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JL 역대 대회)] ---- ||<-6> '''역대 LJ League 일람''' || || SANKO || || 라이엇 일본 || || 미정 || || [[2015 LoL Japan League Season 2]] || {{{+1 ←}}} || '''2016 LoL Japan League Spring Season''' || {{{+1 →}}} || 2016 LoL Japan League Summer Season || [목차] == 개요 == * 우승팀 : Detonation FocusMe * 준우승팀 : Rampage * 리그 기간 : 2016년 1월 17일 ~ 4월 10일 * 개막전 : 도쿄 아키바 UDX 2층 * 상금 규모: ? * 특이사항 * 2016 [[LJ League]]의 첫번째 시즌 * 3판 2승, 5판 3승으로 완전히 바뀐다. * 모든 경기가 [[https://www.youtube.com/channel/UCiN3B0QRdL4wn1TMJ_cJyMQ|유튜브]]에 올라온다. * 라이엇이 주관한다. == 참가팀 정보 == * 7th heaven * [[DetonatioN FocusMe]] * [[Rascal Jester]] * [[PENTAGRAM(LJL)|Rampage]] * Team BlackEye * Unsold Stuff Gaming == 리그의 진행 == === Survival match === 7th heaven과 Rabbit Five의 통합, 그리고 Apex R Gaming의 해체로 취소되었다. 정확히는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s-4.2.4|ApeX R Gaming의 해체]]로 인해 LJL 1부 리그의 여섯자리에서 한 자리의 공석이 생기게 되었고, 그 빈자리를 CT(Challangers Tournament)를 통해 채우고자 하였는데 LJL CT의 참가자격은 5인으로 구성된 팀, 즉 아무나 참가할 수 있었다. 원래는 우승자를 가려서 기존 5팀 + Apex R Gaming을 대체할 CT우승팀의 조합으로 2016년 LJL을 운영할 방침이었으나 CT진행 도중, 라이엇 재팬설립과 함께 2016년 LJL부터 리그의 운영의 주도권이 라이엇 재팬으로 넘어가면서[* 이전 까지는 SANKO라는 사기업에서 운영하였다.] LCK와 같이 하나의 게임단에서 1팀만 참가하도록 제한조치가 생겼다. 이로 인해 데토네이션은 Rabbit Five를 포기할 수 밖에 없게 되었고 이를 7th heaven에서 인수・합병하면서 LJL에 추가로 공석이 생기자 CT 결승전을 취소, 결승 진출 두 팀을 공동 우승처리해 2016 LJL 참가팀을 확정짓게 되었다. 참고로 CT 우승팀은 USG(Unsold Stuff Gaming)과 Team Kamikaze[* 우리가 흔히 아는 그 자살특공대가 아닌, 여몽연합군을 수장시킨 태풍을 의미한다고 한다. 추후 Team BlackEye의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으로 합병되어 팀명이 Team BlackEye로 변경되었다.]이다. === 토너먼트 === || 순위 || 팀명 || '''승패''' || || 1 || DetonatioN FocusMe || '''10-0''' || || 2 || Unsold Stuff Gaming || '''6-4''' || || 3 || Rampage || '''6-4''' || || 4 || 7th heaven || '''5-5''' || || 5 || Rascal Jester || '''3-7''' || || 6 || Team BlackEye || '''0-10''' || ==== 1주차 ==== ||<-5> 1주차 (2016. 01. 17)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7th heaven || 2 || 1 || Unsold Stuff Gaming || || Rascal Jester || 2 || 0 || Team BlackEye || || Detonation FM || 2 || 0 || Rampage || 시즌의 첫 경기이자 개막전인 7h vs USG 첫 경기는 7h가 승리. 그 다음은 USG가 승리. 그 후 7h가 승리. ==== 2주차 ==== ||<-5> 2주차 (2016. 01. 20-23)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Rampage || 2 || 0 || Rascal Jester || || 7th heaven || 0 || 2 || DetonatioN FM || || Team BlackEye || 0 || 2 || Unsold Stuff Gaming || ==== 3주차 ==== ||<-5> 3주차 (2016. 01. 27 - 2016. 01. 30)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Unsold Stuff Gaming || 1 || 2 || DetonatioN FocusMe || || Team BlackEye || 0 || 2 || Rampage || || Rascal Jester || 2 || 1 || 7th heaven || ==== 4주차 ==== ||<-5> 4주차 (2016. 02. 3-6)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Team BlackEye || 0 || 2 || DetonatioN FocusMe || || Rascal Jester || 0 || 2 || Unsold Stuff Gaming || || 7th heaven || 1 || 2 || Rampage || ==== 5주차 ==== ||<-5> 5주차 (2016. 02. 10-13)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DetonatioN FocusMe || 2 || 0 || Rascal Jester || || Team BlackEye || 0 || 2 || 7th heaven || || Unsold Stuff Gaming || 1 || 2 || Rampage || ==== 6주차 ==== ||<-5> 6주차 1경기 (2016. 02. 24-27)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USG || 2 || 1 || 7h || || TBE || 0 || 2 || RJ || || RPG || 1 || 2 || DFM || ==== 7주차 ==== ||<-5> 7주차 경기 (2016. 03. 02 - 05) || || 팀명 || 점수 || 점수 || 팀명 || || RJ || 0 || 2 || RPG || || DFM || 2 || 0 || 7h || || USG || 2 || 0 || TBE || ==== 8주차 ==== ||<-5> 8주차 (2016. 03. 09-12) || ||팀명 || || || 팀명 || || 7h || 2 || 1 || RJ || || RPG || 2 || 1 || TBE || || DFM || 2 || 0 || USG || === Playoffs === * DetonatioN FM: 결승 자동 진출 * USG * Rampage ==== 세미 파이널 ==== ||<-5> 세미 파이널 (2016. 04. 02) || ||팀명 || || || 팀명 || || RPG || 3 || 0 || USG || ==== 파이널 ==== ||<-5> 파이널(2016. 04. 10) || ||팀명 || || || 팀명 || || DeT FM ||3 ||0 || RPG || === Spring Season Promotion === * 강등/승격전 * 2부 리그 상위 2팀 * 1부 리그 하위 2팀 ==== 참가팀 ==== * CROOZ Rascal Jester * Team BlackEye * Dragonfly Gaming[* 대회 대리출전 논란이 있는 그 팀이다. 1부 리그 개막전을 제외하면 모든 시합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LJL 특성상 가능한 일이였다.] * SCARZ ==== 진행 ==== ||<-5> 1경기 (2016. 03. 31) || ||팀명 || || || 팀명 || || TBE || 3 || 0 || DFG || ||<-5> 2경기 (2016. 04. 01) || ||팀명 || || || 팀명 || || RJ || 2 || 3 || SCARZ || ==== 결과 ==== * CROOZ Rascal Jester 강등 * SCARZ 승격 [[분류: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