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 개정 교육과정]][[분류:과학 교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 rd1=2009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 과학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을 계승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 rd1=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시스템과학, other2=또 다른 계승 과목, rd2=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행성우주과학)] ||{{{-1 이 문서는 '''교과''' 문서입니다. 교과는 단순히 [[시험]] 상의 선택 과목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문항 관련 트렌드나 콘텐츠([[EBSi]] 연계 교재 등)에 대해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Ⅱ]]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해당 문단 편집 시 유의 바랍니다.}}} || [include(틀: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목차] == 개요 ==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지구과학Ⅱ에 관한 문서. == 단원 == === Ⅰ. 고체 지구 === ==== 지구의 형성과 역장 ==== *학습 요소: 원시 지구의 형성, 미행성체, 지구 내부 에너지, 방사성 원소, 지진파(P파, S파), 실체파와 표면파, 주시 곡선, 지구 내부 구조, 지구 중력 분포, 중력 이상, 지각평형설, 지구 자기장, 지자기, 다이나모 이론 * 원시 태양계 성운에서 지구가 형성되는 물리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지구 내부 에너지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지진파를 이용하여 지구의 내부 구조를 알아내는 과정과 지각의 두께 차이를 지각평형설로 설명할 수 있다. * 표준 중력의 의미를 이해하고 중력 이상의 다양한 요인들을 설명할 수 있다. *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과 특성 및 자기장의 변화를 이해한다. ==== 지구 구성 물질과 자원 ==== *학습 요소: 규산염 광물, 광물 식별, 편광 현미경, 암석의 조직, 광상, 광물의 활용, 암석의 활용, 토양 자원, 자원 탐사, 지구의 자원 * 규산염 광물의 구조를 통해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설명하고 광물을 구분할 수 있다. *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주요 광물을 식별하고 광물의 조직과 생성의 선후 관계 등을 해석하여 암석의 형성 환경을 유추할 수 있다. * 화성, 변성, 퇴적 작용을 통해 광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광물과 암석이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는 예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와 물질 자원의 종류와 분포를 알고, 이를 활용하는 사례와 자원 개발의 중요성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한반도의 지질 ==== *학습 요소: 지질도, 지질도의 기본 요소, 지질 구조, 한반도의 지사, 한반도의 판구조 환경, 변성암, 광역 변성, 접촉 변성, 변성 환경 * 지질도에 사용되는 기본 기호를 통해 암석의 종류와 지질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 한반도의 지질 자료를 통해 한반도의 지사를 설명할 수 있다. * 한반도 지질의 구조적인 특징 자료 분석을 통해 한반도 주변의 판구조 환경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한반도의 기반을 이루는 선캄브리아 변성암 복합체를 통해 광역 변성 작용을, 중생대 화성 활동과 주변 퇴적암의 관계를 통해 접촉 변성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 Ⅱ. 대기와 해양 === ==== 해수의 운동과 순환 ==== *학습 요소: 정역학 평형, 전향력, 수압 경도력, 지형류, 에크만 수송, 서안 경계류, 동안 경계류, 서안 강화 현상, 천해파, 심해파, 풍랑, 너울, 쓰나미, 폭풍 해일, 조석, 기조력 * 정역학 평형을 이용하여 수압의 연직 분포 및 해수를 움직이는 힘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에크만 수송과 연계하여 지형류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서안 경계류와 동안 경계류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해파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천해파와 심해파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해일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원인을 이해하고, 피해 사례와 대처 방안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조석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자료 해석을 통해 각 지역에서의 조석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 대기의 운동과 순환 ==== *학습 요소: 단열 변화, 상승 응결 고도, 푄현상(높새바람), 대기 안정도, 구름의 발생, 단열선도, 대기의 정역학, 정역학 평형,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 편서풍 파동, 제트류, 대기 운동의 규모, 대기 대순환의 구조 * 단열 변화의 과정을 이해하고, 건조 단열 변화와 습윤 단열 변화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 대기의 상태와 안정도의 관계를 이해하고, 안개 및 구름의 발생 원리와 유형을 추론할 수 있다. * 정역학 평형을 이용하여 대기압의 연직 분포 및 대기를 움직이는 힘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의 발생 원리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편서풍 파동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지어 지상 고,저기압의 발생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대기의 운동을 시간적, 공간적 규모에 따라 구분하고, 지구적 순환의 관점에서 대기 대순환을 설명할 수 있다. === Ⅲ. 우주 === ==== 행성의 운동 ==== *학습 요소: 좌표계, 내행성의 순행과 역행, 우주관의 변천, 지구중심설, 태양중심설, 회합 주기, 행성의 공전 주기,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타원 궤도의 법칙,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 조화의 법칙), 쌍성계의 질량 * 천체의 위치 변화를 지평 좌표와 적도 좌표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 내행성과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비교하고 지구중심설과 태양중심설로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 지구중심설과 태양중심설 중 금성의 위상과 크기 변화 관측 사실에 부합하는 태양계 모형을 찾을 수 있다. * 회합 주기를 이용하여 공전 주기를 구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겉보기 운동 자료로부터 행성의 궤도 반경을 구할 수 있다. *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을 이용하여 행성의 운동을 이해하고 쌍성계 등의 다른 천체에 적용할 수 있다. ==== 우리은하와 우주의 구조 ==== *학습 요소: 세페이드 변광성, 천체의 거리, 우리은하의 구조, 산개 성단, 구상 성단, C-M도, 21cm 수소선과 나선 구조, 우리은하의 질량 분포, 우리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 별들의 공간 운동, 성간 물질, 은하군, 은하단, 우주의 거대 구조 * 성단의 색등급도(C-M도)를 이용한 주계열 맞추기 및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천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 우리은하의 구성원인 산개 성단과 구상 성단의 특징을 알고 이들의 공간 분포를 통해 우리은하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성간 티끌에 의한 별빛의 소광 및 적외선 관측 등을 통해 성간 티끌과 성간 기체가 존재함을 설명할 수 있다. * 21cm 수소선 관측 결과로부터 은하의 나선팔 구조를 알아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우리은하의 속도 곡선을 이용하여 우리은하의 질량과 빛을 내지 않는 물질이 존재함을 설명할 수 있다. * 은하들이 은하군, 은하단, 초은하단으로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우리은하가 국부은하군의 중심 은하임을 안다. * 은하 장성과 보이드 등 대규모 구조를 통해 우주의 전반적인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 변화 == * 지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지구과학 인기가 치솟자 교수님들이 춤을 추며 개편한 듯 하다. 전반적으로 지난 지구과학Ⅱ를 Ⅰ, Ⅱ로 양분시키고 난도를 급상승시켰다(지난 화학이 이러했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어라]]'를 실현한 셈. 특히 정량적인 개념을 강화한 게 특징인데 풍속과 유속 계산법은 일단 유지되며, 여기에 공전 궤도 반지름, 성간 소광량 계산법이 추가되고, 지각층 계산법, 은하의 회전 속력이 강화되었다. [[케플러 법칙]]도 지구과학Ⅱ로 올라오면서 정량적으로 심화되었다. * [[지구물리학]]과 [[천체물리학]]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물리학Ⅱ와 시너지가 가장 좋으나 애초에 두 과목을 함께 하는 사람이 사막에서 바늘 찾기이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6C1; font-size: 0.9em" {{{#white '''지구과학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9em" {{{#white '''지구과학Ⅱ'''}}}}}} : 행성의 운동 파트, [[천구]], [[좌표계]], [[천체물리학]] 파트[* 기존에 Ⅰ 과정에서만 접할 수 있었던 행성의 운동 파트가 최초로 Ⅱ과정으로 올라왔다. [[천구 좌표계]]가 Ⅰ과정으로부터 올라왔는데 사실상 이건 기존 Ⅱ 과정에 있던 내용이 다시 복귀된 것이다. 복귀되면서 기존 Ⅱ 과정에 있던 내용과 융합적으로 서술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9em" {{{#white '''지구과학Ⅱ'''}}}}}}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6C1; font-size: 0.9em" {{{#white '''지구과학Ⅰ'''}}}}}} : [[항성]] 과학, 외계 은하, [[허블]] 은하론, [[우주 배경 복사]], [[빅뱅 우주론]], 고지자기, 지질 구조의 생성 과정, 지사학의 법칙, 지질 시대의 환경[* Ⅱ 과정으로부터 [[항성]] 과학, 외계 은하, [[허블]] 은하론, [[우주 배경 복사]], [[빅뱅 우주론]] 등과 같은 내용들이 Ⅰ 과정으로 내려갔다. 그리고 지질학 파트에서도 고지자기, 지질 구조의 생성 과정, 지사학의 법칙, 지질 시대의 환경 등이 다수 내려갔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d; font-size: 0.9em" {{{#000 '''중학교 과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9em" {{{#white '''지구과학Ⅱ'''}}}}}} : [[지진파]], 지구 층상구조 * [[천체물리학]] 파트는 교육과정 최초로 Ⅱ 과정에서만 다루게 되었다. 원래 내행성, 외행성 운동 파트만큼은 Ⅰ 과정에 남겨 놓는 것이 불문율이었다. * [[해파]]와 [[지진파]], [[바람]] 파트는 [[물리학Ⅰ]]의 '파동의 굴절', '역학적 에너지' 등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천문학]] 파트는 [[기하(교과)|기하]]의 '공간좌표', [[물리학Ⅰ]]의 '자성', '전자기파', [[물리학Ⅱ]]의 '천체의 운동', '[[케플러 법칙]]', '[[만유인력]]', '[[도플러 효과]]' 등을 알아두면 도움이 많이 된다. * 공전 궤도를 작도하는 순수 [[기하학]] 파트도 들어왔고, 회전 속도 파트에는 직접 그래프를 그리는 기하적 역량을 요구한다. 과장을 보태자면 이론물리학 같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때문에 [[기하(교과)|기하]], [[물리학Ⅰ]], [[물리학Ⅱ]]와 연계 되는 부분이 짙어졌다. 물론 3개의 과목을 완벽히 마스터해야만 배울 수 있는 건 아니다. 단지, 증명을 원하는 학생 입장에서는 배우면서 찜찜할 수 있다. * 물화생 Ⅱ 과목은 모두 하향되었으나, 지Ⅱ는 Ⅰ과 양분되면서 몹시 어려워졌다. 특히 천문학 파트는 우리나라 지구과학 과목의 본 고장이라는 [[일본]]을 넘어선 듯 하다. * 정밀하게 정리된 [[https://cafe.naver.com/pnmath/2011549|이전 vs 개정 지구과학 비교글 (포만한)]]을 참조하면 좋다. == 여담 ==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그 이후에서도 [[상대평가]] 선택 과목으로 지정되었다. 원래 이 시기 교육 개편안에서는 과학Ⅱ와 [[기하(교과)|기하]]를 진로선택과목로 분류한다는 명목으로 모조리 제외시키려고 했으나 이공계의 강력한 반발로 무산되었다. * 수능에 관한 서술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Ⅱ]] 문서를 참조. * 과목에 대한 수요가 저조한 상황이라(그냥 저조한 정도가 아니라 수요가 절망적으로 없는 상황이다...) 거의 모든 출판사, 심지어 [[EBSi]]에서조차 수능시리즈 ([[수능개념]], [[수능특강]], [[수능완성]])를 제외하고는 [[참고서]] 출판을 하지 않을듯 하였으나 2019년 5월 말에 [[비상교육]] [[완자(문제집)|완자]]에서 '''모든 Ⅱ과목'''을 최초로 시판하기 시작했다. [[미래엔]] '1등급 만들기 문제집'에서도 모든 Ⅱ과목을 시판하였다. 2019년 11월경엔 [[HIGH TOP]]에서도 모든 Ⅱ 과목을 내놓았다. 그리고 EBS에서도 '개념완성' Ⅱ과목을 시판하였으며 기출문제집도 [[마더텅]]에서 기존에 내던 [[생명과학Ⅱ]]에 2020년부터 [[지구과학Ⅱ]], 21년부터 [[물리학Ⅱ]]와 [[화학Ⅱ]]를 출간하며 17개 모든 탐구 기출문제집을 출판하기 시작했다. 그로 인해 이전 교육과정 세대보다 Ⅱ과목 내신 학습이 한결 수월해졌다. (특히 [[화학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구과학Ⅱ, version=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