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1 '''2014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총선[br]Всеобщие выборы в Донец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е (2014)'''}}}}}} || ||<-5>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4년]] [[11월 2일]]}}}}}}'''2014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8년]] [[11월 11일]]}}}}}}[[2018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총선|2018 선거]] || }}}}}} || || {{{#4f0213 '''일정'''}}} ||<-4>2014년 11월 2일 || ||<-5> {{{#fff '''국가수반 선거 결과'''}}} || || '''후보''' ||<-2> [include(틀:도네츠크 공화국)][br]'''[[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알렉산드르[br]자하르첸코]]''' ||<-2> [include(틀:무소속)][br]'''알렉산드르[br]코프만''' || ||<|2> '''득표율'''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3afc9 78.9%, #222 78.9%, #222 88.5%, #808080 88.5%, #808080 100%)" }}} || ||<-2> '''76.69%''' ||<-2> 11.77% || || '''득표수''' ||<-2> '''765,340''' ||<-2> 111,024 || ||<-5>|| ||<-5> {{{#ffffff '''인민의회 선거 결과'''}}}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color: rgba(0, 0,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3afc9 calc(68*100%/100), #fde841 0%, #fde841 calc(100*100%/100))" }}} || ||<-5> || || '''정당''' || '''득표''' || '''득표율''' || '''총합''' || '''비율''' || || [include(틀:도네츠크 공화국)] || '''662,752표''' || '''68.35%''' || '''68석''' || '''68%''' || || [include(틀:자유 돈바스)] || 306,892표 || 31.65% || 32석 || 32% || ||<-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4년 11월 2일에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에서 시행한 초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제헌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선거이다. == 상세 == 선거인단 수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세 해당 선거를 대비해 320만 장의 투표용지를 준비했다고 한다. 원래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에서 공화국 재건을 이유로 11월 9일로 연기할 것을 요청했으나, 둘 다 11월 2일에 총선을 실시했다. 국가수반은 10년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영토에 거주한 30세 이상의 사람이어야 하며 공공 기관에서 후보자를 공천할 수 있다. [[http://itar-tass.com/en/world/753919|#]] 국가수반 임기는 4년이며 1,000명의 서명을 받아야 후보 등록이 가능하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원은 5년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영토에 거주한 21세 이상의 사람이어야 하며 전부 비례대표제로 실시된다. 인민의회 의원 임기 역시 4년이며 봉쇄조항은 5%이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통제 밖에 있는 미수복 영토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도 투표권이 부여됐으며 이들은 선거 며칠 전부터 여권 스캔 사본과 투표를 이메일로 보내고 전자 투표를 실시했다. [[https://www.reuters.com/article/us-ukraine-crisis-east-idUSKBN0IJ22G20141030|#]] 360개 이상의 투표소가 설치되었고 외국 국적의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는 이동식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었다. 투표소에서는 투표 독려 차원에서 식품을 싼 가격에 판매했다고 한다. 선거운동 기간동안 대부분의 홍보물은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후보의 것이었다. [[https://www.nytimes.com/2014/11/03/world/europe/rebel-backed-elections-in-eastern-ukraine.html?_r=0|#]] 이에 대해 유리 시보코넨코 후보는 본인이 자하르첸코 후보와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에 선거운동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https://www.nytimes.com/2014/11/03/world/europe/rebel-backed-elections-in-eastern-ukraine.html?_r=0|#]] 자하르첸코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의 미온적 태도로 인해 자하르첸코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의 존재감은 미미한 편이었다. 도네츠크 국립관리대학교에서 실시한 국가수반 선거 여론조사에 따르면 후보자별 지지율이 자하르첸코 52%, 시보코넨코 7%, 코프만 6%로 나타났다. [[http://sobesednik.ru/politika/20141028-chto-zhdat-ot-vyborov-dnr-i-lnr-2-noyabrya|#]]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출구조사를 주관한 바 있는 SOCIS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자하르첸코 51.3%, 시보코넨코 5.1%, 코프만 0.8%로 나타났다. [[http://www.mk.ru/politics/2014/10/30/dadut-li-novorossii-sdelat-vybor.html|#]] 도네츠크 국립관리대학교에서 실시한 인민의회 선거 여론조사에 따르면 정당별 지지율이 [[도네츠크 공화국]] 48%, [[자유 돈바스]] 11%로 나타났다. [[http://sobesednik.ru/politika/20141028-chto-zhdat-ot-vyborov-dnr-i-lnr-2-noyabrya|#]]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출구조사를 주관한 바 있는 SOCIS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도네츠크 공화국 39.1%, 자유 돈바스 31.6%로 나타났다. [[http://www.mk.ru/politics/2014/10/30/dadut-li-novorossii-sdelat-vybor.html|#]] == 참가 정당 == * [[도네츠크 공화국]] * [[자유 돈바스]] === 참가 실패 정당 === * [[노보로시야당]] 등 여타 정당[* 대부분이 창당대회를 개최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정당들의 당명과 지도부 등이 불분명하다.] - 창당대회 미개최, 제출 문서의 오류, 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 미공고 등의 사유로 참가가 불허되었다. [[파벨 구바레프]] 전 도네츠크 인민의 주지사, [[예카테리나 구바레바]] 전 외무부 장관은 [[자유 돈바스]]에 합류했다.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공산당]] - 청당이 승인된 유일한 정당이지만 제출한 문서에 오류가 너무 많아서 참가가 불허되었다. [[보리스 리트비노프]] 대표를 비롯한 세 명의 후보자가 [[도네츠크 공화국]]에 합류해 당선되었다. * 통합 러시아 - 러시아의 정당과 동명의 다른 단체로 보인다. [[https://www.rbc.ru/politics/30/10/2014/54511705cbb20f139df5ae6e|#]] 참가 실패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창당대회 미개최인 것으로 추정된다. == 선거 결과 == === 국가수반 선거 === ||<-4><:>[[도네츠크 인민공화국|{{{#ffffff {{{+1 '''2014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선거'''}}}}}}]] || ||<-2><:>'''이름''' ||<:>'''득표수''' ||<:>'''순위''' || ||<-2><:>'''정당''' ||<:>'''득표율''' ||<:>'''당락''' || ||<|2><:>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373a3c,#dddddd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765,340''' ||<:>'''1위''' || ||<:>[include(틀:도네츠크 공화국)] ||<:>'''76.69%''' || '''당선''' || ||<|2><:> ||<:>[[알렉산드르 코프만|{{{#373a3c,#dddddd 알렉산드르 코프만}}}]] ||<:>111,024 ||<:>2위 || ||<:>[include(틀:무소속)] ||<:>11.77% || 낙선 || ||<|2><:> ||<:>[[유리 시보코넨코|{{{#373a3c,#dddddd 유리 시보코넨코}}}]] ||<:>93,280 ||<:>3위 || ||<:>[include(틀:자유 돈바스)] ||<:>9.62%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A 미수복 영토 거주자, 난민, 민병대원 등 광범위한 대상에 투표권을 부여해서 정확한 선거인 수를 알 수 없다.] ||<|3><:>'''투표율'''[br]-[*A] || ||<:>'''투표 수''' || 969,644 || ||<:>'''무효표 수''' || 43,038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선거 === ||<-3><:>{{{+1 '''2014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선거'''}}}|| ||<:>'''정당'''||<:>[include(틀:도네츠크 공화국)]||<:>[include(틀:자유 돈바스)]|| ||<:>'''선거 결과'''|| 68석 || 32석 || ||<:>'''의석 득실'''|| - || - || ||<:>'''득표수'''|| 662,752표 || 306,892표 || ||<:>'''득표율'''|| 68.35% || 31.65% || ||<:>'''투표 수''' ||<-2> 969,644 || ||<:>'''무효표 수''' ||<-2> 43,038 || == 기타 == * [[러시아]] 측에서는 해당 선거가 [[민스크 협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으나 [[http://en.interfax.com.ua/news/general/238216.html|#]]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해당 선거가 민스크 협정 위반이라고 반발했고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은 두 지역에 특별 지위를 부여하는 법안을 폐기하라고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에 요청했다. [[https://www.reuters.com/article/us-ukraine-crisis-rebels-idUSKBN0IP0OB20141105|#]] [[분류:2014년 선거]][[분류: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