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의 주요선거)] ||<-5> {{{#ffffff {{{+1 '''2014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 || ||<-5>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2년]] [[10월 28일]]}}}}}}[[2012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2012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4년]] [[10월 26일]]}}}}}}'''2014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9년]] [[7월 21일]]}}}}}}[[2019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2019 선거]] || }}}}}} || || {{{#131eb6,#4436d2 '''일정'''}}} ||<-4>10월 26일 || || {{{#131eb6,#4436d2 '''투표율'''}}} ||51.91%{{{-3 [[2012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blue,#0000ff ▼ 6.08%p}}}]]}}}|| ||<-5> {{{#ffffff '''선거 결과'''}}} || ||<-5> [[파일:2014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 결과.svg|width=100%]] || ||<-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4년에 실시된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 == 배경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이라는 혼란스러운 정국 속에서 실시된 [[201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는 [[페트로 포로셴코]]가 과반을 득표하여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포로셴코는 친러 의원이 다수를 차지하는 의회의 상황을 파악하고 8월 25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 해산과 조기 총선 실시를 요청했다. 그리고 10월 26일 조기 총선일이 다가온다. == 선거 결과 == ||<-2> '''{{{#131eb6 일정 및 투표율}}}''' || || '''{{{#fff 일정}}}''' || [[2014년]] [[10월 26일]] || || '''{{{#fff 투표율}}}''' || 51.91% || ||<-7> {{{#131eb6 '''전국 결과''' [br] {{{-1 (선출의석: 450석 / 과반의석: 226석)[* 실질 선출 의석은 423석]}}}}}} || ||<-7> '''{{{#fff 주요 정당 의석}}}''' ||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례대표 의석''' || '''소선거구 의석''' ||<-2> '''의석''' || || [[인민전선(우크라이나)|{{{#fff '''인민전선'''}}}]] || 3,488,114 || 22.14% || 64석 || 18석 || 82석 || '''{{{-3 {{{#red ▲82석}}}}}}''' || || [[유럽연대|{{{#fff '''페트로 프로셴코 블록'''}}}]] || 3,437,521 || 21.82% || 63석 || 69석 || 132석 || '''{{{-3 {{{#red ▲132석}}}}}}''' || || [[자립(정당)|{{{#fff '''자립'''}}}]] || 1,729,271 || 10.97% || 32석 || 1석 || 33석 || '''{{{-3 {{{#red ▲33석}}}}}}''' || || [[야권전선(2014년)|{{{#fff '''야권전선'''}}}]] || 1,486,203 || 9.43% || 27석 || 2석 || 29석 || '''{{{-3 {{{#red ▲29석}}}}}}''' || || [[올레흐 라슈코의 급진당|{{{#fff '''급진당'''}}}]] || 1,173,131 || 7.44% || 22석 || 0석 || 22석 || '''{{{-3 {{{#red ▲21석}}}}}}''' || || [[전우크라이나 연합 "조국"|{{{#fff '''조국'''}}}]] || 894,837 || 5.68% || 17석 || 2석 || 19석 || '''{{{-3 {{{#blue,#6378ff ▼82석}}}}}}''' || || [[자유당(우크라이나)|{{{#ffbc00 '''자유당'''}}}]] || 742,022 || 4.71% || 0석 || 6석 || 6석 || '''{{{-3 {{{#blue,#6378ff ▼31석}}}}}}''' || || [[우크라이나 공산당|{{{#fff '''공산당'''}}}]] || 611,923 || 3.88% || 0석 || 0석 || 0석 || '''{{{-3 {{{#blue,#6378ff ▼32석}}}}}}''' || || [[강한 우크라이나|{{{#000 '''강한 우크라이나'''}}}]] || 491,471 || 3.11% || 0석 || 1석 || 1석 || '''{{{-3 {{{#red ▲1석}}}}}}''' || || [[스페이드(정당)|{{{#fff '''스페이드'''}}}]] || 418,301 || 2.65% || 0석 || 1석 || 1석 || '''{{{-3 {{{#red ▲1석}}}}}}''' || || [[프라비 섹토르|{{{#1f1a17 '''우익 섹터'''}}}]] || 284.943 || 1.80% || 0석 || 1석 || 1석 || '''{{{-3 {{{#red ▲1석}}}}}}''' || || [[자유(우크라이나)|{{{#000 '''자유'''}}}]] || [* 자립과 공동 비례명부를 구성함.] || || 0석 || 1석 || 1석 || '''{{{-3 {{{#red ▲1석}}}}}}''' || || [[무소속|{{{#fff '''무소속'''}}}]] || || || 0석 || 96석 || 96석 || '''{{{-3 {{{#red ▲53석}}}}}}''' || [[돈바스 전쟁]]으로 인해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크림 자치 공화국]]에 할당된 지역구 의석을 선출하지 않은 최초의 최고 라다 선거이다. 선거 결과 19석으로 폭망한 [[전우크라이나 연합 "조국"|조국당]]을 제외한 친서방-중도 성향 정당들이 대거 승리하였고, 친러 성향 신당인 [[야권전선(2014년)|야권전선]]은 봉쇄조항(5%)을 넘지 못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보다는 선전, 29석을 확보했다. 극우 [[자유당(우크라이나)|자유당]]은 봉쇄조항에 미달하며 지역구 6석의 군소 정당으로 전락했고, 친러 [[우크라이나 공산당]]은 아예 원외로 전락했다. [[분류:2014년 선거]][[분류:우크라이나의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