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 {{{+1 '''2005년 암만 폭탄 테러'''}}}[br]2005 Amman bombings || ||<-2> '''발생일''' || [[2005년]] [[11월 9일]][* 현지 시간] || ||<-2><|2> ''' 발생 위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Amman Grand Hyatt Hotel)]}}}|| || 암만 내 [[하얏트|그랜드 하얏트 호텔]], 래디슨 SAS 호텔, 데이스 인 || ||<-2> '''유형''' || '''[[폭탄 테러]]''' || ||<-2> '''원인''' || '''[[이슬람 극단주의]], 서방 첩보 방해''' || ||<|2> '''인명피해''' || '''사망''' || {{{#fff '''63명[* 범인 3명 포함]'''}}} || || '''부상''' || {{{#fff '''115명'''}}} || ||<-2> '''재산 피해''' || '''불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요르단]] [[암만]]에 위치한 3개의 호텔에서 [[알카에다]]가 벌인 자살 폭탄 테러 사건. == 범인 == [[알카에다]]는 사건 직후 즉시 웹사이트에 미국과 이스라엘을 비롯한 서방 첩보원들을 살해하는 목적으로 테러를 저질렀다고 발표했다. 범인들은 모두 [[이라크]] 국적이 Abu Khabib, Abu Muaz, Abu Omaira로 밝혀졌다. 범행이 저지러진 호텔들은 미국, 이스라엘, 유럽의 무기 도급업자, 사업가, 외교관, 언론인들이 자주 출입을 하며 [[바그다드]]로 가기 전에 머무르던 곳임을 감안해 [[이라크 전쟁]]과도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래디슨 호텔은 알카에다가 2000년 1월 1일에 진행하려다 실패한 2000 새천년 테러 계획의 목표였었다. === 제4의 범인 === [[요르단]] 경찰은 한 부부를 포함해 최소 4명의 범인이 있었다고 판단했고, 약 100명의 넘는 용의자를 다음날 체포했다. 대다수는 [[이라크인]]들을 체포해 수사를 진행했다. [[2005년]] [[11월 13일]], [[압둘라 2세]] 국왕은 4번째 범인도 체포했다고 알렸다. 이 여자는 착용한 벨트가 폭발하지 않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2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가 [[요르단]] 국적의 공군 조종사를 분살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요르단에서는 사형을 했다. == 반응 == === [[요르단]] === [[요르단]] 국와 [[압둘라 2세]]는 [[카자흐스탄]] 방문을 급히 마치고 돌아와 범행을 저지른 자들에게는 정의를 구현하겠다며 강력히 비난했다. 이후 예정이었던 [[이스라엘]] 방문도 취소했다. === [[미국]] === [[콘돌리자 라이스]] 당시 [[국무장관]]은 비극이라며 이러한 사건들이 [[테러와의 전쟁]]을 힘들게 한다고 말했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도 이 사건을 비난하며 아직도 무고한 시민들을 죽이려는 적들이 퍼져있다고 했다. [[분류:요르단의 역사]][[분류:이라크 전쟁]][[분류:2005년 테러]][[분류:테러리즘]][[분류:이라크-요르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