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 [include(틀: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1 '''홍콩 대규모 시위 시작일(2019/06/09)부터'''}}} || || '''{{{+5 D[dday(2019-06-09)]}}}''' || || {{{+1 '''[[홍콩 범죄인 인도법안|{{{#FFF 송환법}}}]] 반대 최초 시위 시작일(2019/03/15)부터'''}}} || || '''{{{+5 D[dday(2019-03-15)]}}}''' || [목차] [clearfix] == 11월 == === 11일 === [[중국공산당]]에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79&aid=0003430576|본토파 의원을 강제 축출]]시켰고, 이에 항의한 [[민주파]] 의원들까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3051622|총사퇴]]했다. 이에 대해 주 홍콩 중국국무원 연락사무소[* [[홍콩]] 주재 [[중국]]의 총영사관급 기관이며 '''홍콩 정부와 동격'''의 기관이다.]는 성명에서 "홍콩이 반드시 애국자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는 정치적 원칙은 확고히 지켜져야 한다"고 밝혀 [[친중파(홍콩)|친중파]] 및 [[중국공산당]]의 직접 지배를 받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홍콩 입법회, version=78, paragraph=3)] === 14일 === 조슈아 웡은 홍콩 의회에서 견제와 균형이 사라졌다고 밝혔고 이에 다른 방식으로 투쟁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014054|#]] === 15일 === 홍콩 보안법 위반 익명 신고가 일주일 만에 1만 건을 넘어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2&aid=0003523276|#]] === 19일 === 홍콩 보안법시행으로 인해 홍콩인들이 영국에서 부동산을 사들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277&aid=0004795040|#]] === 20일 === 대만으로 밀항 시도한 홍콩인 12명을 체포하였는데, 구금 중에 일부가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문과 구타가 없고 아주 잘 지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족들은 편지의 상당 문구가 비슷하고 홍콩인들이 쓰는 표현이 아니라는 점 등을 지적하며 자발적으로 쓴 게 아니라고 의심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28786?sid=104|#]] === 21일 === 대만에 망명한 홍콩 청년들을 위해 이들의 교육비를 지원하자는 모금 캠페인을 벌이던 라디오 진행자가 홍콩 국가보안법 위반 등 혐의로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30850?sid=104|#]] === 23일 === 조슈아 웡과 아그네스 차우, 이반 램 등 전 홍콩 데모시스토당 멤버 3명이 불법집회 가담 혐의 등으로 구류 처분을 받고 수감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033470|#]] 이에 [[조슈아 웡]]은 자신의 법정구속 가능성을 전망하며 감옥에서도 계속 투쟁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032451|#]] 법정에서 유죄를 인정했고 실형이 언도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5007884|#]] === 26일 === 조슈아 윙은 자신이 유죄 선고를 받더라도 홍콩의 민주화 운동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79&aid=0003436872|#]] === 27일 === 홍콩 교육당국이 고등학교 인문학 과목을 개편해 중국 관련 내용을 대폭 강화되고, 학생들의 중국 본토 현장학습도 도입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8&aid=0002522031|#]] 중국 당국에 의해 구속된 홍콩인 12명에 대한 재판이 열릴 예정이다.[[https://www.voachinese.com/a/Hongkongers-detained-in-Shenzhen-will-stand-trial-1-to-2-weeks-time-20201127/5678770.html?utm_source=twitter&utm_medium=social&utm_campaign=dlvr.it|#(중국어)]] === 28일 === 홍콩 당국이 교육과정을 중국화하는 방식으로 개편할려고 하자 온라인에선 반대청원이 생겼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5&aid=0001385645|#]] == 12월 == === 1일 === BBC와의 인터뷰에서 아그네스 차우는 홍콩 당국의 탄압에 따른 절망과 두려움에도 민주주의를 위해 계속 싸워야 한다고 호소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16&aid=0001760094|#]] === 2일 === [[조슈아 웡]]과 [[아그네스 차우]] 등 3명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32&aid=0003046471|#]] === 3일 === 지미 라이가 체포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8&aid=0002522820|#]] 같은 날, 전 야당 의원인 테드 후이가 덴마크로 탈출하는 데 성공해 영국에 망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59104?sid=104|#]] === 6일 === 테드 후이 전 의원이 영국에 도착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62147?sid=104|#]] 같은날 홍콩 경찰은 테드 후이 전 의원과 가족의 계좌를 동결시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3&aid=0003581307|#]] === 8일 === 민주파 정치인과 시민사회 활동가 등 8명이 불법시위 등의 혐의로 무더기로 체포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8&aid=0002523402|#]] === 9일 === 홍콩 법원이 아그네스 차우가 신청한 보석요청을 기각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16&aid=0001763645|#]] === 11일 === 지미 라이가 홍콩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3&aid=0003582677|#]] 청년신정 소속이었던 바지오 렁(梁頌恒) 전 입법회 의원이 미국 망명을 가졌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76202?sid=104|#]] === 12일 === 홍콩 입법회에서 오성홍기를 거꾸로 계양하는 사태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76912?sid=104|#]] 참고로 오성홍기를 거꾸로 계양해도 처벌받는다. === 14일 === 지미 라이 빈과일보 회장의 구속 이후 국제사회에서 석방 목소리가 커지자 홍콩 법무부가 성명을 통해 "어이없다"고 일축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80257?sid=104|#]] === 17일 === 대만에 망명하려다가 중국 당국에 붙잡힌 홍콩 청년들이 중국 본토에서 기소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88478?sid=104|#]] === 18일 === 지미 라이가 중범죄자들이 수감된 교도소로 이감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251351|#]] === 21일 === [[네이선 로]]가 영국에 정식 망명을 신청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94569?sid=104|#]] === 23일 === 지미 라이가 법원의 보석 신청 결정으로 풀려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099234|#]] 송환법 반대 시위에 참가하다가 실탄을 맞고 부상당한 홍콩의 고등학생이 망명을 신청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8&aid=0002525542|#]] === 27일 === 홍콩 경찰이 해외에 체류중인 민주화 운동가와 야권 인사 30여명을 수배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5&aid=0001394935|#]] [각주] [[분류: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