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 [목차] == 개요 == 이 조에 속한 팀은 다음과 같다. * 톱시드 : '''크로아티아'''(FIFA 월드컵 최고기록 1998년 3위) * 2번 시드 : 세르비아(FIFA 월드컵 최고기록 2006년/2010년 1라운드) * 3번 시드 : 벨기에(FIFA 월드컵 최고기록 1986년 4위) * 4번 시드 : 스코틀랜드(FIFA 월드컵 최고기록 1954년/1958년/1974~1990년/1998년 1라운드) * 5번 시드 : 마케도니아 * 6번 시드 : 웨일스(FIFA 월드컵 최고기록 1958년 8강)[* 다음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UEFA 유로 2016|유로 2016]] 예선 등의 A매치에서 선전해 피파랭킹이 많이 상승해 무려 1번 시드까지 올라간다! 그래서 절대적 강팀이 없는 고만고만한 팀들이 모인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유럽)/D조|꿀조]]에 배정되었지만 세르비아와 아일랜드에 밀려 또다시 광탈하고 만다..] 당초 [[벨기에]],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의 3강으로 압축될 것이라 예상이 되었는데 세르비아는 망했고 벨기에 - 크로아티아의 양강으로 압축되었다. 이 때문에 조 꼴찌였던 스코틀랜드는 2013년 3월 26일 세르비아와의 경기에서 0-2로 패하면서 지역예선 탈락을 확정지었다. == 최종 순위 == || 순위 ||<-2>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벨기에]] || 10 || 8 || 2 || 0 || 18 || 4 || +14 || 26 || 본선 직행 확정 || || 2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크로아티아]] || 10 || 5 || 2 || 3 || 12 || 9 || +3 || 17 || 플레이오프 진출 || ||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세르비아]] || 10 || 4 || 2 || 4 || 15 || 10 || +5 || 14 || 탈락 확정 || || 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스코틀랜드]] || 10 || 3 || 2 || 5 || 8 || 12 || -4 || 11 || 탈락 확정 || || 5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웨일스]] || 10 || 3 || 1 || 6 || 9 || 20 || -11 || 10 || 탈락 확정 || || 6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30]]||[[북마케도니아|마케도니아]] || 10 || 2 || 1 || 7 || 7 || 16 || -9 || 7 || 탈락 확정 || == 경기 == === 1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2-9-7 : UTC-1 || 웨일스 || 0-2 (0-1) || 벨기에 || {{{#ff0066 '''원'''}}} || 카디프 || || 2012-9-7 : UTC-2 || 크로아티아 || 1-0 (0-0) || 마케도니아 || {{{#6600ff '''홈'''}}} || 자그레브 || || 2012-9-8 : UTC-1 || 스코틀랜드 || 0-0 || 세르비아 || {{{#orange '''무'''}}} || 글래스고 || === 2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2-9-11 : UTC-2 || 벨기에 || 1-1 (1-1) || 크로아티아 || {{{#orange '''무'''}}} || 브뤼셀 || || 2012-9-11 : UTC-1 || 스코틀랜드 || 1-1 (1-1) || 마케도니아 || {{{#orange '''무'''}}} || 글래스고 || || 2012-9-11 : UTC-2 || 세르비아 || 6-1 (3-1) || 웨일즈 || {{{#6600ff '''홈'''}}} || 노비사드 || === 3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2-10-12 : UTC-2 || 마케도니아 || 1-2 (1-1) || 크로아티아 || {{{#ff0066 '''원'''}}} || 스코페 || || 2012-10-12 : UTC-2 || 세르비아 || 0-3 (-) || 벨기에 || {{{#ff0066 '''원'''}}} || 베오그라드 || || 2012-10-12 : UTC-1 || 웨일스 || 2-1 (1-0) || 스코틀랜드 || {{{#6600ff '''홈'''}}} || 카디프 || === 4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2-10-16 : UTC-2 || 벨기에 || 2-0 (0-0) || 스코틀랜드 || {{{#6600ff '''홈'''}}} || 브뤼셀 || || 2012-10-16 : UTC-2 || 크로아티아 || 2-0 (1-0) || 웨일스 || {{{#6600ff '''홈'''}}} || 오시예크 || || 2012-10-16 : UTC-2 || 마케도니아 || 1-0 (0-0) || 세르비아 || {{{#6600ff '''홈'''}}} || 스코페 || === 5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3-22 : UTC-1 || 크로아티아 || 2-0 (1-0) || 세르비아 || {{{#6600ff '''홈'''}}} || 자그레브 || || 2013-3-22 : UTC-1 || 마케도니아 || 0-2 (0-1) || 벨기에 || {{{#ff0066 '''원'''}}} || 스코페 || || 2013-3-22 : UTC-0 || 스코틀랜드 || 1-2 (1-0) || 웨일스 || {{{#ff0066 '''원'''}}} || 글래스고 || === 6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3-26 : UTC-1 || 벨기에 || 1-0 (0-0) || 마케도니아 || {{{#6600ff '''홈'''}}} || 브뤼셀 || || 2013-3-26 : UTC-1 || 세르비아 || 2-0 (0-0) || 스코틀랜드 || {{{#6600ff '''홈'''}}} || 노비사드 || || 2013-3-26 : UTC-1 || 웨일스 || 1-2 (1-0) || 크로아티아 || {{{#ff0066 '''원'''}}} || 스완지 || 이걸로 스코틀랜드는 지역예선 탈락이 확정되었다. 남은 경기가 4경기인데 0승 상태인 스코틀랜드는 다 이겨봤자 4승이고 벨기에와 크로아티아는 다 패해도 5승이다. 아무리 잘해봤자 3등이니 결국 탈락이 확정된 것이다. === 7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6-7 : UTC- || 벨기에 || 2-1 (1-0) || 세르비아 || {{{#6600ff '''홈'''}}} || 브뤼셀 || || 2013-6-7 : UTC- || 크로아티아 || 0-1 (0-1) || 스코틀랜드 || {{{#ff0066 '''원'''}}} || 자그레브 || 세르비아는 벨기에에게 패배하면서 본선 직행이 좌절됐다. 그나마 탈락 확정된 스코틀랜드가 크로아티아에게 고춧가루를 뿌려주며 세르비아가 조 2위라도 노릴 수 있는 실낱같은 희망이 생기긴 했다만... === 8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9-6 : UTC- || 마케도니아 || 2-1 (1-1) || 웨일스 || {{{#6600ff '''홈'''}}} || 스코페 || || 2013-9-6 : UTC- || 스코틀랜드 || 0-2 (0-2) || 벨기에 || {{{#ff0066 '''원'''}}} || 글래스고 || || 2013-9-6 : UTC- || 세르비아 || 1-1 (1-1) || 크로아티아 || {{{#orange '''무'''}}} || 노비사드 || 희망이 도무지 보이지 않는 마케도니아와 웨일스의 [[단두대 매치]]가 예정되어 있다. 스코틀랜드가 벨기에한테도 고춧가루를 뿌려줄지도 관심거리. 세르비아는 크로아티아한테 지면 세르비아 자신은 물론이고 마케도니아와 웨일스까지 줄줄이 광탈크리 먹는다. 벨기에는 원정경기에서 승리하면서 본선직행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갔고, 웨일스는 마케도니아에세 원정에서 잡히면서 탈락확정, 크로아티아는 만주키치의 동점골로 비기면서 세르비아는 탈락확정, 크로아티아는 마케도니아를 제치고 플레이오프는 확정함. 그리고 벨기에는 피파랭킹 6등으로 상승. 본선에 직행하면 톱시드까지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2013년 9월 FIFA 랭킹 1위부터 8위[[http://www.fifa.com/worldranking/rankingtable/index.html|#]] || 등수 || 1 || 2 || 3 || 4 || 5 ||<#FFE400> '''6''' || 7 || 8 || || 국가 || 스페인 || 아르헨티나 || 독일 || 이탈리아 || 콜롬비아 ||<#FFE400> '''벨기에''' || 우루과이 || 브라질 || || 점수 || 1514 || 1263 || 1261 || 1199 || 1180 ||<#FFE400> '''1159''' || 1126 || 1067 || === 9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9-10 : UTC- || 마케도니아 || 1-2 (0-0) || 스코틀랜드 || {{{#ff0066 '''원'''}}} || 스코페 || || 2013-9-10 : UTC- || 웨일스 || 0-3 (0-2) || 세르비아 || {{{#ff0066 '''원'''}}} || 카디프 || 이미 탈락이 결정된 팀간의 경기였다. 원정팀들이 모두 승리한 것이 특기할만한 사항. === 10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10-11 : UTC- || 크로아티아 || 1-2 (0-2) || 벨기에 || {{{#ff0066 '''원'''}}} || 자그레브 || || 2013-10-11 : UTC- || 웨일스 || 1-0 (0-0) || 마케도니아 || {{{#6600ff '''홈'''}}} || 카디프 || 벨기에는 크로아티아 원정에서 [[로멜루 루카쿠]]가 터뜨린 2골에 힘입어 남은 1경기에 상관없이 2014 브라질 월드컵에 진출했다. 루카쿠는 일찌감치 두 골을 때려넣어 벨기에의 완승을 결정지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막판에 니코 크란차르가 만회골을 넣어 극장을 찍나 싶었으나 한 골을 먹고 난 벨기에가 정신을 바짝 차리고 우주방어를 펼쳐서 천금같은 1승을 챙기는 데에 성공했다. --벨기에의 FIFA 랭킹 올라가는 소리가 여기까지 들린다.-- === 11차전 === || 경기일시 || 홈팀 ||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장 || || 2013-10-15 : UTC- || 벨기에 || 1-1 (0-0) || 웨일스 || {{{#orange '''무'''}}} || 브뤼셀 || || 2013-10-15 : UTC- || 스코틀랜드 || 2-0 (1-0) || 크로아티아 || {{{#6600ff '''홈'''}}} || 글래스고 || || 2013-10-15 : UTC- || 세르비아 || 5-1 (3-0) || 마케도니아 || {{{#6600ff '''홈'''}}} || 야고디나 || == 플레이오프 == 최종 결과 2위를 차지한 크로아티아가 플레이오프 대상 팀이 되었다. 크로아티아가 상대하게 될 팀은 E조 2위인 아이슬란드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차전 : 아이슬란드 0-0 크로아티아 * 2차전 : '''크로아티아''' 2-0 아이슬란드 * 최종 결과: 합계 크로아티아 2-0 아이슬란드 .'''크로아티아 본선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