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hite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컬링}}}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로고.svg|width=300]]}}} || ||<-2> {{{#white 날짜}}} ||[[2014년]] [[2월 10일]] ~ [[2월 21일]]|| ||<-2> {{{#white 경기장}}} ||아이스 큐브 컬링 센터|| ||<-2> {{{#white 종목}}} ||남자, 여자|| ||<|2> {{{#white 챔피언}}} || 남자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여자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2>[[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컬링|'''←''' {{{-2 '''2010'''}}}]]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2 '''2018'''}}} '''→''']]|| [목차] == 개요 == 2014년 2월 10일부터 2월 21일까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개최된 컬링 종목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 남자부는 캐나다가 대회 3연패에 성공했고, 여자부는 캐나다가 전승 우승했다. == 출전권 ==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최종예선 대회를 도입, 개최국을 제외한 올림픽이 있기 직전 2년간 세계선수권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개최국 제외 상위 7개국이 올림픽에 직행하고 최종예선[* 2012년과 2013년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 못한 2011년 세계선수권 참가팀에게도 최종예선 출전 기회가 주어져, 대한민국 남자팀과 노르웨이 여자팀이 최종예선에 출전했다.]을 통해 2개국에게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졌다. * 남자 ||
{{{#white 국가}}} || {{{#white 2012 세계선수권[br](포인트)}}} || {{{#white 2013 세계선수권[br](포인트)}}} || {{{#white 합계}}} || {{{#white 최종예선 순위}}} || {{{#white 출전 여부}}}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14 || 12 || '''26''' || - || '''O'''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10 || 14 || '''24''' || - || '''O'''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스코틀랜드)|| 12 || 10 || '''22''' || - || '''O'''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9 || 8 || '''17''' || - || '''O'''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6 || 9 || '''15''' || - || '''O'''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7 || 7 || '''14''' || - || '''O'''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4 || 6 || '''10''' || - || '''O'''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5 || 4 || '''9''' || 2 || '''O'''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8 || 0 || '''8''' || 5 || '''X'''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1 || 5 || '''6''' || 3 || '''X'''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0 || 3 || '''3''' || - || '''O'''[br](개최국 자격)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3 || 0 || '''3''' || 6 || '''X'''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0 || 2 || '''2''' || 8 || '''X'''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2 || 0 || '''2''' || 1 || '''O'''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 0 || 1 || '''1''' || 7 || '''X'''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0 || 0 || '''0''' || 4 || '''X''' || * 여자 ||
{{{#white 국가}}} || {{{#white 2012 세계선수권[br](포인트)}}} || {{{#white 2013 세계선수권[br](포인트)}}} || {{{#white 합계}}} || {{{#white 최종예선 순위}}} || {{{#white 출전 여부}}}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12 || 12 || '''24''' || - || '''O'''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14 || 8 || '''22''' || - || '''O'''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스코틀랜드)|| 7 || 14 || '''21''' || - || '''O'''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10 || 10 || '''20''' || - || '''O'''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8 || 9 || '''17''' || - || '''O'''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4 || 7 || '''11''' || - || '''O'''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5 || 5 || '''10''' || - || '''O'''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9 || 0 || '''9''' || - || '''O'''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6 || 2 || '''8''' || 4 || '''X'''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0 || 6 || '''6''' || 1 || '''O'''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2 || 4 || '''6''' || 2 || '''O'''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3 || 3 || '''6''' || 7 || '''X'''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5]] [[라트비아]]|| 0 || 1 || '''1''' || 6 || '''X'''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1 || 0 || '''1''' || 5 || '''X'''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0 || 0 || '''0''' || 3 || '''X''' || == 참가 선수 명단 == === 남자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white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white 덴마크}}}]]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white 독일}}}]]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white 러시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white 미국}}}]] || || {{{-2 '''[스킵]''' [[토마스 울스루]][br]'''[서드]''' 토르게르 네르고르[br]'''[세컨드]''' 크리스토페르 스바에[br]'''[리드]''' 호바르 바드 페테르손[br]'''[핍스]''' 마르쿠스 외이베르그}}} || {{{-2 '''[스킵]''' [[라스무스 스티에르네]][br]'''[서드]''' 조니 프레데릭센[br]'''[세컨드]''' 미켈 폴센[br]'''[리드]''' 트로엘스 하리[br]'''[핍스]''' 라르스 빌란트}}} || {{{-2 '''[포스]''' 펠릭스 슐츠[br]'''[스킵/서드]''' 욘 야르[br]'''[세컨드]''' 크리스토퍼 바르츠[br]'''[리드]''' 스벤 골데만[br]'''[핍스]''' 페터 리크머스}}} || {{{-2 '''[포스]''' 알렉세이 스투칼스키[br]'''[서드]''' 에브게니 아르키포프[br]'''[스킵/세컨드]''' 안드레이 드로즈도프[br]'''[리드]''' 페트르 드론[br]'''[핍스]''' 알렉산드르 코지레프}}} || {{{-2 '''[스킵]''' [[존 슈스터]][br]'''[서드]''' 제프 아이작슨[br]'''[세컨드]''' 제러드 제젤[br]'''[리드]''' 존 랜즈타이너[br]'''[핍스]''' 크레익 브라운[* 여자 대표팀 스킵 에리카 브라운의 동생]}}}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white 스웨덴}}}]]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white 스위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white 영국}}}]]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white 중국}}}]]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white 캐나다}}}]] || || {{{-2 '''[스킵]''' [[니클라스 에딘]][br]'''[서드]''' 세바스티안 크라우프[*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과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때 스웨덴 남자 대표팀 핍스 안데르스 크라우프의 아들][br]'''[세컨드]''' 프레드릭 린드베리[br]'''[리드]''' 빅토르 켈[br]'''[핍스]''' 오스카르 에릭손}}} || {{{-2 '''[스킵]''' 스벤 미셸[br]'''[서드]''' 클라우디오 패츠[* 여자 대표팀 핍스 [[알리나 패츠]]의 오빠][br]'''[세컨드]''' 산드로 트롤리엣[br]'''[리드]''' 시몬 겜펠러[br]'''[핍스]''' 브누와 슈바르츠}}} || {{{-2 '''[스킵]''' 데이비드 머독[br]'''[서드]''' 그렉 드루먼드[br]'''[세컨드]''' 스콧 앤드류스[br]'''[리드]''' 마이클 굿펠로[br]'''[핍스]''' 톰 브루스터}}} || {{{-2 '''[스킵]''' 류루이[br]'''[서드]''' 쉬샤오밍[*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스킵 [[김지선(컬링)|김지선]]의 남편][br]'''[세컨드]''' 바더신[br]'''[리드]''' 장지아량[br]'''[핍스]''' 주더지아}}} || {{{-2 '''[스킵]''' 브래드 제이컵스[* 한든 형제와 사촌지간][br]'''[서드]''' 라이언 프라이[br]'''[세컨드]''' E.J. 한든[* 라이언 한든의 형][br]'''[리드]''' 라이언 한든[* E.J. 한든의 동생][br]'''[핍스]''' 케일럽 플랙시}}} || ====#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 * [[토마스 울스루]](노르웨이):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컬링|2006 밴쿠버 올림픽]] 은메달, 2006·2008·2009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2회 우승(2010·2011), 1988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 [[라스무스 스티에르네]](덴마크): 2009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 욘 야르(독일): 1987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유럽선수권 1회 우승(1985) * 안드레이 드로즈도프(러시아):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 [[존 슈스터]](미국):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컬링|2006 토리노 올림픽]] 동메달(당시 리드), 2007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0 밴쿠버 올림픽(10위)에도 출전했다. * [[니클라스 에딘]](스웨덴): 2013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금메달, 2011·2012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2회 우승(2009·2012), 2004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2005·2006·2007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2009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 스벤 미셸(스위스): 유럽선수권 1회 우승(2013), 2007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 데이비드 머독(영국): 2006·2009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금메달, 2005·2008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2010·2013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3회 우승(2003·2007·2008), 1995·1996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1998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2006 토리노 올림픽(4위)과 2010 밴쿠버 올림픽(5위)에도 출전했다. * 류루이(중국):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아시아태평양선수권]] 6회 우승(2007·2008·2009·2011·2012·2013), 2007 아시안게임 동메달, 2009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2010 밴쿠버 올림픽(8위, 포스)에도 출전했다. * 브래드 제이컵스(캐나다): 2013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 여자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 [[경기도청 컬링팀|경기도청]]]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white 덴마크}}}]]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white 러시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white 미국}}}]]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white 스웨덴}}}]] || || {{{-2 '''[스킵]''' [[김지선(컬링)|김지선]][* 중국 남자 대표팀 서드 쉬샤오밍의 아내][br]'''[서드]''' [[이슬비(컬링)|이슬비]][br]'''[세컨드]''' [[신미성]][br]'''[리드]''' [[김은지(컬링)|김은지]][br]'''[핍스]''' [[엄민지]]}}} || {{{-2 '''[스킵]''' 레네 닐센[* 개회식 때 선수단 기수를 맡았다.][br]'''[서드]''' 헬레 시몬센[br]'''[세컨드]''' 예네 엘레가드[br]'''[리드]''' 마리아 폴센[br]'''[핍스]''' 메테 데 네르고드}}} || {{{-2 '''[스킵]''' [[안나 시도로바]][br]'''[서드]''' 마르가리타 포미나[br]'''[세컨드]''' 알렉산드라 사이토바[br]'''[리드]''' 예카테리나 갈키나[br]'''[핍스]''' 은케이루카 에제크}}} || {{{-2 '''[스킵]''' 에리카 브라운[* 남자 대표팀 핍스 크레익 브라운의 누나][br]'''[서드]''' 데비 맥코믹[br]'''[세컨드]''' 제시카 슐츠[br]'''[리드]''' 앤 스위스헴[br]'''[핍스]''' 앨리슨 포팅거}}} || {{{-2 '''[포스]''' 마리아 프뤼츠[br]'''[서드]''' 크리스티나 베르트루프[br]'''[세컨드]''' 마리아 베네르스트륌[br]'''[스킵/리드]''' 마르가레타 시그프리드손[br]'''[핍스]'''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white 스위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white 영국}}}]]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white 일본}}}]][* 홋카이도은행 포르티우스]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white 중국}}}]]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white 캐나다}}}]] || || {{{-2 '''[스킵]''' 미리암 오트[br]'''[서드]''' 카르멘 샤퍼[br]'''[세컨드]''' 카르멘 퀑[br]'''[리드]''' 야닌 그레이너[br]'''[핍스]''' [[알리나 패츠]][* 남자 대표팀 서드 클라우디오 패츠의 동생]}}} || {{{-2 '''[스킵]''' [[이브 뮤어헤드]][br]'''[서드]''' 애나 슬로안[br]'''[세컨드]''' 비키 애덤스[br]'''[리드]''' 클레어 해밀턴[br]'''[핍스]''' 로렌 그레이}}} || {{{-2 '''[스킵]''' 오가사와라 아유미[* 개회식 때 선수단 기수를 맡았다.][br]'''[서드]''' 후나야마 유미에[br]'''[세컨드]''' 오노데라 카호[br]'''[리드]''' 토마베치 미치코[br]'''[핍스]''' [[요시다 치나미]]}}} || {{{-2 '''[스킵]''' [[왕빙위]][br]'''[서드]''' 류인[br]'''[세컨드]''' 웨칭솽[br]'''[리드]''' 저우얀[br]'''[핍스]''' 장이룬[*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중국 여자 대표팀 핍스 장신디의 고모. 다만 장신디보다 4살 더 많아 나이차는 크지 않다.]}}} || {{{-2 '''[스킵]''' [[제니퍼 존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캐나다 남자 대표팀 세컨드 브렌트 랭의 아내][br]'''[서드]''' 케이틀린 로스[br]'''[세컨드]''' 질 오피서[br]'''[리드]''' 던 맥윈[br]'''[핍스]''' 커스틴 월}}} || ===#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 * [[김지선(컬링)|김지선]](대한민국):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아시아태평양선수권]] 2회 우승(2010·2013), 2013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2011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 레네 닐센(덴마크): 2006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 [[안나 시도로바]](러시아): 유럽선수권 1회 우승(2012), 2011·2012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2013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1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 에리카 브라운(미국): 1996·1999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1992·1994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1993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 마르가레타 시그프리드손(스웨덴): 2002·2009·2012·2013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유럽선수권 2회 우승(2010·2013), 1997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 미리암 오트(스위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컬링|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 은메달(당시 서드),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컬링|2006 토리노 올림픽]] 은메달, 2012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금메달, 2008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2회 우승(1996·2008) 2010 밴쿠버 올림픽(4위)에도 출전했다. * [[이브 뮤어헤드]](영국): 2013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금메달, 2010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유럽선수권 1회 우승(2011), 2007·2008·2009·2011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 오가사와라 아유미(일본):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태평양선수권]] 4회 우승(1994·1998·2004), 1998·1999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8위, 세컨드)과 2006 토리노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 [[왕빙위]](중국):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컬링|2010 토리노 올림픽]] 동메달, 2009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금메달, 2008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은메달, 2011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동메달,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아시아태평양선수권]] 6회 우승(2006·2007·2008·2009·2011·2012), 2003 아시안게임 동메달, 2009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 [[제니퍼 존스]](캐나다): 2008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금메달, 2010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 동메달 == 경기 결과 == === 남자 === ==== 예선 ==== ||
{{{#white 예선 순위}}} || {{{#white 국가}}} || {{{#white 스킵}}} || {{{#white 승}}} || {{{#white 패}}} || || 1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니클라스 에딘]] || 8 || 1 || || 2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브래드 제이컵스 || 7 || 2 || || 3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류루이 || 7 || 2 || || 4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데이비드 머독 || 5 || 4 || || 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 [[토마스 울스루]] || 5 || 4 || || 6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라스무스 스티에르네]] || 4 || 5 || || 7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안드레이 드로즈도프 || 3 || 6 || || 8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스벤 미셸 || 3 || 6 || || 9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존 슈스터]] || 2 || 7 || || 1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욘 야르 || 1 || 8 || 예선 결과 영국과 노르웨이가 5승 4패로 예선 전적이 동일해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한 영국이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 결선 ==== * 준결승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예선 1위) || ◎ || 0 || 0 || 2 || 0 || 0 || 0 || 1 || 0 || 2 || 0 || '''5'''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예선 4위) || || 0 || 1 || 0 || 0 || 1 || 1 || 0 || 1 || 0 || 2 || '''6'''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예선 2위) || ◎ || 1 || 0 || 2 || 0 || 1 || 0 || 3 || 0 || 3 || X || '''1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예선 3위) || || 0 || 1 || 0 || 1 || 0 || 2 || 0 || 2 || 0 || X || '''6''' || * 동메달 결정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결과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 0 || 1 || 0 || 1 || 0 || 0 || 1 || 0 || 0 || 1 || 2 || '''6'''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0 || 0 || 1 || 0 || 0 || 2 || 0 || 0 || 1 || 0 || 0 || '''4''' || * 결승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0 || 1 || 0 || 0 || 1 || 0 || 1 || 0 || X || X || '''3'''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 || 2 || 0 || 3 || 1 || 0 || 2 || 0 || 1 || X || X || '''9''' || === 여자 === ==== 예선 ==== ||
{{{#white 예선 순위}}} || {{{#white 국가}}} || {{{#white 스킵}}} || {{{#white 승}}} || {{{#white 패}}} || || 1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제니퍼 존스]] || 9 || 0 || || 2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마르가레타 시그프리드손 || 7 || 2 || || 3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미리암 오트 || 5 || 4 || || 4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이브 뮤어헤드]] || 5 || 4 || || 5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오가사와라 아유미 || 4 || 5 || || 6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레네 닐센 || 4 || 5 || || 7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왕빙위]] || 4 || 5 || ||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김지선(컬링)|김지선]] || 3 || 6 || || 9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안나 시도로바]] || 3 || 6 || || 1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에리카 브라운 || 1 || 8 || ==== 결선 ==== * 준결승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예선 1위) || ◎ || 2 || 1 || 0 || 1 || 0 || 1 || 0 || 0 || 0 || 1 || '''6'''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예선 4위) || || 0 || 0 || 2 || 0 || 1 || 0 || 0 || 0 || 1 || 0 || '''4'''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예선 2위) || ◎ || 1 || 0 || 2 || 0 || 0 || 0 || 1 || 0 || 2 || 1 || '''7'''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예선 3위) || || 0 || 2 || 0 || 0 || 1 || 0 || 0 || 2 || 0 || 0 || '''5''' || * 동메달 결정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0 || 0 || 1 || 0 || 2 || 0 || 0 || 2 || 0 || 1 || '''6'''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 0 || 2 || 0 || 1 || 0 || 1 || 0 || 0 || 1 || 0 || '''5''' || * 결승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 || 1 || 0 || 0 || 2 || 0 || 0 || 0 || 1 || 2 || X || '''6'''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0 || 1 || 0 || 0 || 2 || 0 || 0 || 0 || 0 || X || '''3''' || == 최종 메달리스트 == ||<-4>
{{{#white 최종 메달리스트}}} ||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 남자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br] [[캐나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br] [[영국]]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br] [[스웨덴]] || || {{{-2 브래드 제이컵스[br]라이언 프라이[br]E.J. 한든[br]라이언 한든[br]케일럽 플랙시}}} || {{{-2 데이비드 머독[br]그렉 드루먼드[br]스콧 앤드류스[br]마이클 굿펠로[br]톰 브루스터}}} || {{{-2 [[니클라스 에딘]][br]세바스티안 크라우프[br]프레드릭 린드베리[br]빅토르 켈[br]오스카르 에릭손}}} || ||<|2> 여자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br] [[캐나다]]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br] [[스웨덴]]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br] [[영국]] || || {{{-2 [[제니퍼 존스]][br]케이틀린 로스[br]질 오피서[br]던 맥윈[br]커스틴 월}}} || {{{-2 마르가레타 시그프리드손[br]마리아 프뤼츠[br]크리스티나 베르트루프[br]마리아 베네르스트륌[br]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 {{{-2 [[이브 뮤어헤드]][br]애나 슬로안[br]비키 애덤스[br]클레어 해밀턴[br]로렌 그레이}}} || == 기타 == * 여자부 예선 영국과 미국 경기에서 4엔드에 영국이 7득점을 하면서 올림픽 컬링 사상 1엔드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이론상 컬링에서 1엔드에 기록할 수 있는 최다득점은 8점인데,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에서도 [[2021 세계컬링선수권대회|2021년 여자 세계선수권]]에서 1차례[* 스위스과 덴마크 예선전] 나왔을 정도로 희귀한 기록이다. [[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분류:동계올림픽/컬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