던 대회.[* 즉, 모든 조의 조 1위가 2승 1패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 혹은 상위 3자 재경기를 진행하였다.][* 정반대의 경우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대회가 있었다.] *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이후 사상 두 번째로 금요일에 스타리그 결승전 개최. 그것도 [[밸런타인 데이]]에 결승전을 개최하게 된 것이다.[* 당시 금요일에 개최한 이유는 프로농구 일정 때문. 결승 다음날 당시 잠실실내체육관을 홈으로 사용하고 있던 [[서울 SK 나이츠]]가 바로 홈 경기가 있었고 그 다음날에는 [[서울 삼성 썬더스]]가 바로 홈 경기가 있었다.] * 시즌 중 최초로 선수 임대 [[아이디얼 스페이스]] : [[홍진호]], [[이윤열]] → [[KTF 매직엔스]] * 시즌 중 최초로 선수 이적 아이디얼 스페이스 : [[임요환]] → [[동양 오리온|동양제과]] * 임대선수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이자 '''유일한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KTF가 창단 처음으로 배출한 우승 선수는 [[박카스 스타리그 2008]]의 [[이영호]]이며, 최초로 결승 진출한 것은 [[Gillette 스타리그 2004]]의 [[박정석]]이다.] * [[SouL]] 팀 창단 처음으로 개인리그 결승 진출.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최초로 배출한 우승 선수는 [[EVER 스타리그 2008]]의 [[박성준(1986)|박성준]]이다.] * 결승전 장소 :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 결승전 최초로 선수들의 이름을 부르면서 이후 스타리그에서 본인이 좋아하는 선수가 있다면 '''XXX 파이팅!''' 이라는 응원이 붙었다. 팀리그는 팀 이름만으로 응원을 했고 이기면 개인리그처럼 선수 이름을 부르면서 파이팅이라고 했다. * 스타리그 최초로 해당 시즌의 연도가 이듬해로 끝난 리그[* 이후에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2006 시즌 3]], [[EVER 스타리그 2009]], [[박카스 스타리그 2010]] 등이 있다.] * 우승자 상금 2,000만 원, 준우승자 상금 1,000만 원, 3위 500만원 * [[http://www.youtube.com/watch?v=e7RG3M6-vC4|파나소닉 스타리그 오프닝]]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WQeRMoEALvrRZo_B7QPdCcU_pHp1OFpi|VOD 목록]] 자세한 대진은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를 참고. == 사용 맵 == ||<-4> [[파일:OSL_02_3rd_poster.jpg |width=15%]] '''{{{#DD3431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맵}}}'''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79_Avant%20Garde%20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74_Gaema%20Gowon_thumbnail.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attachment/Neo_Forbidden_Zone.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68_Neo%20Bifrost_thumbnail.jpg|width=100%]] }}}|| ||<#FFFFFF> [[아방가르드(스타크래프트)|{{{#000 아방가르드 ll}}}]] ||<#313619>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fff 개마고원}}}]] ||<#383B43> [[포비든 존|{{{#ffffff 네오 포비든 존}}}]] ||<#3C4262> [[비프로스트(스타크래프트)|{{{#fff 네오 비프로스트}}}]] || == 세대교체의 시작 == 그동안 스타리그 본선에 꾸준히 진출했던 0세대(1999년), 1세대(2000년) 올드 게이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최인규(1981)|최인규]],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등이 줄줄이 예선에서 탈락하고 [[이윤열]],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박경락]],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등 뉴페이스들이 그 자리를 대신 채우면서 서서히 스타리그에서 세대교체가 시작된다. 또한 이때부터 기존의 [[한빛 스타즈]]와 [[아이디얼 스페이스]][* 특이하게 이 팀은 감독만 다른 팀과 다르게 3명이었고, 그 중 대표는 '''[[송호창]]'''이 맡았었다. 나머지 둘은 [[조정웅]]과 [[김양중(e스포츠)|김양중]]이다.]의 양대 체제하에 군소 프로팀 단체가 통합되고 [[동양 오리온]], [[KTF 매직엔스]], [[CJ 엔투스|슈마 GO]] 등 프로게임단들이 하나둘씩 대두되고 팬덤이 생겨나면서 본격적인 팀단위 체제가 시작되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팀리그]] 등 팀 단위 대회의 서막을 알렸다. == 천재 이윤열, 온게임넷 스타리그도 평정하다. == 이 당시 [[이윤열]]은 이미 gembc(이후 [[MBC GAME]])의 [[MSL|KPGA 투어]]와 [[경인방송|iTV]]의 [[iTV 랭킹전]]의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할 정도로 거물급 선수였다. 초기에는 예선에서 탈락했고, 이후 스케줄 등의 문제로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출전하지 못하다가 파나소닉 스타리그에서 처음 본선에 진출했다. 이윤열은 [[로얄로드|로얄로더]]가 된 것과 더불어 [[양대 리그]] 동시 우승[* 최초의 양대리그 우승은 [[임요환]]이 기록, 이윤열은 두번째로 양대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 그리고 이윤열이 동시기에 열린 양대 리그를 동시에 모두 우승한 것은 최초의 기록이다.]은 물론 이후 [[3차 GhemTV 스타리그]]까지 석권하며 사상 유례 없는 위업인 [[그랜드슬램#스타크래프트]]을 달성했다.[* [[그랜드슬램#s-3.6|그랜드슬램]]이야 이후에 방송사가 두 개밖에 없어서 이루기 불가능했다고 쳐도 [[박정석]],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마재윤|마서스]], [[이영호]], [[이제동]] 등의 이윤열 전후의 난다 긴다 하는 선수들이 양대리그 동시 우승 문턱에서 번번이 미끄러졌던 것은 참 불가사의한 일이었다.][* 박정석은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임요환]]을 상대로 3:1의 스코어로 우승을 차지한 반면에 KPGA 3차 리그에서는 이윤열에게 0:3 셧아웃 패배를 당하였고, 조용호는 이윤열에게 KPGA 4차 리그와 이 대회 결승전에서 각각 2:3, 0:3의 스코어로 패하였고, 이윤열은 2005년 초에 [[당신은 골프왕 MSL]]-[[IOPS 스타리그 04~05]] 다시 동시 양대 결승에 진출해 [[박성준(1986)|박성준]]에게는 스타리그 결승전에서 3:0으로 셧아웃 승리를 차지하지만 [[박태민]]에게는 MSL 결승전에서 2:4로 패하였다. 마서스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에서 이윤열을 상대로 3:1로 승리를 차지하면서 온게임넷 [[로열로더]] 우승을 차지했지만, 반대편 [[곰TV MSL 시즌1]]에서는 [[김택용]]에게 '''[[3.3 혁명]]'''을 당하며 준우승을 차지하고 만다. 이영호는 [[EVER 스타리그 2009]]-[[NATE MSL]] 시기에는 스타리그에서는 [[진영화]]를 상대로 3:1로 우승을 차지하지만 MSL에서는 이제동을 상대로 1:3으로 패하며 양대리그 동시 우승은 하지 못하고,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하나대투증권 MSL]] 시기에는 [[MSL]]에서는 이제동을 상대로 3:0 셧아웃으로 우승을 차지하지만, 스타리그에서는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에게 2:3 [[리버스 스윕]] 패배를 당하며 다시 한 번 더 양대리그 동시 우승에 실패하고 만다. 물론 이후 [[빅파일 MSL]]-[[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시기의 [[이영호]]는 이윤열의 양대리그 동시 우승을 뛰어넘어 2010년에 3시즌 연속 양대리그 결승전에 진출해서 양대리그 동시 우승과 동시에 [[골든마우스]], 그리고 무엇보다 이윤열 커리어의 유일한 오점인 [[WCG]]에서도 우승에 성공하고 이후 2011년 6월에 있었던 [[ABC마트 MSL]]에서도 우승을 차지해 [[금뱃지]]를 획득하며 골든 그랜드 슬램 달성과 '갓'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반면에 이제동은 저 시기 모두 양대 리그 동시 결승에 진출해 이영호와 맞붙었지만 MSL에서는 2:3의 스코어로 패하고, 스타리그에서도 1:3의 스코어로 패하며 조용호에 이어 양대 동시 준우승을 기록하고 만다.] 양대 리그 결승에서 이윤열과 격돌한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는 [[이윤열]]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 양대 리그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참고로 이윤열은 그랜드슬램의 마지막 관문이었던 [[3차 GhemTV 스타리그]]에서 [[강도경]]을 3:0 셧아웃시키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조용호의 개인리그 우승은 [[CYON MSL]]까지 미뤄지게 된다. 시상식이 끝날 무렵 조용호의 얼굴에서 눈물이 보였다.] 이윤열, 조용호 두 선수의 양대 리그 동시 우승, 준우승 기록은 2010년에 이르러 [[이영호]], [[이제동]]이 다시 재현하게 된다.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KPGA 4차 리그]] 결승에서 조용호와 명경기를 선보인 끝에 이윤열이 우승했기에, 이윤열의 양대리그 동시 우승이냐, 조용호의 KPGA 결승전 설욕이냐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이윤열이 조용호를 3:0으로 셧아웃시켜버려 저그팬들에게는 그야말로 충격을 선사했다. 사실 두 사람은 [[코카콜라 스타리그]] [[PSL]] 예선에 참가했으나 [[박태민]]에게 패배하면서 스타리그 데뷔를 못하면서 [[광탈]]했다. == [[프로토스]]의 암흑기, 그리고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의 은퇴 == [[스타리그]] 역사상 최초로 프로토스가 16강에서 전멸한 가운데 리그가 진행되었으며 그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테테전, 테저전이 난무하게 되어 '''모 아니면 도''' 식의 경기가 양산되었다. 일단 16강에서 프로토스가 2명밖에 없었고[* 그나마도 박정석은 우승자라서 시드를 받았기 때문에 예선 통과자는 김동수 1명이었다.] 2명 다 [[아방가르드(스타크래프트)|저그맵]]에서 저그전을 치르는 등 대진운까지 나빴다. 전대회 우승자 박정석은 저조한 경기력과 우승자 징크스, 대진상 불운까지 찾아와[* [[저그맵]]에서의 저그전과 별개로 자신에게 유리한 맵인 개마고원에서 경기 자체를 못했다.] 3전 전패로 [[광탈]]했고 2001 SKY배 우승 이후로 부진하던 김동수는 16강(1승 2패)에서 탈락[* 조지명식에서 말하기를 "이번 대회가 마지막이 될 것이고, 워3 리그도 병행 중이라 더 이상 스타리그 도전을 하지 않겠다" 라고 했다.]하고 결승전 현장에서 은퇴식을 가진다.[* 이후 [[게임 개발자]]로 제2의 인생을 정한다. 특히 김동수가 16강에서 [[임요환]]과 펼쳤던 고스트, 아비터, 스카웃 등 그 당시 잘 안 쓰이던 유닛들이 총출동한 [[https://www.youtube.com/watch?v=sYu_BOaTg6s|경기]]는 2006년에 방영한 스타리그 데이 BEST 50에서 15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다가 타 종목 게임 해설들을 맡아가며 2007년 다시 게임계로 복귀를 하나 첫 경기인 [[윤용태]]에게 유리한 고지를 정했음에도 패배하고 다시 은퇴한다. == 박경락과 서지훈의 스타리그 데뷔 == 나란히 D조 로열로더 후보로 A조에 있던 이윤열과 같이 주목을 받았던 두 사람은 기대 이상으로 활약을 했다. 서지훈은 평생의 숙적이자 라이벌인 이윤열에게 무너지며 8강 마지막 경기 이운재에게 1승을 거둬 1승 2패로 탈락. 특히 박경락은 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테란이 강하다고 알려진 맵 '네오포비든존'과 '개마고원'에서 [[온게임넷 챌린지리그|챌린지리그]] 1위 서지훈, 2002 NATE배 우승자 변길섭, 테란의 황제 임요환을 완벽하게 제압하여 강렬한 데뷔 시즌을 가졌다. 다만, 동족전에서는 그 만큼 강력한 모습을 보이지 못해 4강 조용호와의 경기에서 2:3으로 패하고, 3-4위 결정전에서도 홍진호에게 1:3으로 격침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진호, 조용호와 함께 저그의 대표주자로서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데는 성공했다. 이후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Olympus배]]와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Mycube배]]에도 결승 진출 실패의 고배를 마시며 4강에만 3시즌 연속 오르는 경지에 도달해 사람들은 그의 끝 이름을 빗대어 '''[[락라인]]'''이라는 별명을 만들어줬다. == [[웅진 스타즈|한빛 스타즈]] 3시즌 연속 팀킬 성사 == [[웅진 스타즈|한빛 스타즈]]는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NATE배]]와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2002 SKY배]]에서 모두 5명의 선수가 16강에 올라갔으며, 2회 연속으로 16강 2개조에서 팀킬이 성사되었다. (자세한 상황은 NATE배 및 2002 SKY배 문서 참조.) 그나마 이번 Panasonic배에서는 이번 대회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김동수가 한빛에서 나오게 됨으로서 4명의 선수가 16강에 진출했으나, 하필 그 4명의 선수가 16강에서 같은 조[* A조 [[박정석]]-[[강도경]], D조 [[변길섭]]-[[박경락]]]에 들어감에 됨으로서 3회 연속 16강 2개조 팀킬 성사라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하지만 NATE배와 2002 SKY배에서의 팀킬조에서 각각 4명(변길섭, 강도경, [[정재호(프로게이머)|정재호]], [[손승완]]), 2명(변길섭, 박정석)의 8강 진출자가 나온 것과는 달리, A조에서 박정석이 먼저 3패로 탈락 후, 강도경이 2승 1패로 3자 재경기를 이끌었으나 재경기에서 패하고 모두 16강에서 탈락했으며, D조에서는 변길섭, 박경락이 2승 1패로 3자 재경기를 이끌었으나 박경락만이 8강에 진출하는 등 팀킬 잔혹사를 제대로 치르게 되었다. 이후 차기 시즌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Olympus배]]에서는 박경락, 강도경, [[박용욱]][* Olympus배 시즌 도중 [[SK텔레콤 T1|동양 오리온]]으로 이적] 등 3명의 한빛 선수가 16강에 진출했으며 3명의 선수 모두 다른 조에 속함으로서 팀킬은 면하게 되었으며, 이후 웅진으로 모기업이 변경 후 마지막 스타리그인 [[tving 스타리그 2012|tving배]]까지 스타즈의 16강 팀킬은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말하자면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나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T1]] 같은 팀으로 이적하는 선수들이 많아 2004년 이후부터는 급락하게 된다. 또한 소속 선수 중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도 처음 소속팀은 한빛이었다가 모두 나중에 다른 팀으로 옮긴 케이스이다.] [각주] [[분류:파나소닉]][[분류:온게임넷 스타리그]][[분류:이윤열]][[분류:조용호(프로게이머)]][[분류:홍진호]][[분류:박경락]][[분류:2002년 스포츠]][[분류:2003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