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include(틀:2006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6_ALCS_Logo.png]] [목차] == 개요 == ||<-2> {{{+2 {{{#FFFFFF '''2006 AL Championship Series'''}}}}}} || ||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width=100]] ||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width=140]]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1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003831 {{{+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06년 [[아메리칸 리그]]의 패권과 [[2006년 월드 시리즈|월드 시리즈]] 진출권을 놓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디트로이트 타이거즈]]가 벌인 플레이오프 시리즈. 10월 10일부터 10월 14일까지 치러졌으며 디트로이트가 오클랜드를 4전 전승으로 스윕해버리고 간단히 [[2006년 월드 시리즈|월드 시리즈]]에 진출한다. == 양 팀 상황 == === 2006 시즌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머니볼]] 시즌 1의 마지막 불꽃''' 팀의 최고령 선수인 38세의 [[프랭크 토머스]]가 무려 39개 홈런 114타점을 친 데 이어, [[에릭 차베스]]와 [[닉 스위셔]]가 뒤를 단단히 받쳐주었다. [[배리 지토]]가 부진했던 전년을 딛고 다시 화려하게 16승을 거뒀으며 [[에스테반 로아이자]]가 그 뒤를 비교적 충실히 서포트한 선발진 역시 나쁘지 않았다.[* 로아이자의 경우 4월 동안 무려 9점에 육박하는 방어율을 기록하면서 '드디어 [[빌리 빈]]이 선수보는 눈이 맛이 갔나보다'라는 반응을 불러오기도 했지만 5월 이후 각성해서 결국 시즌을 11승에 4점대 방어율로 마감한다.] 흠이라면 [[리치 하든]]이 다시 드러누워 시즌 말미에야 등장했다는 점. 그렇지만 하든 없이도 오클랜드는 충분히 강했고 결과적으로 93승을 거두면서 에인절스를 4게임 차로 제치고 2003 시즌 이후 3년만에 아메리칸 리그 서부지구 패권을 다시 가져온다. [[2006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ALDS]]의 상대는 그 해의 사이영 위너 [[요한 산타나]]가 이끄는 [[미네소타 트윈스]]. 산타나를 넘기 힘들지 않을까 싶었는데 웬 걸, [[프랭크 토머스]]가 시작부터 2홈런을 터뜨리고 배리 지토의 8이닝 1실점 호투로 1차전을 가져오더니[* 산타나 역시 못 던지지는 않았다. 8이닝 2실점.] 기세를 몰아 미네소타를 깔끔히 스윕하고는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한다. === 2006 시즌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지난 12년 동안의 처절한 꼴랑이 시절을 거친 끝에 화려하게 부활에 성공한 시즌이었다. [[짐 릴랜드]] 감독 지휘 아래에서 [[케니 로저스(야구선수)|케니 로저스]]에서 [[저스틴 벌랜더]]로 이어지는 신구조화가 잘된 투수진과 [[플라시도 폴랑코]]와 [[매글리오 오도네즈]]로 대표되는, 특출나지는 않더라도 제 몫은 해주던 타선을 바탕으로 디트로이트는 95승 67패를 거두면서 다시금 아메리칸 리그 중부지구의 강자로 발돋움한다. 다만 시즌 막판에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 시즌 최종전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게 패하면서 [[미네소타 트윈스]]에게 중부지구 우승 타이틀을 내주고 와일드 카드로 가을야구에 진출해야 했으며, 12년만의 가을 진출이니 만큼 부족한 경험 탓에 '올 시즌에는 그냥 가을야구 나간 거에 만족하지 않을까'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다수 예상이었다. 그런데 이게 왠 걸. [[2006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ALDS]]에서 영원한 강자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드라마틱한 승리를 거두면서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한다. ~~그리고 [[에이로드|롸동자]]는 이 해 가을야구도 시원히 말아먹었다.~~ == 진행 == === 1차전 === ||<-14> {{{#f26722 2006년 10월 10일 [[링센트럴 콜리세움|{{{#f26722 매카피 콜리세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네이트 로버트슨 || 0 || 0 || 2 || 3 || 0 || 0 || 0 || 0 || 0 || '''5''' || 11 || 1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efb21e OAK}}}]]''' || [[배리 지토]] || 0 || 0 || 0 || 0 || 0 || 0 || 0 || 1 || 0 || '''1''' || 8 || 1 || 승:네이트 로버트슨(1승) 패:[[배리 지토]](1패) [[브랜든 인지]]와 [[이반 로드리게스]]의 홈런을 묶어 디트로이트가 서전을 승리로 가져간다. 스코어만 보면 디트로이트의 낙승으로 보이지만 사실 오클랜드의 삽질이 더 빛났던(...) 경기. 이날 오클랜드는 득점권에 무려 13명의 주자를 내보내고도 꼴랑 한 점을 내는데 만족해야했다. '''무려 4개의 [[병살타]]는 덤.'''[* 4개의 병살타는 지금까지도 챔피언십 시리즈 한 경기 최다 기록이다.] ~~변비야구~~ === 2차전 === ||<-14> {{{#f26722 2006년 10월 11일 [[링센트럴 콜리세움|{{{#f26722 매카피 콜리세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저스틴 벌랜더]] || 0 || 1 || 0 || 4 || 0 || 2 || 0 || 0 || 1 || '''8''' || 11 || 0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efb21e OAK}}}]]''' || 에스테반 로아이자 || 1 || 0 || 2 || 0 || 0 || 1 || 1 || 0 || 0 || '''5''' || 11 || 1 || 승:[[저스틴 벌랜더]](1승) 패:에스테반 로아이자(1패) 세:[[토드 존스]](1세) 전날의 변비야구를 반성이라도 하듯이 오클랜드 타선이 분투했다. [[밀튼 브랜들리]]는 홈런 두 개를 날렸으며 [[에릭 차베스]] 역시 홈런 하나를 쳐줬다. '''문제는 디트로이트 타선이 더 강했다는 것.''' 4회에만 알렉시스 고메즈의 2타점 적시타와 브랜든 인지의 희생타를 합쳐 대거 4득점 하면서 경기를 뒤집은데 이어 [[커티스 그랜더슨]]이 달아나는 솔로 홈런을 쳐내면서 [[저스틴 벌랜더]]의 어깨를 가볍게 해줬다. 오클랜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추격했고 특히나 9회말 2사 후 [[제이슨 켄달]], [[마크 캇세이]], [[밀튼 브래들리]]의 연속 단타를 통해 2사 만루의 기회를 잡았지만 믿었던 [[프랭크 토머스]]가 허무하게 외야플라이로 아웃되면서 디트로이트가 절대적으로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게 된다. === 3차전 === ||<-14> {{{#f26722 2006년 10월 13일 [[코메리카 파크|{{{#f26722 코메리카 파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efb21e OAK}}}]]''' || [[리치 하든]]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케니 로저스(야구선수)|케니 로저스]] || 2 || 0 || 0 || 0 || 1 || 0 || 0 || 0 || - || '''3''' || 6 || 0 || 승:[[케니 로저스(야구선수)|케니 로저스]](1승) 패:[[리치 하든]](1패) 세:[[토드 존스]](2패) [[케니 로저스(야구선수)|케니 로저스]]를 위한 경기였다. 무실점으로 오클랜드 타선을 꽁꽁 틀어막았다. 반면 디트로이트는 1회부터 [[리치 하든]]을 흔들면서 2점을 내면서 로저스의 어깨를 가볍게 해줬고 5회말에는 크레이그 먼로가 선두 타자 홈런을 날려버리면서 사실상 승부의 쐐기를 박아버렸다. 3승째를 거두면서 디트로이트가 월드 시리즈 진출까지 딱 1승만을 남겨둔다. === 4차전 === ||<-14> {{{#f26722 2006년 10월 14일 [[코메리카 파크|{{{#f26722 코메리카 파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efb21e OAK}}}]]''' || [[댄 해런]] || 2 || 0 || 0 || 1 || 0 || 0 || 0 || 0 || 0 || '''3''' || 8 || 1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제레미 본더맨 || 0 || 0 || 0 || 0 || 2 || 1 || 0 || 0 || 3 || '''6''' || 11 || 0 || 승:윌 레데즈마(1승) 패:[[휴스턴 스트리트]](1패) 이대로는 물러설수 없었던 오클랜드는 [[에릭 차베스]]의 2루타로 1회초에 두점을 냈으며 4회초에는 제이 페이턴이 솔로 홈런을 치면서 3-0으로 경기를 벌린다. 하지만 한 번 기세가 오른 디트로이트는 무서웠다. 5회말 [[커티스 그랜더슨]]과 크레이그 먼로의 연속 2루타로 3-2 턱밑까지 추격한데 이어 6회말 [[매글리오 오도녜즈]]의 솔로 홈런으로 기어코 경기를 원점으로 돌린다. 내일이 없었던 오클랜드는 9회말 마무리 [[휴스턴 스트리트]]를 등판시킨다. 2아웃까지 잘잡은 스트리트는 크레이그 먼로와 [[플라시도 폴랑코]]에게 연속 안타를 내주면서 주자 1,2루의 상황을 허용하고 타석에는 동점 홈런의 주인공 [[매글리오 오도녜즈]]가 선다. '''{{{+2 그리고...}}}''' [youtube(ZbGXgwHE_YA)] >'''In the air to left field! The Tigers march to the World Series!''' >---- >-톰 브레너만의 홈런콜 오도녜즈의 3점짜리 [[끝내기 홈런]]이 터지면서 [[코메리카 파크]]는 열광의 도가니가 됐고, 디트로이트가 [[1984년 월드 시리즈|1984년]] 이후 22년만에 대망의 월드 시리즈에 진출한다. == 여담 == * [[매글리오 오도녜즈]]의 시리즈를 끝낸 4차전 끝내기 홈런은 [[2003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03 ALCS]] 7차전 당시 11회말 [[애런 분]]이 [[팀 웨이크필드]]를 상대로 친 솔로 홈런 이후 3년만의 일이었다. * 오클랜드의 내야수 마크 키거는 자신의 메이저리그 데뷔를 무려 가을야구에서 하는 보기 드문 경험을 하게 된다. 그 이유는 주전 2루수 [[마크 엘리스]]가 가을 야구를 앞두고 갑작스레 부상을 당해서 할 수 없이 마이너리그에서 콜업을 해야했기 때문. * 이로부터 7년 뒤 [[2013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3 ALDS]]에서 양팀은 다시 한번 맞붙는다. 그리고 이번에도 [[저스틴 벌랜더]]의 미친 활약을 등에 업은 디트로이트가 5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한다. ~~오클랜드 팬들이 [[케이트 업튼]] 사진까지 들고 와서 벌랜더의 집중력을 뒤흔드려고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카더라~~ [[분류:챔피언십 시리즈]][[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분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