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남아프리카공화국]] [include(틀: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 '''{{{+2 {{{#fff 201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남아프리카공화국}}}}}}''' || ||<-3> '''{{{#fff 2013 Africa Cup of Nations[br]Afrika-nasiesbeker 2013[br]Afrika Inkomishi ave Isizwe 2013}}}''' || ||<-3> [[파일:attachment/200px-2013_Africa_Cup_of_Nations.png|width=200]] || || '''{{{#fff 대회기간}}}''' ||<-2> [[1월 19일]] ~ [[2월 10일]] || || '''{{{#fff 개최국}}}'''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공화국]] || || '''{{{#fff 참가팀}}}''' ||<-2> 16개팀 || ||<-3> '''{{{#fff 대회 결과}}}''' || || '''{{{#000 우승}}}''' ||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 '''{{{#000 준우승}}}''' || [[부르키나파소 축구 국가대표팀|부르키나파소]] || [[파일:burkina-faso.png|height=30]] || || '''{{{#000 3위}}}''' ||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말리]] || [[파일:말리 축구 대표팀.png|height=30]] || || '''{{{#000 4위}}}''' ||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 || [[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 ||<-3> '''{{{#fff 수상}}}''' || || '''{{{#fff 골든볼}}}''' ||<-2> [[파일:burkina-faso.png|height=30]] [[조나탕 피트로이파]] || || '''{{{#fff 골든부트}}}''' ||<-2>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이메뉴얼 에메니케]] [br] [[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0]] [[무바라크 와카소]] (이상 4골) || ||<-3> '''{{{#fff 연표}}}''' || || '''{{{#fff 이전 대회}}}''' ||<-2> [[201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 기니·가봉|201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기니/가봉)]] || || '''{{{#fff 다음 대회}}}''' ||<-2> [[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 기니|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기니)]]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z2gkivT1HDE)]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29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두번째 네이션스컵이다.원래 짝수 해에 열리던 네이션스컵은 [[FIFA 월드컵]] 및 [[올림픽]]과 겹치는 문제 때문에 선수 운용과 대회 흥행에 있어서 어렵다는 판단이 들자 홀수 해로 바꿔서 개최하게 되었고, 2013년 대회는 변경된 연도의 첫 대회다. 당초 이 대회는 2014년에 개최될 대회였는데 홀수 해 개최로의 변경이 확정되면서 2013년으로 1년 앞당겨서 치러지게 되었다. == 개최지 선정 == 당초 개최지는 [[리비아]]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2011 리비아 민주화 운동]] 및 [[리비아 내전]]의 여파로 인해 정정의 불안이 가중되자, 개최지 변경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비록, [[무하마르 알 카다피]]를 사살함으로써 내전을 마무리되었지만, 바로 개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 아래 2017년 대회 개최 예정지였던 남아프리카공화국과 2013년 개최지인 리비아가 서로 연도를 바꾸는 형식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 마스코트 == [youtube(Yin6S8_DW6g)] == 지역 예선 == === 1차 예선 === [[세이셸]], [[상투메 프린시페]], [[스와질란드]], [[레소토]] 중 두 나라가 다음 예선 라운드에 진출한다. 형식은 홈 & 어웨이 방식이다. [[코모로]], [[지부티]], [[에리트레아]], [[모리타니]], [[모리셔스]], [[소말리아]]는 불참했으며, [[남수단]]은 CAF 가입 전에 예선 대진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참가할 수 없다. || 1차전 홈 개최국 || 스코어 || 2차전 홈 개최국 || || '''[[세이셸]]''' || 기권 || [[스와질란드]] || || '''[[상투메 프린시페]]''' || 1-0 [br] 0-0 || [[레소토]] || 스와질란드는 재정 문제로 기권했다. === 2차 예선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국은 3차 예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28개 국가가 홈 & 어웨이로 3차 예선 진출국을 가린다. [[이집트]]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경기는 [[포트사이드 경기장 폭력 사태]]로 인한 이집트 축구협회의 요청으로 다른 팀들의 경기보다 늦게 진행되었다. || 1차전 홈 개최국 || 스코어 || 2차전 홈 개최국 || || '''[[에티오피아]]''' || 0-0 [br] 1-1 || [[베냉]] || || [[르완다]] || 0-0 [br] 0-2 || '''[[나이지리아]]''' || || [[콩고 공화국]] || 3-1 [br] 0-4 || '''[[우간다]]''' || || [[부룬디]] || 2-1 [br] 0-1 || '''[[짐바브웨]]''' || || [[감비아]] || 1-2 [br] 1-4 || '''[[알제리]]''' || || [[케냐]] || 2-1 [br] 0-1 || '''[[토고]]''' || || [[상투메 프린시페]] || 2-1 [br] 2-4 || '''[[시에라리온]]''' || || [[기니비사우]] || 0-1 [br] 0-1 || '''[[카메룬]]''' || || [[차드]] || 3-2 [br] 0-2 || '''[[말라위]]''' || || [[세이셸]] || 0-4 [br] 0-3 || '''[[콩고민주공화국]]''' || || [[탄자니아]] || 1-1 [br] 1-1 [br] (6PK7) || '''[[모잠비크]]''' || || [[이집트]] || 2-3 [br] 1-1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마다가스카르]] || 0-4 [br] 1-3 || '''[[카보베르데]]''' || || '''[[라이베리아]]''' || 1-0 [br] 0-0 || [[나미비아]] || 대부분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올라갈만한 팀이 올라가는]] 양상을 보였다. 그 와중에 [[이집트]]는 또 광탈했다. 하필이면 이집트와 맞붙은 중아공이 예전의 그 최약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중아공 때문에 2대회 연속으로 지역예선에서 광탈을 하고 남의 집 잔치나 구경하게 된 수모를 겪은 이집트는 완전 [[멘붕]]됐을 것이다. === 3차 예선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국 16개 국과 2차 예선을 통과한 14개국이 추첨으로 대진을 형성, 홈 & 어웨이로 본선 진출국을 가린다. 예선 일정은 9월 초와 10월 초다. || 1차전 홈 개최국 || 스코어 || 2차전 홈 개최국 || 날짜 || || '''[[말리]]''' || 3-0 [br] 4-1 || [[보츠와나]] || [[9월 8일]] [br] [[10월 13일]] || || [[짐바브웨]] || 3-1 [br] 0-2 || '''[[앙골라]]''' || [[9월 9일]] [br] [[10월 14일]] || || '''[[가나 공화국|가나]]''' || 2-0 [br] 1-0 || [[말라위]] || [[9월 8일]] [br] [[10월 13일]] || || [[라이베리아]] || 2-2 [br] 1-6 || '''[[나이지리아]]''' || [[9월 8일]] [br] [[10월 13일]] || || '''[[잠비아]]''' || 1-0 [br] 0-1 [br] (9 PK 8) || [[우간다]] || [[9월 8일]] [br] [[10월 13일]] || || '''[[카보베르데]]''' || 2-0 [br] 1-2 || [[카메룬]] || [[9월 8일]] [br] [[10월 14일]] || || [[모잠비크]] || 2-0 [br] 0-4 || '''[[모로코]]''' || [[9월 9일]] [br] [[10월 13일]] || || [[시에라리온]] || 2-2 [br] 0-0 || '''[[튀니지]]''' || [[9월 8일]] [br] [[10월 13일]] || || [[기니]] || 1-0 [br] 0-2 || '''[[니제르]]''' || [[9월 9일]] [br] [[10월 14일]] || || [[수단 공화국|수단]] || 5-3 [br] 0-2 || '''[[에티오피아]]''' || [[9월 8일]] [br] [[10월 14일]] || || [[리비아]] || 0-1 [br] 0-2 || '''[[알제리]]''' || [[9월 9일]] [br] [[10월 14일]] || || '''[[코트디부아르]]''' || 4-2 [br] 2-0[* 세네갈 관중의 난동으로 2:0 상황에서 중단되며 그대로 코트디부아르의 승리로 결정.] || [[세네갈]] || [[9월 8일]] [br] [[10월 13일]] || || '''[[콩고민주공화국]]''' || 4-0 [br] 1-2 || [[적도기니]] || [[9월 9일]] [br] [[10월 14일]] || || [[가봉]] || 1-1 [br] 1-2 || '''[[토고]]''' || [[9월 8일]] [br] [[10월 14일]]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1-0 [br] 1-3 || '''[[부르키나파소]]''' || [[9월 8일]] [br] [[10월 14일]] || 디펜딩 챔피언인 잠비아는 2차전에서 우간다에게 0:1로 패배했으나 승부차기에서 이겨 간신히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2차 예선에서 이집트를 격파하는 파란을 일으킨 중아공은 내친김에 첫 본선까지 노렸으나 ~~[[http://movedtomonrovia.blogspot.kr/2011/06/central-african-republic-burkina-faso.html|땅덩어리가 닮은 나라]]의 [[더비 매치]]~~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한 골 차이로 아깝게 탈락. ~~[[권진수|나는 한번만이라도 본선 가고 시픙데 왜! 나! 중아공은! 본선 갈 수가 업서!]]~~ 1차전에서 카보베르데에게 0:2로 패한 카메룬은 [[사무엘 에투]]를 복귀시키는 강수를 두었음에도 시작 12분만에 선제골을 빼앗기며 [[경기는 삼성쪽으로 기울고|경기는 카보베르데 쪽으로 기울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쏟아붓는다는 심정으로]] 반격에 나서나 10분만에 동점골을 넣은 후 3골이 더 필요한 상황 속에서도 답답한 무득점 상태가 지속되다 경기 종료 직전의 역전골로 단 1골차 승리를 거두는 데 그치며 탈락을 막지 못했다. 결국 이번에도 최다 우승을 경험한 빅3(이집트, 가나, 카메룬) 중에서 가나만 살아남았다. ~~이집트는 중아공 쇼크, 카메룬은 카보베르데 쇼크. 이집트와 카메룬이 또다시 동반으로 광탈하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16&aid=0000047487|이 짤방]]의 생명력이 연장된 건 덤~~ 아프리카 축구판 지각 변동의 조짐인가. == 본선 진출 팀 == 최종 진출국들은 다음과 같다. * 개최국 : [[남아프리카공화국]] * 예선통과 : [[말리]], [[앙골라]], [[가나]], [[나이지리아]], [[잠비아]], [[카보베르데]], [[모로코]], [[튀니지]], [[니제르]], [[에티오피아]], [[알제리]],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토고]], [[부르키나파소]] 이중 카보베르데는 사상 첫 진출. === 조 편성 === [youtube(qvtkUWRi4R8)] * A조: '''남아프리카 공화국''', 앙골라, 모로코, 카보베르데 * B조: 가나, 말리, 니제르, 콩고민주공화국 * C조: '''잠비아''', 나이지리아, 부르키나파소, 에티오피아 * D조: 코트디부아르, 튀니지, 알제리, 토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개최국으로 A조에 자동 배정, 잠비아는 전 대회 우승국으로 C조에 자동 배정되었다. == 경기 결과 == === 조별 라운드 === ==== A조 ==== 개최국 남아공이 낀 조. 가장 큰 이슈는 첫 출전 팀인 카보베르데가 광탈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첫 두 경기를 2무로 승점 2점을 챙기더니 마지막 앙골라전에서 후반 끝자락에 역전쇼를 보여주며 극적으로 8강에 간 것. 이는 지난 대회의 첫 출전 팀이었던 니제르와 보츠와나가 모두 3전 전패로 광탈한 것과는 대조를 보이고 있어 이번 대회 최고의 이변으로 꼽힌다.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1 || 2 || 0 || 4 || 2 || +2 || '''5''' || || '''카보베르데''' || 3 || 1 || 2 || 0 || 3 || 2 || +1 || '''5''' || || 모로코 || 3 || 0 || 3 || 0 || 3 || 3 || 0 || '''3''' || || 앙골라 || 3 || 0 || 1 || 2 || 1 || 4 || -3 || '''1''' ||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0:0 || 카보베르데 || 요하네스버그 || || 앙골라 || 0:0 || 모로코 || 요하네스버그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0) || 앙골라 || 더반 || || 모로코 || 1:1(0:1) || 카보베르데 || 더반 || || 모로코 || 2:2(1: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더반 || || 카보베르데 || 2:1(0:1) || 앙골라 || 포트 엘리자베스 || [youtube(2v9iAqc2KmQ)] [youtube(tJB4Sc4gVOU)] [youtube(CUN-LenPk8M)] [youtube(2K8HjLt_Ns8)] [youtube(Ab2hbixjGNI)] [youtube(Mi9-PF9AAAs)] ==== B조 ==== 지난 대회 4강에 든 두 팀이 한 데 묶인 조. 4팀들의 첫 두 경기가 물고 물리는 듯한 양상을 보였으나 마지막에 웃은 팀은 역시 가나와 말리였다. 첫 두 경기를 연속 무승부로 내심 8강행을 기대했던 콩고DR은 옆 조의 모로코처럼 3무 탈락을 했다. 그리고 니제르는 이번엔 승점 1점은 챙겼지만 한 골도 넣지 못하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골이 [[안 생겨요|안 들어가요]]~~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가나''' || 3 || 2 || 1 || 0 || 6 || 2 || +4 || '''7''' || || '''말리''' || 3 || 1 || 1 || 1 || 2 || 2 || 0 || '''4''' || || 콩고 민주 공화국 || 3 || 0 || 3 || 0 || 3 || 3 || 0 || '''3''' || || 니제르 || 3 || 0 || 1 || 2 || 0 || 4 || -4 || '''1''' ||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가나 || 2:2(0:0) || 콩고 민주 공화국 || 포트 엘리자베스 || || 말리 || 1:0(0:0) || 니제르 || 포트 엘리자베스 || || 가나 || 1:0(0:0) || 말리 || 포트 엘리자베스 || || 니제르 || 0:0 || 콩고 민주 공화국 || 포트 엘리자베스 || || 니제르 || 0:3(2:2) || 가나 || 포트 엘리자베스 || || 콩고 민주 공화국|| 1:1(1:1) || 말리 || 더반 || [youtube(ngTcgdgip3M)] [youtube(Ji8GC2Yg8ZE)] [youtube(QBVjnobegbI)] [youtube(cNklfGy8lR8)] [youtube(wC1_tMzaMuA)] [youtube(OVL0UOSsRE4)] ==== C조 ==== 지난 대회 우승팀 잠비아가 3전 전무로 광탈했다. 조 전체 전적을 보면 A조와 붕어빵처럼 닮았다. 여기서도 3전 전무, '''3'''개 조에서 1팀씩 '''3'''전 전무로 조 '''3'''위 광탈이라니 이런 희한한 일이... ~~[[허정무컵]] 된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부르키나파소가 예상외로 조 1위를 따고, 조 2위 나이지리아는 D조의 코트디부아르와 맞붙게 됐다. 부르키나파소는 1998년 개최국 버프를 받아 4강에 간 것 빼고는 한 번도 1라운드 통과를 해 본 적이 없던 팀이었는데 15년만에 8강에 감으로써 사상 처음으로 개최국 버프 없이 2라운드 진출을 했다.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부르키나파소''' || 3 || 1 || 2 || 0 || 5 || 1 || +4 || '''5''' || || '''나이지리아''' || 3 || 1 || 2 || 0 || 4 || 2 || +2 || '''5''' || || 잠비아 || 3 || 0 || 3 || 0 || 2 || 2 || 0 || '''3''' || || 에티오피아 || 3 || 0 || 1 || 2 || 1 || 7 || -6 || '''1''' ||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잠비아 || 1:1(1:0) || 에티오피아 || 음봄벨라 || || 나이지리아 || 1:1(1:0) || 부르키나파소 || 음봄벨라 || || 잠비아 || 1:1(1:1) || 나이지리아 || 음봄벨라 || || 부르키나파소 || 4:0(1:0) || 에티오피아 || 음봄벨라 || || 부르키나파소 || 0:0 || 잠비아 || 음봄벨라 || || 에티오피아 || 0:2(0:0) || 나이지리아 || 루스텐버그 || [youtube(YnKI3fq_2Jw)] [youtube(GjOZiWN5ufE)] [youtube(NN79TJKpV4U)] [youtube(GkTp3cxvDTk)] [youtube(3wE-H81O08o)] [youtube(hvnnUiZRAK8)] ==== D조 ==== 우승 후보로 꼽히는 드록국 코트디부아르와 북아프리카의 강호 튀니지가 함께 낀 죽음의 조. 다른 조는 무재배가 난무했는데 유독 여기만 예외다. 역시 드록신의 가호로 코트디부아르는 첫 두 경기를 이기며 남은 알제리전에 관계없이 일찌감치 8강에 갔다. 반면 알제리는 제일 먼저 탈락을 확정했다. 그리고, 8강행 막차는 토고가 타게 되었다. 토고 국대 사상 처음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1라운드 통과하는 놀라운 성과.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 '''코트디부아르''' || 3 || 2 || 1 || 0 || 7 || 3 || +4 || '''7''' || || '''토고''' || 3 || 1 || 1 || 1 || 4 || 3 || +1 || '''4''' || || 튀니지 || 3 || 1 || 1 || 1 || 2 || 4 || -2 || '''4''' || || 알제리 || 3 || 0 || 1 || 2 || 2 || 5 || -3 || '''1''' ||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코트디부아르 || 2:1(1:1) || 토고 || 루스텐버그 || || 튀니지 || 1:0(0:0) || 알제리 || 루스텐버그 || || 코트디부아르 || 3:0(1:0) || 튀니지 || 루스텐버그 || || 알제리 || 0:2(0:1) || 토고 || 루스텐버그 || || 알제리 || 2:2(0:0) || 코트디부아르 || 루스텐버그 || || 토고 || 1:1(1:1) || 튀니지 || 음봄벨라 || [youtube(RjQ6vtjGqXI)] [youtube(SLPW0qcMj1M)] [youtube(bFyTXsmxlc0)] [youtube(RuhInQ74Yjw)] [youtube(0_SXp9BZIRE)] [youtube(Pd6Oi194c5M)] === 결선 라운드 === 토고의 8강 진출로 8강 대진표가 확정되었다. 조별 리그까지 치른 결과 전체적으로 서아프리카가 강세를 보였다. 8강 진출 팀 중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외한 7팀이 전부 서아프리카 축구 연합(WAFU) 소속이다. 첫 출전해서 8강까지 간 카보베르데는 우승 후보로 꼽히는 가나와 8강전을 치르게 돼 카보베르데가 돌풍을 이어갈지 아니면 가나가 카보베르데 돌풍을 잠재울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그밖에도 서아프리카의 또다른 우승 후보인 코트디부아르와 나이지리아의 8강전도 관심거리. |||||||||| '''8강전''' || || 경기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26 || '''가나''' || 2:0(0:0) || 카보베르데 || 포트 엘리자베스 || || 2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1(1:0, 1:1)[br]ET, PK 1:4 || '''말리''' || 더반 || || 28 || 코트디부아르 || 1:2(0:1) || '''나이지리아''' || 루스텐버그 || || 27 || '''부르키나파소''' || 1:0(0:0, 0:0)[br]연장전 || 토고 || 음봄벨라 || |||||||||| '''4강전''' || || 경기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29 || 말리 || 1:4(0:3) || '''나이지리아''' || 더반 || || 30 || '''부르키나파소''' || 1:1(0:1, 1:1)[br]ET, PK 3:2 || 가나 || 음봄벨라 || |||||||||| '''3위 결정전''' || || 경기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31 || '''말리''' || 3:1(1:0) || 가나 || 포트 엘리자베스 || |||||||||| '''결승전''' || || 경기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 장소 || || 32 || '''나이지리아''' || 1:0(1:0) || 부르키나파소 || 요하네스버그 || ==== 8강 ==== 1. '''가나''' (B1) 2 : 0 카보베르데 (A2) [youtube(2h_GsdWxr_0)] 가나가 후반 2골을 연속으로 넣고 승리하면서 카보베르데 돌풍이 끝났다. ~~쳇... [[유로 2004]] 그리스의 기적이 여기서 재현되나 했더니만...~~ 그래도 카보베르데 입장에서 이 정도로도 상당한 선전. 2. 남아프리카 공화국 (A1) 1 : 1 (ET, PK 1 : 4) '''말리''' (B2) [youtube(kgxzNUSr1LQ)] 남아공이 개최국 버프가 다 됐는지 [[승부차기]]에서 [[삼연뻥]]으로 자멸했다. 이로써 4강은 서아프리카 팀들의 잔치가 됨. 3. 코트디부아르 (D1) 1 : 2 '''나이지리아''' (C2) [youtube(1ftg9THp3ek)] 서아프리카의 두 강호 사이에 벌어진 피할 수 없는 매치. ~~드록신의 가호가 다했는지~~ 나이지리아의 2:1 승리로 끝났다. 이로써 코트디부아르는 두 번째 우승 꿈이 또 좌절됐다. 4. '''부르키나파소''' (C1) 1 : 0 (ET) 토고 (D2) [youtube(Y54ChcWVY0U)] 사상 첫 1라운드 통과라는 기록을 세운 토고가 4강 진출도 노렸으나 연장까지 가는 접전 긑에 결승골을 허용하며 8강에서 만족해야 했다. 한편, 부르키나파소는 15년만에 다시 4강에 갔다. ==== 4강 ==== 부르키나파소의 승리로 4강 진출 팀이 모두 정해졌다. 4강 팀이 모두 서아프리카 축구 연합(WAFU) 소속이다. 아프리카 내의 한 지역별 연맹 소속 팀들이 4강을 독차지한 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사상 최초의 기록. 가나와 나이지리아가 결승에 갈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말리나 부르키나파소가 결승에 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말리는 결승에 갈 경우 41년만의 결승 진출이며 부르키나파소는 첫 결승을 바라보고 있다. 1. 말리 (8-2W) 1 : 4 '''나이지리아''' (8-3W) [youtube(aVYmC27ZSps)] 2. '''부르키나파소''' 1 : 1 (ET, PK 4 : 1 ) 가나 (8-1W) [youtube(7TwZaXocO_A)] 승부차기 끝에 부르카나파소는 사상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 3위 결정전 ==== '''말리''' (4-1L) 3 : 1 가나 (4-2L) [youtube(Gxtl058hdWc)] 2012년 대회와 똑같은 3, 4위전이 이뤄졌다. 그리고 결과도 비슷하게 이뤄졌다. 1년전 대회에서 2-0으로 이기면서 3위를 차지했던 말리는 이번 대회에서도 가나를 2점차로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 결승전 ==== '''나이지리아''' (4-1W) 1:0 부르키나파소 (4-2W) [youtube(lak02786kNU)] 나이지리아가 19년만에 3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감독인 스티븐 케쉬는 1994년 선수로서 이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린데 이어 감독으로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하지만 그는 우승과 같이 사임했는데 나이지리아 축구협회와 갈등이 빚어져서 이번 대회가 끝나면 어차피 잘릴 예정이라고 분노어린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나이지리아 축구협회도 당황한 반응인데 설마 우승을 이끌지 못할듯한 반응이었다고. 그도 그럴 것이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년 월드컵]]에는 아르헨티나와 그리스한테 연패를 당하고 한국과는 무재배를 쳐서 16강 진출에 실패하였고 직전 대회인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기니한테 밀려 지역예선조차 광탈을 해 버렸으니. 그런데 그 나이지리아가 진짜로 우승을 차지했다. 케쉬 감독은 8강전이 끝나고 조국으로 돌아갈 비행기표가 준비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축구협회는 부정하지만 나이지리아 여론은 감독 말을 더 믿는 반응이라고 한다. === 토너먼트 결과 ===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 A ||<:> 8강 1경기 [br] 남아프리카 공화국 1:1(1:3)[* 승부차기] '''말리''' ||<|2><:> E ||<|2><:> 4강 1경기 [br] 말리 1:4 '''나이지리아''' ||<|4><:> G ||<|4><:> 결승 [br] '''나이지리아''' 1:0 부르키나파소 || ||<:> B ||<:> 8강 2경기 [br] 코트디부아르 1:2 '''나이지리아''' || ||<-4><:> {{{#white - }}} || ||<:> C ||<:> 8강 3경기 [br] '''부르키나파소''' 1:0[* 연장] 토고 ||<|2><:> F ||<|2><:> 4강 2경기 [br] '''부르키나파소''' 1:1(3:2)[* 승부차기] 가나 || ||<:> D ||<:> 8강 4경기 [br] '''가나''' 2:0 카보베르데 || H || 3/4위전 [br] '''말리''' 3:1 가나 || ||
'''{{{+2 2013 CAF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00]] [br] '''나이지리아''' || || 3번째 우승 || [youtube(Or33Qf4euJ4)] == 개인 수상 == [youtube(eKVgEQ-OSZI)] [youtube(TFOtIssTMlQ)] [youtube(y4qKhf_GC8c)] [youtube(t3Ol9SwhOJY)] == 최종 순위 == ||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비고 || ||<:> 1 || 나이지리아 || 6 || 4 || 2 || 0 || 11 || 4 || +7 || '''14''' || '''우승''' || ||<:> 2 || 부르키나파소 || 6 || 2 || 3 || 1 || 7 || 3 || +4 || '''9''' || 준우승 || ||<:> 3 || 말리 || 6 || 2 || 2 || 2 || 7 || 8 || -1 || '''8''' || 3위 || ||<:> 4 || 가나 || 6 || 3 || 2 || 1 || 10 || 6 || +4 || '''11''' || 4위 || ||<:> 5 || 코트디부아르 || 4 || 2 || 1 || 1 || 8 || 5 || +3 || '''7''' || 8강 || ||<:> 6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 1 || 3 || 0 || 5 || 3 || +2 || '''6''' || 8강 || ||<:> 7 || 카보베르데 || 4 || 1 || 2 || 1 || 3 || 4 || -1 || '''5''' || 8강 || ||<:> 8 || 토고 || 4 || 1 || 1 || 2 || 4 || 4 || 0 || '''4''' || 8강 || ||<:> 9 || 튀니지 || 3 || 1 || 1 || 1 || 2 || 4 || -2 || '''4''' || 1라운드 || ||<:> 10 || 콩고민주공화국 || 3 || 0 || 3 || 0 || 3 || 3 || 0 || '''3''' || 1라운드 || ||<:> 10 || 모로코 || 3 || 0 || 3 || 0 || 3 || 3 || 0 || '''3''' || 1라운드 || ||<:> 12 || 잠비아 || 3 || 0 || 3 || 0 || 2 || 2 || 0 || '''3''' || 1라운드 || ||<:> 13 || 알제리 || 3 || 0 || 1 || 2 || 2 || 5 || -3 || '''1''' || 1라운드 || ||<:> 14 || 앙골라 || 3 || 0 || 1 || 2 || 1 || 4 || -3 || '''1''' || 1라운드 || ||<:> 15 || 니제르 || 3 || 0 || 1 || 2 || 0 || 4 || -4 || '''1''' || 1라운드 || ||<:> 16 || 에티오피아 || 3 || 0 || 1 || 2 || 1 || 7 || -6 || '''1''' || 1라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