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2라운드/1조]] [include(틀: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crcr1l2il1sqk8veo10_r1_540.gif|width=300]]]]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00]]]] || || '''{{{+3 [[김인식호/2006년|{{{#fff 대한민국 대표팀}}}]] }}}''' || '''{{{+3 {{{#FFF 미국 대표팀}}} }}}''' ||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300&align=right]]]] [목차] == 개요 ==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A조|1라운드 A조]]에서 모두의 예상을 깨고 조 1위를 기록한 한국 대표팀과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B조|1라운드 B조]]에서 모두의 예상을 깨고 조 2위를 기록한 미국 대표팀이 만난 경기. 양팀 선발 라인업의 몸값의 합이 '''900억 vs 46억[* 쉽게 말해 한국 대표팀 선발 라인업 몸값을 모두 합쳐도 미국 선수 1명 평균 몸값의 약 절반밖에 미치지 못한다는 소리다.]'''이라 당시에도 화제가 되었다. [[파일:external/orbi.kr/752257185_gVsNhE4J_1269689165.jpg]] '''이 전설의 짤방이 이날 경기 미국 대표팀의 선발 라인업이다.''' [* [[버논 웰스]] 270홈런, [[데릭 지터]] 260홈런, [[켄 그리피 주니어]] '''630홈런''', [[알렉스 로드리게스]] '''696홈런''',[[치퍼 존스]] '''468홈런''', [[제이슨 베리텍]] 193홈런, [[마크 테세이라]] 409홈런, [[맷 홀리데이]] 316홈런, [[체이스 어틀리]] 259홈런으로 멤버들의 빅리그 커리어 통산 홈런이 무려 3501개다. 심지어 웰스는 전성기가 짧았고 지터, 베리텍, 어틀리는 홈런이 아니라 다른 부분으로 고평가 받은 선수들.] == 경기 전 이야기들 == 한국 대표팀은 역대 메이저리거가 가장 많이 합류한 대표팀이긴 했지만 미국 대표팀의 엔트리는 그 급이 달랐기에 한국이 무난하게 지는 경기라는 반응이 많았다. 그래서 멕시코를 무조건 이기고 미국전에선 숨을 돌린다는 전략이 낫다는 언론 보도가 있을 정도.[[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2&aid=0000110899|#1]],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9&aid=0000078895|#2]],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1&aid=0000142340|#3]] 미국 대표팀은 예선전에서 캐나다에게 불의의 일격을 당하고, 주최측의 노골적인 밀어주기에 불구하고 일본에게 가까스로 이기는 등 대회전 예상과 달리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반응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이름값은 어디 가지 않는다며 한국 언론에서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49&aid=0000024870|#]] 거기에다 경기가 있기 며칠전, 한국 대표팀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캔자스시티 로열스]] 2진과의 연습경기에서 각각 1:7, 4:7로 패했기 때문에 한국의 승리가 예상되긴 어렵다는 여론이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김인식]] 감독과 [[선동열]] 투수 코치도 국내파 투수들을 미국전에 쏟아 붓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는데 돌려 말하면 에이스급인 해외파 선수들은 이길 경기에 내보내 확실하게 가겠다는 전략인 것이다. 미국전 선발투수로는 2005년 만년 꼴지를 달리던 [[롯데 자이언츠]]의 부활을 이끌며 리그 MVP를 수상한 [[손민한]]이 내정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0026174|#]] 문제는 대표팀의 선발로 낙점된 [[손민한]]의 몸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날 경기엔 나오지 않았지만 [[김선우(1977)|김선우]]도 감기 몸살이 심했다고.] 이날 감기 몸살로 시름시름 앓고 있었고 경기 당일에도 경기가 열리는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모처에서 잠을 자고 있던 것을 동료들이 발견해 끌고 왔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때가 경기 10분전. 한편 미국 야구 대표팀의 선발 투수로 낙점된 [[돈트렐 윌리스]]가 "공 50개로 한국전을 승리로 이끌겠다."는 [[설레발|패기 넘치는 발언]]으로 자신 만만해 했다는 사실이 국내에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3/13/2006031370184.html|보도되기도 했다]][* 해당 기사 본문에도 적혀 있지만, 국내 야구팬들에게 익히 알려져 있는 윌리스의 50구로 한국을 끝내겠다 발언은 날조된 것이다. 애초에 윌리스 본인도 아닌 벅 마르티네스 감독의 발언이었고, 내용 자체도 50개 정도에서 투구수를 끊겠다는 내용.]. == 결과 == ||<-2><)> [[파일: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110]] ||<(><-13>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2라운드/1조 3경기|'''{{{+5 {{{#FFF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1조 3경기}}}}}}'''[br]''{{{#FFF 2006 World Baseball Classic Pool 1 Game 3}}}'']][br]{{{#ffffff ━━━━━━━━━━━━━━━━━━━━━━━━━━━━}}}[br]'''{{{#ffffff 3.13(월) 19:00,}}}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ffffff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ffffff 21,288명}}}'''[br] '''{{{#ffffff 중계방송사:}}} [[SBS|[[파일:SBS 로고 화이트.svg|width=48]]]] {{{#fff | 캐스터:}}} [[배기완|{{{#fff 배기완}}}]] {{{#fff |}}} {{{#fff 해설자:}}} [[박노준|{{{#fff 박노준}}}]]''' || ||<-15>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004685 미국}}}]]''' || [[돈트렐 윌리스]] || 0 || 0 || 1 || 0 || 0 || 0 || 0 || 0 || 2 || '''3''' || 9 || 3 || 6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09539D 대한민국}}}]]''' || [[손민한]] || 2 || 0 || 1 || 3 || 0 || 1 || 0 || 0 || X || '''7''' || 10 || 0 || 6 || [[http://mlb.mlb.com/wbc/2009/stats/boxscore.jsp?gid=2006_03_13_usaint_korint_1|기록지]] * '''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손민한]](2승) * '''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돈트렐 윌리스]](2패) * '''홈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승엽]](1회 1점, 5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희섭]](4회 3점, 1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켄 그리피 주니어]](3회 1점, 3호)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bpeNMPpFAyE)]}}} || ||<:> '''{{{#fff SBS 중계 하이라이트}}}''' || === 선발 타순 === ||<-3>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50]]]] ||<-3>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50]]]] || || {{{#ffffff 타순}}} || {{{#ffffff 선수명}}} || {{{#fff 소속팀}}} || {{{#cfb53b 타순}}} || {{{#cfb53b 선수명}}} || {{{#cfb53b 소속팀}}} || || 1 || [[이종범]] || [[KIA 타이거즈]] || 1 || [[버논 웰스]] || [[토론토 블루 제이스]] || || 2 || [[김민재(내야수)|김민재]] || [[SK 와이번스]] || 2 || [[데릭 지터]] || [[뉴욕 양키스]] || || 3 || [[이승엽]] || [[요미우리 자이언츠]] || 3 || [[켄 그리피 주니어]] || [[신시내티 레즈]] || || 4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4 || [[알렉스 로드리게스]] || [[뉴욕 양키스]] || || 5 || [[송지만]] || [[현대 유니콘스]] || 5 || [[치퍼 존스]]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6 || [[이범호]] || [[한화 이글스]] || 6 || [[제이슨 배리텍]] || [[보스턴 레드삭스]] || || 7 || [[진갑용]] || [[삼성 라이온즈]] || 7 || [[마크 테셰이라]] || [[텍사스 레인저스]] || || 8 || [[박진만]] || [[삼성 라이온즈]] || 8 || [[맷 홀리데이]] || [[콜로라도 로키스]] || || 9 || [[이병규(1974)|이병규]] || [[LG 트윈스]] || 9 || [[체이스 어틀리]]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SP || [[손민한]] || [[롯데 자이언츠]] || SP || [[돈트렐 윌리스]] || [[플로리다 말린스]] || === 선발 수비 === [include(틀:미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 포지션, lp=돈트렐 윌리스, lc=제이슨 배리텍, ldh=치퍼 존스, l1b=마크 테셰이라, l2b=체이스 어틀리, l3b=알렉스 로드리게스, lss=데릭 지터, llf=맷 홀리데이, lcf=켄 그리피 주니어, lrf=버논 웰스, p=윌리스, c=배리텍, dh=존 스, 1b=테셰이라, 2b=어틀리, 3b=로드리게스, ss=지 터, lf=홀리데이, cf=그리피, rf=웰 스)] ----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 포지션, lp=손민한, lc=진갑용, ldh=김태균, l1b=이승엽, l2b=김민재(내야수), l3b=이범호, lss=박진만, llf=이병규(1976), lcf=이종범, lrf=송지만, p=손민한, c=진갑용, dh=김태균, 1b=이승엽, 2b=김민재, 3b=이범호, ss=박진만, lf=이병규, cf=이종범, rf=송지만)] == 경기 내용 == [youtube(3ADh64AJiSc)] === 1회 === 독감으로 컨디션이 좋지 못했던 [[손민한]]은 1회부터 위기를 맞이했다. 선두타자 버논 웰스에게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주고 [[데릭 지터]]에게 안타를 허용하며 시작하자 마자 1,2루의 위기를 맞게 된 것. [[켄 그리피 주니어]]의 타구가 중견수 깊숙한 곳까지 날아가며[* 거의 홈런이 될뻔한 타구였다.] 1사 1,3루가 되었고, [[알렉스 로드리게스]]를 1루 뜬공으로 처리했으나 [[치퍼 존스]]를 볼넷으로 내주며 2사 만루가 되었다. 그러나 [[제이슨 배리텍]]을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무실점으로 이닝을 마무리 짓는다. [[돈트렐 윌리스]]는 사실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B조|애리조나]]에서도 별로 좋지 못한 기록을 보였으나 한국은 상대적으로 만만한 팀이었기에 다시금 선발로 출전했다. [[이종범]]을 상대로 볼넷을 내주었으나 [[김민재(내야수)|김민재]]가 병살타를 치며 2사에 주자는 없는 상황. 이때 [[이승엽]]이 돈트렐 윌리스의 초구 [[패스트볼]]을 받아치며 우익수 뒤로 넘어가는 솔로포를 때려냈다. >'''무패의 한국인들에게 바치는 라이온 킹의 포효.''' >'''Lion king roars again for unbeaten Koreans.''' >----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43&aid=0000018133|#]] 점수는 대한민국 1:0 미국. 그리고 [[김태균]]을 볼넷으로 내보내더니 [[송지만]]이 안타를 때려내며 2사 1,3루의 득점 찬스를 만들어 낸다.[* 이때 김태균이 2루에서 3루로 갈때 몸개그를 시전했다.] 그리고 [[이범호]]가 안타를 때려내며 김태균을 불러들이는데 성공했고 한점을 더 추가한다. === 2회 === 2회에는 양팀 다 범타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 3회 === [[손민한]]은 [[버논 웰스]]를 유격수 땅볼로, [[데릭 지터]]를 2루수 라인드라이브로 잡아냈으나 [[켄 그리피 주니어]]에게 우익수 뒤쪽으로 날라가는 솔로홈런을 허용하며 2:1이 된다. 그리고 다음 타자 [[알렉스 로드리게스]]를 상대하는데... ||[include(틀:navervid, vid=355E6C53824F8D6E617D6ADFD10800810E81, outkey=V12538b20c2aab90107cbb1b943db31a9a2c7228ab6a5b80e5cd7b1b943db31a9a2c7, width=740, height=416)]|| ||마! 에이로드 삼구 삼진 잡아 봤나!|| [[체인지업]][* 그립이나 투구 궤도는 [[포크볼]]과 비슷한데 손민한 본인은 이 공을 [[체인지업]]으로 부른다.]으로 똑같은 코스를 던졌는데 여기에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방망이를 세번 연속 휘두르며 삼진 당한 것. 한참 후에 [[홍성무]]가 저때 어떤 생각으로 [[알렉스 로드리게스]]를 삼진 처리 했냐는 질문에 "그냥 던졌는데 저리 되드라. 개쫄았었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여튼 이렇게 1실점을 하고 난 이후 3회말, [[이승엽]]은 볼넷, [[김태균]]은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 [[송지만]]은 보내기 번트를 성공하며 1사 2,3루가 되었다. 그리고 [[이범호]]가 3루 땅볼을 때려내면서 3루에 있던 이승엽이 홈 득점에 성공해 1점을 더추가 3:1이 된다. 진갑용이 우익수 앞 안타를 때려내지만 [[버논 웰스]]의 송구가 워낙 정확했던 탓에 2루에 있던 [[김태균]]은 들어오질 못했고 [[김민재(내야수)|김민재]]가 2루 뜬공을 기록하며 이닝이 마무리 된다. === 4회 === [[손민한]]이 내려가고 [[전병두]]가 등판한다. [[치퍼 존스]]와 [[제이슨 배리텍]]을 연달아 볼넷으로 내보내더니 [[마크 테세이라]]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1사 1,2루가 된다. 그리고 [[김병현]]이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등판했고 [[맷 홀리데이]]를 상대로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때 맷 홀리데이가 의도한 것인지는 알수 없으나 휘두른 방망이가 손에서 빠졌고 이 방망이가 김병현 쪽으로 날라가며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김병현은 예전에도 부러진 배트에 발목을 직격당해 커리어가 완전히 박살난 전적이 있던지라, 경기를 보던 모두가 아찔해했다.] 2사 1,2루. [[체이스 어틀리]]의 안타 이후 [[버논 웰스]]를 삼진으로 돌려 세우며 실점하지 않았다. 미국은 [[돈트렐 윌리스]]를 내리고 댄 휠러를 올린다. 김민재가 초구를 받아쳐 그라운드에 맞고 담장을 넘어가 인정 2루타가 나온후, 무려 메이저리그 올스타 팀이 '''[[쫄튀|다음 타자 이승엽을 고의사구로 내보내는 굴욕을 맛보게 된다.]]''' 당연하게도 엄청난 야유가 쏟아졌다. 그 후 [[김태균]]과 상대할 준비를 하는데, 김인식 감독은 [[최희섭]]을 대타로 투입한다. 그리고....... >'''배기완: 자아아~~!!! 우측! 우측!!''' >'''박노준: 자~ 휘지 말아야 되는데요!''' >'''배기완: 우측!! 우측~~!!!''' >(2초 간 침묵) '''배기완: 넘어갔습니다~!!!!(박노준: 넘어갔습니다! 넘어갔어요! 홈런입니다!) 쓰리런~!!!! 최희섭!!!''' >'''박노준: 아~~''' >'''배기완: 와~~!!''' >'''박노준: 자, 이렇게 되면 6대 1이 됩니다! 6대 1!''' >'''배기완: 6대 1!!''' >'''박노준: 이렇게 되면 4강도 8부능선을 넘게 되거든요!''' >'''배기완: 끝까지 가는 거에요! (중간 해석 불가) 대단합니다! 대타 100% 성공, 투수 기용 100% 성공!(박노준: 대단하네요!) 대한민국입니다!''' >----- >최희섭의 쓰리런 순간 [[SBS]] 중계진의 홈런 콜. 댄 휠러는 초구와 2구를 모두 체인지업을 던지며 최희섭을 유인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1-1 상황에서 선택한 패스트볼이 한가운데로 몰렸는데 이를 최희섭이 놓치지 않고 그대로 담장을 넘겨 쓰리런을 만들어 낸다.[* 홈런 타구는 우측 파울 폴대 바로 안쪽이라 아슬아슬 했다.] 점수는 6:1. [[송지만]]이 3루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 5회 === [[김병현]]이 선두타자 [[데릭 지터]]를 볼넷로 내보낸후, [[켄 그리피 주니어]]에게 안타를 허용하며 무사 1,2루가 된다. [[알렉스 로드리게스]] 타석때 김병현의 변화구를 [[진갑용]]이 놓치면서 주자 진루의 위기를 맞이했으나 다행히 후속 대처가 빨라 그러진 않았고, 4구 헛스윙을 유도하며 1사를 추가한다. 이후 [[구대성]]이 등판, [[치퍼 존스]]가 초구를 잡아당겨 쳤지만 [[박진만]]이 넘어지며 잡아내는데 성공, 병살로 처리하며 위기를 넘겼다. 미국은 [[마이크 팀린]]을 마운드에 올렸는데 [[이병규(1974)|이병규]]가 볼넷으로 출루, [[이종범]]의 타구를 2루수였던 [[체이스 어틀리]]가 공을 놓치며 무사 1,3루의 찬스를 맞이한 대표팀은 김민재의 적시타가 터지며 이병규가 홈으로 불러들이는데 성공 7:1이 된다. 이승엽은 뜬공 아웃, 최희섭은 삼진으로 물러났다. [[송지만]] 타석엔 [[이진영]]을 올리지만 삼진을 당하며 이닝이 종료. === 6회~9회 === 이후 양팀은 무난하게 이어지다 9회초, [[정대현(1978)|정대현]]을 상대로 버틀러와 지터가 안타를 쳐내며 1사 1,2루가 되었고 켄 그리피 주니어가 중견수 앞에 떨어지는 안타를 치며 미국은 득점에 성공한다. 1사 2,3루에서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1루 땅볼을 쳤고 3루주자였던 지터가 홈을 밟으며 또다시 점수를 추가, 7:3이 된다. 그리고 [[오승환]]이 마운드를 밟았고 [[치퍼 존스]]를 2루수 땅볼로 물러나게 하며 경기는 종료. 최종 점수는 7:3으로 대한민국이 미국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경기를 승리로 장식하며 대표팀은 2승으로 조 1위를 기록했고, 일본전에서 지더라도 6실점 이상만 하지 않는다면 4강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0026335|한국, 미국에 7대3 '완승'...'4강행' 사실상 확정]] == 평가 == === 대한민국 === >'''{{{+1 그런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사람들]]은 대체 누굽니까?}}}''' >''Who are these guys, anyway?'' >---- >경기 종료 직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닷컴의 헤드라인 >'''해냈다. 우리보다 프로야구 역사가 46년 앞선 일본도 못해낸 일을 우리가 해냈다. 그것도 [[야구/기원|야구 종주국]]의 안방에서 완벽한 승리로 홈팬들의 입을 다물게 만들었다. 한국은 새 역사를 창조한 날이었고 미국은 치욕스런 날이었다.'''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0028462|미국전 승리는 한국야구 101년사 최고의 업적]] '''한국 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이변이자 명승부 중 하나.'''[* 2023년 현재에도 [[카잔의 기적]]과 함께 한국 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이변으로 심심찮게 언급되고 있다.] 현역 메이저리거들이 총 출동하며 이름값만으로도 역대 최강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미국 대표팀]]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한국 대표팀]]이 그야말로 압도해버린 경기이다. [[김인식]] 감독마저 타선의 부활이 절실하다며 강조했을 정도로 그간 침묵했던 타선은 이날 [[이승엽]], [[최희섭]]이 대포를 쏘아대며 미국 투수진을 멘붕에 빠뜨렸고, 득점권 상황에선 침착한 모습을 보여주며 점수를 뽑아낼 수 있는 상황에서 최대한 얻었다. 또한 선발 투수 [[손민한]]이 의외의 호투를 보여주며 미국 타선을 묶는데 성공했고, [[구대성]], [[전병두]], [[정대현(1978)|정대현]], [[오승환]]등 다른 투수들도 3실점을 허용하는데 그치면서 승리에 일조했다. === 미국 === 반대로 미국은 이날 경기가 두고두고 수치로 남을 최악의 졸전이 되었다. 이날 경기에 출전한 미국 대표팀 선수들의 직전 시즌(2005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타선 || 타순 || 이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홈런 || 타점 || 도루 || 연봉 || 타이틀 || || 1 || [[버논 웰스]] || 0.269 || 0.320 || 0.463 || 0.783 || 28 || 97 || 8 || $3,070,000|| 골드글러브 수상 || || 2 || [[데릭 지터]] || 0.309 || 0.389 || 0.450 || 0.839 || 19 || 70 || 14 || $19,600,000|| 아메리칸리그 안타 3위 [br]골드글러브 수상 || || 3 || [[켄 그리피 주니어]] || 0.301 || 0.369 || 0.576 || 0.946 || 35 || 92 || 0 || $12,500,000|| 내셔널리그 홈런 7위 || || 4 || [[알렉스 로드리게스]] || 0.321 || 0.421 || 0.610 || 1.031 || 48 || 130 || 21 || $26,000,000|| 아메리칸리그 안타 6위 [br] 타율, 출루율 2위 [br] 홈런, 득점, 장타율 1위 [br] 실버슬러거, MVP 수상 || || 5 || [[치퍼 존스]] || 0.296 || 0.412 || 0.556 || 0.968 || 21 || 72 || 5 || $16,061,802|| || || 6 || [[제이슨 배리텍]] || 0.281 || 0.366 || 0.489 || 0.856 || 22 || 70 || 2 || $8,000,000|| 골드글러브 & 실버슬러거 수상 || || 7 || [[마크 테셰이라]] || 0.301 || 0.379 || 0.575 || 0.954 || 43 || 144 || 4 || $3,625,000|| 아메리칸리그 안타 6위, 홈런 4위, [br]타점 2위, 출루율 10위, 장타율 5위 [br] 골드글러브 & 실버슬러거 수상 || || 8 || [[맷 홀리데이]] || 0.307 || 0.361 || 0.505 || 0.866 || 19 || 87 || 14 || $366,000|| || || 대타 || [[랜디 윈]] || 0.306 || 0.360 || 0.499 || 0.859 || 20 || 63 || 19 || $3,750,000|| || || 9 || [[체이스 어틀리]] || 0.291 || 0.376 || 0.540 || 0.915 || 28 || 105 || 16 || $345,000|| || * 투수 || 이름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방어율 || 이닝 || 탈삼진 || 연봉 || 타이틀 || || [[돈트렐 윌리스]] || 22 || 10 || 0 || 0 || 2.63 || 236.1 || 170 || $378,500|| 내셔널리그 다승, 완투, 완봉, 1위 [br] 사이영 상 투표 2위 || || [[댄 휠러]] || 2 || 3 || 17 || 3 || 2.21 || 73.1 || 69 || $365,000|| || || [[마이크 팀린]] || 7 || 3 || 24 || 13 || 2.24 || 80.1 || 59 || $2,750,000|| 아메리칸리그 홀드 5위 || || [[휴스턴 스트리트]] || 5 || 1 || 0 || 23 || 1.72 || 78.1 || 72 || $316,000|| 내셔널리그 신인왕 수상 || || [[게리 마제스키]] || 4 || 4 || 23 || 1 || 2.93 || 86 || 50 || || 내셔널리그 홀드 5위 || 그야말로 메이저리그 올스타급 타선에 투수진은 상대적으로 빈약해 보이지만 당시 MLB에서 각 팀 주전급 선수들이 대거 출동했다. 이런 팀이 아시아 팀에게 접전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시원하게 발렸다. 경기 내용을 들여다 보면 그야말로 난조였다. 타격에서 [[데릭 지터]], [[켄 그리피 주니어]],[[ 체이스 어틀리]]를 제외하면 뭔가 보여주지를 못했고, 투수진은 선발부터 제대로 붕괴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47&aid=0000079015|미국은 왜 투수를 안 바꿨을까?]] 이 경기에서 미국 대표팀은 실책을 무려 세 개나 내는 위엄을 보였는데, 그중 2개는 [[체이스 어틀리]]가 기록한 것으로 6:1로 뒤지고 있던 상황에서도 정줄 놓는 수비 2개를 연이어 보이며 실점에 기여, 관중들로부터 야유를 받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사실 어틀리는 준수한 수비능력을 갖춘 2루수였지만, 이 경기의 실책 퍼레이드로 적어도 한국 팬들에게는 수비를 못하는 선수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 반응 == 이날 승리는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는데, 당시 [[KBO 리그]]는 상당한 암흑기였고 [[이승엽]]의 일본 활약만이 유일한 볼거리였던 상황. 그러나 야후 코리아의 온라인 중계는 동시 접속자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0491773|20만을 돌파]][* 지금도 네이버 스포츠 중계에서 실시간 동접자수가 20만을 돌파하는 경우는 [[KBO 리그]] 포스트시즌이나 일부 인기팀의 빅매치 정도가 전부다.]하는 등 그동안 죽은 줄만 알았던 야구 열기가 다시금 확인되는 순간이기도 했다. 그리고 2000년대 후반 새로운 젊은 스타들이 KBO를 이끌게 되고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에서 전승 우승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과 [[한국프로야구/2009년|2009년 페넌트레이스]]에서 [[해태 타이거즈]] 시절 이후 한물 갔다고 평가받으며 [[엘롯기]]로 조롱당하던 [[기아 타이거즈]]가 장타를 앞세워 좋은 성적을 내며 관중을 몰고 다녔으며 [[로이스터 매직]]을 받은 [[롯데 자이언츠]]도 가을야구에 진출해 [[베이징 뉴비]]와 [[해태 타이거즈]] 시절 올드팬, [[엘롯기]] 팬까지 모두 모여 대흥행을 맞이하게 된다. 심지어 여야 정치권에서도 한 목소리로 환호가 터져나왔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19&aid=0000006639|여야 정치권 “거함을 잡았다” 흥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1244629|정치권도 야구승리에 한때 `신명']] 다만 [[이계진]] 당시 [[한나라당]] 대변인이 "이번 한국 야구의 연속 승리가 중요한 무역 상대국인 일본을 자극하여 새로운 무역 장벽이 생기거나, 미국을 자극하여 동북아 안보에 구멍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는 엉뚱한 발언으로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기타 == * 이날 선발 윌리스는 마구마구에서 mlb 카드가 나오면서 처음에는 엘리트가 되지 못했지만[* 05 기준] 레어중에는 최고가로 팔렸으며[* 당시 300만거니에 레어카트 끼워서 거래했다.], 재평가때 엘리트가 되었다. 그리고 이 시즌을 기점으로 윌리스는 급격한 하락세를 걷고 다시는 전성기 때의 투구폼을 보이지 못한채 커리어가 꼬이고 만다. * SBS는 이날 경기를 재방송으로 다시 방송했고, 그로 인해 <비법 대공개> 방송은 긴급 결방시켰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28326|#]] * [[엠파스]]에선 '''축구 해설위원'''인 [[서형욱]]이 특별 해설에 참가해서 눈길을 끌기도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17&aid=0000040934|#]] * 훗날 [[무릎팍도사]]에 이종범이 출연해 이날 경기 비화를 이야기 해주었는데, 경기 중 [[김민재(내야수)|김민재]]가 출루했을때 유격수였던 [[데릭 지터]]에게 "I like you."라고 말을 걸었고 이에 지터가 "Me, too."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다만 김민재가 밝힌 바로는 실제로 건넸던 말은 "I like your play"였으며 졸지에 [[동성애자]]가 될뻔 했다고 이종범을 타박하기도 했다. --아이라이크유나 아이라이크유아플레이나 그게 그거 아니여~-- * 많은 사람들이 이 경기에서의 [[이승엽]]과 [[최희섭]]의 홈런, [[손민한]]의 [[알렉스 로드리게스]] 삼구삼진 등을 기억하나, 실제 숨은 MVP는 [[김민재]]였다. 5타수 3안타 1타점에 다이빙캐치까지, 공수양면에서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의 일등공신이었다. * 12년 뒤인 2018년 월드컵 축구에서 이에 비견될 만한 승리가 나왔다.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 참조. * 수월하게 결승에 올라가기 위해서 자신들의 입맛대로 대진표를 짰던 미국은 이 한국 전 패배 이후 뒤 이은 멕시코 전에서도 패배 하면서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WBC에서 미국이 2라운드에서 탈락한 것은 현재 까지 2번인데, 이 대회와 2013년 3회 대회때다. == 선수기록 == === 투수 === ||<-9><:> {{{#ffffff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자책점''' ||<:> '''방어율''' || || [[손민한]] ||<:> '''{{{#blue 승리}}}''' ||<:> 3 ||<:> 2 ||<:> 1 ||<:> 2 ||<:> 2 ||<:> 1 ||<:> 1.29 || || [[전병두]] ||<:> '''홀드''' ||<:> ⅓ ||<:> 0 ||<:> 0 ||<:> 2 ||<:> 1 ||<:> 0 ||<:> 0.00 || || [[김병현]] ||<:> '''홀드''' ||<:> 1 ||<:> 2 ||<:> 0 ||<:> 1 ||<:> 3 ||<:> 0 ||<:> 0.00 || || [[구대성]] ||<:> ||<:> 3 ||<:> 2 ||<:> 0 ||<:> 1 ||<:> 0 ||<:> 0 ||<:> 0.00 || || [[정대현(1978)|정대현]] ||<:> ||<:> 1⅓ ||<:> 3 ||<:> 0 ||<:> 0 ||<:> 1 ||<:> 2 ||<:> 5.40 || || [[오승환]] ||<:> ||<:> ⅓ ||<:> 0 ||<:> 0 ||<:> 0 ||<:> 0 ||<:> 0 ||<:> 0.00 || ||<-9><:> {{{#ffffff '''미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자책점''' ||<:> '''방어율''' || || [[돈트렐 윌리스]] ||<:> '''{{{#red 패배}}}''' || 3 || 4 || 1 || 4 || 2 || 3 || 12.71 || || 댄 휠러 || || 2 || 2 || 1 || 1 || 4 || 3 || 9.00 || || 마이크 팀린 || || 1 || 2 || 0 || 1 || 2 || 1 || 3.86 || || [[휴스턴 스트리트]] || || 1 || 0 || 0 || 0 || 1 || 0 || 0.00 || || 게리 마제스키 || || 1 || 2 || 0 || 0 || 0 || 0 || 0.00 || === 타자 === ||<-17><:> {{{#ffffff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 ||<:> '''타순''' || '''타자'''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도루''' || || 1 || [[이종범]] || 4 || 1 || 0 || 0 || 0 || 0 || 0 || 1 || 0 || .250 || .000 || .000 || .000 || 0 || || 2 || [[김민재(내야수)|김민재]] || 5 || 3 || 1 || 0 || 0 || 1 || 1 || 0 || 1 || .600 || .000 || .000 || .000 || 0 || || 3 || [[이승엽]] || 3 || 2 || 0 || 0 || 1 || 1 || 3 || 2 || 0 || .667 || .000 || .000 || .000 || 0 || || 4 || [[김태균]] || 1 || 0 || 0 || 0 || 0 || 0 || 1 || 1 || 0 || .000 || .000 || .000 || .000 || 0 || || || [[최희섭]] || 3 || 1 || 0 || 0 || 1 || 3 || 1 || 0 || 1 || .333 || .000 || .000 || .000 || 0 || || 5 || [[송지만]] || 2 || 1 || 0 || 0 || 0 || 0 || 0 || 0 || 0 || .500 || .000 || .000 || .000 || 0 || || || [[이진영]] || 1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0 || || 6 || [[이범호]] || 3 || 1 || 0 || 0 || 0 || 2 || 0 || 0 || 1 || .333 || .000 || .000 || .000 || 0 || || || [[정성훈]]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0 || || 7 || [[진갑용]] || 4 || 1 || 0 || 0 || 0 || 0 || 0 || 0 || 1 || .250 || .000 || .000 || .000 || 0 || || 8 || [[박진만]] || 3 || 0 || 0 || 0 || 0 || 0 || 0 || 1 || 2 || .000 || .000 || .000 || .000 || 0 || || 9 || [[이병규(1974)|이병규]] || 3 || 0 || 0 || 0 || 0 || 1 || 0 || 1 || 2 || .000 || .000 || .000 || .000 || 0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 [include(틀: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 [[분류: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김인식호]][[분류:한미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