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여자))] [include(틀: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 [목차] == 개요 == ||<-11>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본선 F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캐나다]] || 3 || 3 || 0 || 0 || 7 || 2 || +5 || 9 || || 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독일]] || 3 || 1 || 1 || 1 || 9 || 5 || +4 || 4 || || 3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호주]] || 3 || 1 || 1 || 1 || 8 || 5 || +3 || 4 || || 4 || [[파일:external/img.fifa.com/ZIM.png|width=30]] || [[짐바브웨]] || 3 || 0 || 0 || 3 || 3 || 15 || -12 || 0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여자 축구 F조의 결과 및 내용을 소개하는 문서. == 1경기 : 캐나다 2 VS 0 호주 == || 경기장 ||<-2> 브라질 상파울루 - 아레나 코린치안스 || || 경기일 ||<-2> 2016년 8월 3일 15:00 (현지시각) || || 국 가 || '''캐나다''' || 호주 || || 득 점 || '''2''' || 0 || || 득점자|| 제닌 베키 (1') [br] [[크리스틴 싱클레어]] (80') || || == 2경기 : 짐바브웨 1 VS 6 독일 == || 경기장 ||<-2> 브라질 상파울루 - 아레나 코린치안스 || || 경기일 ||<-2> 2016년 8월 3일 18:00 (현지시각) || || 국 가 || 짐바브웨 || '''독일''' || || 득 점 || 1 || '''6''' || || 득점자|| 쿠다콰세 바소포 (50') || 자라 데브리츠 (22') [br] [[알렉산드라 폽]] (36') [br] 멜라니 베링거 (53', 78') [br] 멜라니 로이폴츠 (83') [br] 유니스 치반다 (90', [[자책골]]) || == 3경기 : 캐나다 3 VS 1 짐바브웨 == || 경기장 ||<-2> 브라질 상파울루 - 아레나 코린치안스 || || 경기일 ||<-2> 2016년 8월 6일 15:00 (현지시각) || || 국가 || '''캐나다''' || 짐바브웨 || || 득점 || '''3''' || 1 || || 득점자|| [[재닌 베키]] (7', 35') [br] [[크리스틴 싱클레어]] (19', [[페널티킥]]) || 마비스 치란두 (86') || == 4경기 : 독일 2 VS 2 호주 == || 경기장 ||<-2> 브라질 상파울루 - 아레나 코린치안스 || || 경기일 ||<-2> 2016년 8월 6일 18:00 (현지시각) || || 국 가 || 독일 || 호주 || || 득 점 || 2 || 2 || || 득점자|| 자라 데브리츠 (45+2') [br] 자스키아 바르투지아크 (88') || [[서맨사 커]] (6') [br] 케이틀린 포드 (45') || == 5-1경기 : 독일 1 VS 2 캐나다 == || 경기장 ||<-2> 브라질 브라질리아 - 이스타지우 마네 가린샤 || || 경기일 ||<-2> 2016년 8월 9일 16:00 (현지시각) || || 국 가 || 독일 || '''캐나다''' || || 득 점 || 1 || '''2''' || || 득점자|| 멜라니 베링거 (13', [[페널티킥]]) || 멜리사 탱크레디 (26', 60') || == 5-2경기 : 호주 6 VS 1 짐바브웨 == || 경기장 ||<-2> 브라질 살바도르 - 아레나 폰치 노바 || || 경기일 ||<-2> 2016년 8월 9일 16:00 (현지시각) || || 국 가 || '''호주''' || 짐바브웨 || || 득 점 || '''6''' || 1 || || 득점자|| 리사 디 배나 (2') [br] 클레어 폴킹혼 (15') [br] 엘래나 케네디 (37') [br] 카이아 사이먼 (50') [br] 미셸 헤이먼 (55', 60') || 에마큘레이트 음시파 (90+1') || == 총평 == 지난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수상했던 여자 축구 강호 캐나다는 이번 대회에서도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했다. 1차전에서 아시아 대표 호주를 2 : 0으로 제압한 뒤 2차전 아프리카의 처녀 출전국 짐바브웨를 3 : 1로 꺾으며 2연승으로 일찌감치 토너먼트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3차전에선 여자 축구 강국이자 조 1위 경쟁자로 유력했던 독일마저도 2 : 1로 격파하며 깔끔하게 3연승으로 통과했다. 한편 [[2000 시드니 올림픽]]~[[2008 북경 올림픽]]까지 3회 연속으로 동메달을 수상했으나 지난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충격적인 지역예선 탈락을 했던 독일은 8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리그에서 썩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1차전에서 아프리카의 처녀 출전국 짐바브웨를 6 : 1로 크게 이긴 것까진 좋았으나 2차전 호주와의 경기에선 먼저 2골을 내주며 끌려다니다가 간신히 따라붙어 2 : 2 무승부를 거두었고 3차전 캐나다와의 경기에선 먼저 골을 넣고도 지키지 못해 1 : 2 역전패를 당했다. 그리하여 1승 1무 1패를 기록해 호주와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 득실에서 1골이 앞서 간신히 조 2위로 토너먼트에 직행할 수 있었다. 아시아 대표 호주는 1차전에서 캐나다에 0 : 2로 패배하며 어려운 출발을 했다. 2차전 독일과의 경기에선 의외로 먼저 2골을 넣고 앞서가며 선전했으나 뒷심 부족으로 잇달아 실점하며 2 : 2 무승부에 그쳤다. 마지막 경기에서 아프리카 처녀 출전국 짐바브웨를 6 : 1로 털어 1승 1무 1패를 기록해 독일과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 득실에서 1골이 모자라 조 3위로 밀려났다. 그러나 조 3위 팀 간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해 8강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하여 아시아 대표로 출전한 중국과 호주 모두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하게 되었다. 한편, 이번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한 짐바브웨는 혹독한 데뷔전을 치렀다. 1차전 우승후보 독일을 상대로 1 : 6 대패를 당한 것을 시작으로 2차전에서도 캐나다를 상대로 1 : 3 패배를 당했고 마지막 호주와의 경기에서도 1 : 6 대패를 당해 3전 전패, 3득점 15실점을 기록했다. 매 경기마다 1골씩이라도 득점을 하며 선전했으나 기본적인 실력 부족을 넘어설 순 없었다. 어려운 경제 사정에 어렵게 지역 예선을 뚫고 본선에 올라왔건만 상대들이 짐바브웨가 맞서기엔 너무도 벅찬 상대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