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0 오버워치 리그)] [include(틀:2020 오버워치 리그/정규 시즌)] [목차] == 2주차 적용 사항 == || [youtube(o2hzN0WXEpA)] || || '''{{{#fff 적용 패치 버전}}}''' || || '''{{{#white 1.44}}}'''[br][[https://playoverwatch.com/ko-kr/news/patch-notes/pc#patch-65302|패치 노트#1]] [[https://playoverwatch.com/ko-kr/news/patch-notes/pc#patch-655131|패치 노트#2]] || ||<-2> '''{{{#fff 오버워치 리그 한국 중계진}}}''' || ||<:>'''{{{#white 2월 15일}}}''' ||<-2> '''{{{#white 2월 16일}}}'''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3.svg|height=25]] {{{#f89c3f '''필라델피아'''}}}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3.svg|height=25]] {{{#f89c3f '''필라델피아'''}}} || || [[정소림]][br][[황규형]] || [[정인호]][br][[장지수(해설가)|장지수]] || 패치는 1주차와 동일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3월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오버워치 리그 경기는 취소되었다. == 홈스탠드: [[필라델피아 퓨전]] == ||<-2>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3.svg|height=25]] {{{#f89c3f '''필라델피아 퓨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jpg|width=100%]]}}} || ||<-2> {{{+1 {{{#f89c3f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 }}}[br]{{{#f89c3f The Metropolitan Opera House}}} || 게임 경기를 오페라 하우스에서 한다(....) 하지만 미국 유명 가수 다수가 공연을 한적이 있기도 하며 필라델피아내에서 꽤 오래된 역사를 가진 건물이다. ~~관중이 훌륭한 게임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 2월 16일 === ||<-12> '''{{{#fff 2월 16일 필라델피아}}}''' || ||<-12> '''{{{#white 오전 06:00}}}''' || ||<-5>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50]][br]플로리다 메이헴 || '''3''' || 0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50]][br]휴스턴 아웃로즈 || ||<-5> {{{#cf4691 '''승'''}}} ||<-2> '''{{{#fff 결과}}}''' ||<-5> 패 || ||<-12> '''{{{#white 오전 08:00}}}''' || ||<-5>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50]][br]워싱턴 저스티스 || 1 || '''3'''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50]][br]필라델피아 퓨전 || ||<-5> 패 ||<-2> '''{{{#fff 결과}}}''' ||<-5> {{{#f89c3f '''승''' }}} || 이번주에 맞붙는 4팀에 린저, 코리, 카르페, 사야플레이어라는 리그 최상급 히트스캔 딜러들이 모여 있어 이들의 맞대결을 기대해볼 수 있다. 또한 퓨전을 제외한 나머지 3팀은 지난 시즌 신호등으로 불리며 리그 최약체 취급을 받았는데, 이들이 이번 시즌을 시작하며 얼마나 경기력을 끌어올렸는지도 볼 수 있다. ==== 1경기 FLA 3 : 0 HOU ==== ||<-6>
'''{{{#fff 필라델피아 2주 1일차 1경기 (2020. 02. 16.)}}}'''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2>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br]부산 || [[파일:쿠바 국기.svg|height=15]][br]하바나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br]아이헨발데 ||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 {{{+1 {{{#cf4691 '''2'''}}}}}} || {{{+1 {{{#cf4691 '''1'''}}}}}} || {{{+1 {{{#cf4691 '''3'''}}}}}} || {{{+1 {{{#fff '''3'''}}}}}} ||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1 0}}} || {{{+1 0}}} || {{{+1 2}}}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HzkxQTEzwjk|[[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iZnGHJ59g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1 [[김준기(프로게이머)|Yaki]]}}} || 러너웨이 듀오 야키와 강남진의 리그 데뷔전이다. ==== 2경기 WAS 1 : 3 PHI ==== ||<-7>
'''{{{#fff 필라델피아 2주 1일차 2경기 (2020. 02. 16.)}}}'''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2> || || [[파일:네팔 국기.svg|height=15]][br]네팔 || [[파일:쿠바 국기.svg|height=15]][br]하바나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br]왕의 길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5]][br]아누비스 신전 ||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1 1}}} || {{{#fff {{{+1 '''2''' }}}}}} || {{{+1 2}}} || {{{+1 3}}} || {{{+1 {{{#fff 1}}}}}}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f89c3f {{{+1 '''2''' }}}}}} || {{{+1 1}}} || {{{#f89c3f {{{+1 '''3''' }}}}}} || {{{#f89c3f {{{+1 '''4''' }}}}}} || {{{+1 {{{#fff '''3'''}}}}}} || ||<-6>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5ChWcxP1fm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QZNkjtPau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1 [[이재혁(1998)|Carpe]]}}} || 최상급 히트스캔 딜러인 코리와 카르페의 맞대결이다. 2019년 리그 스테이지 4에서 메이로 좋은 모습을 보여준 스트라투스와는 달리, 아직 eqo는 메이로 보여준 것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eqo를 포함한 퓨전의 서브딜러들이 메이를 얼마나 연습하였는지가 관건이다. 경기 내용은 상당히 혼란스럽다. 명색이 리그 경기인데 C9이 난무하는[* 1세트 네팔 성소에서는 거점 관리가 되지 않아 퓨전으로 거점이 2번이나 넘어갔다. 3세트 왕의 길에서도 워싱턴이 화물 홀딩을 안 해서 눈 앞에서 화물이 지나가버렸다.] [* 아누비스에서는 워싱턴의 앞라인이 봉쇄당하며 경기가 끝나는 줄 알았더니... 아크의 루시우가 빈 거점 1칸을 유유히 가져가버렸다! ] 진기명기를 보여주었다. --공교롭게도 이 경기 즈음이 C9 밈이 탄생한지 거의 3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전체적으로 난전이 많았고, 기대를 모았던 각 팀 딜러진의 역량은 비등했다. 카르페-아이비가 한 건을 해내면 코리-스트라투스도 밀리지 않고 한 건씩 해냈다. 승부를 결정지은 것은 메인탱커 경합. 사도는 poko의 오리사와 합을 맞춰 나오면서 느리게 찼던 궁게이지를 개선하고, 나갈 수 있을 때 앞으로 나가주며 딜러들의 공간을 벌어주었다. 하지만 로어는 제대로 된 대치 하나 하지 않고 뒤로 물러난 포지션을 고수했고, 상대 라인이 없는 상황에서도 제때 진입하지 않고 계속 거점을 비웠다. 결국 팀의 영역이 위축되면서 스노우볼이 크게 굴러가버렸다. 당장 네팔 성소부터가 라인이 거점을 비우면서 2번의 C9을 허용했고, 왕의 길 수비에서는 라인이 거점 싸움을 할 생각을 하지 않아 거점 1칸이 경기 시작 30초만에 넘어갔다[* 심지어 양팀 더불어 단 1명도 죽지 않았다! ]. 아누비스에서는 A 공격 때기껏 사도를 먼저 정리해놓고, 거점으로 넘어가지 않아 '''리스폰된 사도에게''' 모두 정리당하는 어이없는 장면이 나왔다. 여담으로, 장지수는 현 메타 특성상 디바가 많은 것을 해주어야 하는 것을 언급하면서 퓨전이 2020년에 리그 최상급 디바인 퓨리를 새로 영입하였기 때문에 퓨전의 승리를 점쳤다. 하지만 퓨전에선 라리사 조합을 자주 들었으며, 막상 워싱턴에선 리그 첫 출전인 Ellivote가 디바로 분전했지만 역부족이었다. === 2월 17일 === ||<-12> '''{{{#fff 2월 17일 필라델피아}}}''' || ||<-12> '''{{{#white 오전 06:00}}}''' || ||<-5>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50]][br]워싱턴 저스티스 || '''3''' || 0 ||<-5>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50]][br]휴스턴 아웃로즈 || ||<-5> {{{#fff '''승'''}}} ||<-2> '''{{{#fff 결과}}}''' ||<-5> 패 || ||<-12> '''{{{#white 오전 08:00}}}''' || ||<-5>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50]][br]플로리다 메이헴 || 0 || '''3''' ||<-5>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50]][br]필라델피아 퓨전 || ||<-5> 0 ||<-2> '''{{{#fff 결과}}}''' ||<-5> {{{#f89c3f '''승'''}}} || ==== 1경기 WAS 3 : 0 HOU ==== ||<-6>
'''{{{#fff 필라델피아 2주 2일차 1경기 (2020. 02. 17.)}}}'''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2> ||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br]리장 타워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br]왕의 길 ||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1 {{{#fff '''2'''}}}}}} || {{{+1 {{{#fff '''3'''}}}}}} || {{{+1 {{{#fff '''3'''}}}}}} || {{{+1 {{{#fff '''3'''}}}}}} ||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1 0}}} || {{{+1 1}}} || {{{+1 2}}} || {{{+1 {{{#fff 0}}}}}} || ||<-6>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rnmmKMqBD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BR-OEWJI1Z4|[[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1 [[코리 니그라|Corey]]}}} || 퓨전과의 대결에서 비록 지기는 했지만 그 때 보여준 워싱턴의 활약을 휴스턴전에서 더욱 더 발휘하였다. 코리는 맥크리로 딜을 매우 잘 넣어주었고, 스트라투스는 메이 빙벽 활용을 매우 잘해주면서 상대를 고립시키거나 진영을 갈라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반면 휴스턴은 궁을 쓰겠다는 것이 너무 뻔히 보인 나머지 궁극기를 써도 분위기를 반전시키지 못했고, 오히려 빠른 워싱턴의 궁 사이클링에 속수무책으로 한타에서 패배하였다. 오죽하면 해설진이 궁을 먹을 수 있는 메코의 메카가 5개여도 부족하다는 말을 했을 정도. 휴스턴은 앞 경기에 이어 이번에도 0:3 완패를 당하면서 2전 전패 득실차 -6 20위 꼴찌를 기록하게 되었다. ==== 2경기 FLA 0 : 3 PHI ==== ||<-6>
'''{{{#fff 필라델피아 2주 2일차 2경기 (2020. 02. 17.)}}}''' || ||<|2> ||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점령 후 호위.png|width=30]] || [[파일:오버워치 거점 점령.png|width=25]] ||<|2> ||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br]리장 타워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br]쓰레기촌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br]블리자드 월드 ||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 {{{+1 1}}} || {{{+1 2}}} || {{{+1 0}}} || {{{+1 {{{#fff 0}}}}}} ||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1 {{{#f89c3f '''2'''}}}}}} || {{{+1 {{{#f89c3f '''3'''}}}}}} || {{{+1 {{{#f89c3f '''3'''}}}}}} || {{{+1 {{{#fff '''3'''}}}}}} || ||<-6> 한국 중계: [[https://www.youtube.com/watch?v=-QnD7i2PbCs|[[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해외 중계: [[https://youtu.be/WEBTDzCCt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1 {{{#white Player of the Match}}}}}}'''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1 [[김수민(프로게이머)|Sado]]}}} || 올해 들어서 이번 주에 경기하는 다른 팀들보다는 확실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퓨전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퓨전의 승리를 예상하고 있다. 예상대로 탱커진 차이로 인해 퓨전이 3:0 완승을 기록하였다. 사야플레이어, BQB, 야키가 어느 정도 활약을 해 주어도 이미 앞라인이 버티지 못하고 터지니 경기 분위기를 반전시키기가 어려웠다. == 2주차 순위 == ## 정보는 가급적 리그 공식홈페이지의 순위표를 참조하십시오. >>> https://overwatchleague.com/ko-kr/standings/season/1/league ## 단, 연승/연패 정보는 공홈 순위표에 없으니 지속적인 갱신 바라며, 기존 최다 연승 기록이 깨질 경우 최다 연승 항목도 같이 갱신해주시기 바랍니다. ||<-14>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width=40]]]] {{{-1 [[오버워치 리그 2020 시즌|{{{#fea023 '''2020 시즌'''}}} {{{#fff '''2주차 리그 순위표'''}}}]] }}} || || '''순위''' ||<-2> '''팀명''' || '''경기''' || '''승''' || '''패''' || '''승패[br]마진''' || '''세트[br]득실''' || '''세트[br]승-패-무''' || '''컨퍼런스''' || '''디비전''' || '''최근[br]연속''' || '''최다[br]연승''' || '''비고''' || || 1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height=25]] || [[뉴욕 엑셀시어|NYE]] || 2 || 2 || 0 || +2 || +5 || 6-1-0 || 대서양 || 북부 || 2승 || 2승 || || || 1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필라델피아 퓨전|PHI]] || 2 || 2 || 0 || +2 || +5 || 6-1-0 || 대서양 || 남부 || 2승 || 2승 || || || 3 ||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5]] || [[밴쿠버 타이탄즈|VAN]] || 2 || 2 || 0 || +2 || +4 || 6-2-0 || 태평양 || 서부 || 2승 || 2승 || || || 4 ||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height=25]] || [[토론토 디파이언트|TOR]] || 1 || 1 || 0 || +1 || +2 || 3-1-0 || 대서양 || 북부 || 1승 || 1승 || || || 4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height=25]] || [[샌프란시스코 쇼크|SFS]] || 1 || 1 || 0 || +1 || +2 || 3-1-0 || 태평양 || 서부 || 1승 || 1승 || || || 6 ||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 [[파리 이터널|PAR]] || 2 || 1 || 1 || 0 || +1 || 4-3-0 || 대서양 || 북부 || 1승 || 1승 || || || 6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워싱턴 저스티스|WAS]] || 2 || 1 || 1 || 0 || +1 || 4-3-0 || 대서양 || 남부 || 1승 || 1승 || || || 8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 [[플로리다 메이헴|FLA]] || 2 || 1 || 1 || 0 || 0 || 3-3-0 || 대서양 || 남부 || 1패 || 1승 || || || 9 ||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height=25]] || [[LA 발리언트|VAL]] || 2 || 1 || 1 || 0 || -1 || 3-4-0 || 태평양 || 서부 || 1패 || 1승 || || || 10 ||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5]] || [[애틀랜타 레인|ATL]] || 0 || 0 || 0 || 0 || 0 || 0-0-0 || 대서양 || 남부 || 0승 || 0승 || || || 10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5]] || [[서울 다이너스티|SEO]]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0 ||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height=25]] || [[광저우 차지|GZC]]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0 ||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5]] || [[상하이 드래곤즈|SHD]]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0 ||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height=25]] || [[청두 헌터즈|CDH]]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0 ||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height=25]] || [[항저우 스파크|HZS]] || 0 || 0 || 0 || 0 || 0 || 0-0-0 || 태평양 || 동부 || 0승 || 0승 || || || 16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5]] || [[LA 글래디에이터즈|GLA]] || 1 || 0 || 1 || -1 || -1 || 2-3-0 || 태평양 || 서부 || 1패 || 0승 || || || 17 ||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 [[보스턴 업라이징|BOS]] || 1 || 0 || 1 || -1 || -3 || 0-3-0 || 대서양 || 북부 || 1패 || 0승 || || || 18 ||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5]] || [[댈러스 퓨얼|DAL]] || 2 || 0 || 2 || -2 || -4 || 2-6-0 || 태평양 || 서부 || 2패 || 0승 || || || 19 ||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 [[런던 스핏파이어|LDN]] || 2 || 0 || 2 || -2 || -5 || 1-6-0 || 대서양 || 북부 || 2패 || 0승 || || || 20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휴스턴 아웃로즈|HOU]] || 2 || 0 || 2 || -2 || -6 || 0-6-0 || 대서양 || 남부 || 2패 || 0승 || || ||<-14> {{{-2 {{{#dfd 초록색:}}} {{{#white 플레이오프 (TOP 6) |}}} {{{#ffb 노란색:}}} {{{#white 플레이-인 (TOP 12) |}}} {{{#fdd 빨간색:}}} {{{#white 하위 8팀 |}}} {{{#white 볼드체: 순위 확정}}}}}} || == 2주차 TOP 5 Plays == ||<-3>
[[2020 오버워치 리그|[[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width=40]]]] {{{-1 [[2020 오버워치 리그|{{{#fea023 '''2020'''}}} {{{#fff '''오버워치 리그'''}}}]] }}} || ||<-3> '''2주차''' [[https://www.youtube.com/watch?v=oEfQawTuA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한국어''' [[https://www.youtube.com/watch?v=Bi25Pqktfbg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white '''5'''}}} || [[2020 오버워치 리그/2주차#s-3.1.2|[[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0]] [[홍연준|ArK]]의 아누비스 B거점 백도어[br],,Crouching ArK hidden back-cap,, || || {{{#white '''4'''}}} || [[2020 오버워치 리그/2주차#s-3.1.1|[[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5]]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0]] [[이상범(프로게이머)|BQB]]의 석양으로 1킬+메카 파괴 포함 3킬[br],,A classic pincer attack,, || || {{{#white '''3'''}}} || [[2020 오버워치 리그/2주차#s-3.1.2|[[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0]] [[이승현(프로게이머)|Ivy]]의 메이 플레이[br],,Ivy brings the ice-age,, || || {{{#white '''2'''}}} || [[2020 오버워치 리그/2주차#s-3.2.1|[[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0]] [[이승수|Jecse]]의 '''루시우로 4킬'''[* 송하나, 메이, 라인하르트, 맥크리. 전부 근접 공격으로 킬했다.] [br],,Jecse's beat box beat down,, || || {{{#white '''1'''}}} || [[2020 오버워치 리그/2주차#s-3.1.2|[[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height=25]]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0]] [[이재혁(1998)|Carpe]]의 위도우 3킬 [br],,Carpe is still as clutch as eve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버워치 리그 2020 시즌/1주차, version=34)][[분류:오버워치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