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include(틀:카트라이더 리그 예선)] [include(틀: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목차] == 개요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의 대한 온라인 예선경기를 기록하는 문서. == 시작 전 == === 팀전 === *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카트라이더 리그 팀 지원 프로젝트'''로 각 팀이 브랜드 홍보, 전용 아이템 판매 수익 등의 지원을 받는다. 직전 시즌 우승팀인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한화생명e스포츠]], 준우승팀인 [[성남 ROX]], 별도 심사를 거쳐 선발된 [[Afreeca Freecs/카트라이더|Afreeca Freecs]]와 [[SANDBOX Gaming/카트라이더|SANDBOX Gaming]]이 예선을 면제받고 본선 시드를 부여받았다. 이번 시즌 창단하여 팀 지원 프로젝트에 신청했지만 심사에서 탈락한 [[GC Busan E-STATS]]와 [[SGAe스포츠]]는 예선을 통과하면 위 팀과 동일하게 팀 지원 정책을 제공받을 수 있다. * 참가 신청을 한 팀 중 그랑프리 GP 점수 합계가 가장 높은 16개의 팀이 온라인 예선을 진행한다. * 4개 팀씩 4개 조로 나누어 조별 풀리그를 진행한 후, 각 조에서 상위 2팀씩 총 8팀이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4팀을 가려낸다.[* A, B조가 오전, C, D조가 오후에 진행된다.] ||<:><-4> '''{{{#ffffff 조별 풀리그}}}''' || || A1(1) || B1(2) || C1(3) || D1(4) || || A2(5) || B2(6) || C2(7) || D2(8) || || A3(9) || B3(10) || C3(11) || D3(12) || || A4(13) || B4(14) || C4(15) || D4(16) || ||<:><-5>
'''{{{#ffffff 토너먼트 대진표}}}''' || ||<-2> A조 1위 || VS ||<-2> B조 2위 || ||<-2> B조 1위 || VS ||<-2> A조 2위 || ||<-2> C조 1위 || VS ||<-2> D조 2위 || ||<-2> D조 1위 || VS ||<-2> C조 2위 || * 트랙은 다음과 같다.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4강 후반부 본선 트랙과 동일하다. 단,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어비스 바다의 인도자 첫 트랙 고정이 아닌 전부 추첨으로 결정되며, 라운드가 바뀌면 트랙을 다시 추첨해서 사용한다. ||<-3><:>
'''{{{#ffffff 트랙(A, B조)}}}''' || ||<:>순서||<:> '''{{{#white 스피드전}}}''' ||<:> '''{{{#white 아이템전}}}''' || ||{{{#white '''1번째'''}}}||<:> 쥐라기 공룡 결투장 ||<:> 쥐라기 아슬아슬 화산 점프 || ||{{{#white '''2번째'''}}}||<:> 빌리지 만리장성 ||<:> 대저택 루이의 서재|| ||{{{#white '''3번째'''}}}||<:>어비스 숨겨진 바닷길 ||<:> [리버스]광산 보석채굴장|| ||{{{#white '''4번째'''}}}||<:>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 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white '''5번째'''}}}||<:>님프 바다 신전의 비밀 ||<:>월드 파리 드라이브|| ||<:><-3> '''{{{#white 에이스 결정전}}}''' || ||<:><-3> '''쥐라기 공룡 결투장''' || ||<-3><:>
'''{{{#ffffff 트랙(C, D조)}}}''' || ||<:>순서||<:> '''{{{#white 스피드전}}}''' ||<:> '''{{{#white 아이템전}}}''' || ||{{{#white '''1번째'''}}}||<:> 님프 바다 신전의 비밀 ||<:> 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 ||{{{#white '''2번째'''}}}||<:> 광산 아슬아슬 궤도 전차 ||<:> 대저택 루이의 서재 || ||{{{#white '''3번째'''}}}||<:>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 광산 3개의 지름길 || ||{{{#white '''4번째'''}}}||<:>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 ||<:> 차이나 빙등 축제|| ||{{{#white '''5번째'''}}}||<:> 쥐라기 공룡 결투장 ||<:> 어비스 바다의 인도자|| ||<:><-3> '''{{{#white 에이스 결정전}}}''' || ||<:><-3> '''님프 바다 신전의 비밀''' || ||<:>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 ||<:> 어비스 바다의 인도자 || ||<:> 어비스 바다 소용돌이 ||<:> 월드 파리 드라이브 || ||<:> 쥐라기 공룡 결투장 ||<:> 쥐라기 아슬아슬 화산점프 || ||<:> 님프 바다 신전의 비밀 ||<:> 대저택 루이의 서재 || ||<:>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 차이나 빙등축제 || ||<:>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 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 ||<:>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 ||<:> 광산 3개의 지름길 || ||<:>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 ||<:> 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 ||<:> 빌리지 만리장성 ||<:> [리버스]광산 보석채굴장 || ||<:>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 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 === 개인전 === * 전 시즌 입상자인 우승자 [[문호준]]은 개인전 은퇴, 준우승자 [[유창현(프로게이머)|유창현]]은 무기한 휴식으로 인한 불참을 선언하였고, 3위였던 [[박인수]]만 본선으로 직행한다.[* 4위였던 [[이재혁(2001)|이재혁]], 5위였던 [[유영혁]] 선수는 오프라인 예선을 면제받지 못했다.] * 참가 신청을 한 유저 중 그랑프리 GP 점수 합계가 가장 높은 128명이 온라인 예선을 진행한다. * 8인 1조, 총 16개조의 128강 3라운드 토너먼트[* 1라운드 128강, 2라운드 64강, 3라운드 32강]가 진행된다. 각 라운드별로 50포인트 선취제 1~4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며, 3라운드의 1~4위가 본선에 진출한다. 오전, 오후 각각 3라운드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오전 16명, 오후 15명, 총 31명을 선발한다. ||<-5><:>
'''{{{#ffffff 개인전 토너먼트 방식}}}''' || ||<:> ||<-2><:>'''{{{#ffffff 오전조}}}'''||<-2><:>'''{{{#ffffff 오후조(패자부활전)}}}'''|| ||<:>{{{#white '''1라운드'''}}}||<:>128명||<:>1~4위 2라운드(64명)[br]5~8위 패자부활전||<:>112명||<:>1~4위 2라운드[br]5~7위 탈락|| ||<:>{{{#white '''2라운드'''}}}||<:>64명||<:>1~4위 3라운드(32명)[br]5~8위 패자부활전||<:>64명||<:>1~4위 3라운드[br]5~8위 탈락|| ||<:>{{{#white '''3라운드'''}}}||<:>32명||<:>'''1~4위 본선 진출.(16명)'''[br]5~8위 패자부활전||<:>32명||<:>'''1~3위 본선 진출.(12명)'''[br]4, 5위 최종전 진출(8명)[br]6~8위 탈락|| ||<:>{{{#white '''최종전'''}}}||<:><-2>-||<:>8명||<:>'''1~3 위 본선 진출.(3명)'''[br]4~8위 탈락|| * 트랙은 다음과 같다.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시즌 후반부 본선 트랙과 동일하다. 단, 첫 트랙은 어비스 스카이라인 고정이 아닌, 추첨으로 결정된다. 트랙 1위 선수가 다음 트랙을 선택하는 방식이 아니라 열 개의 트랙의 순서를 추첨으로 결정한다. 단, 모든 경기가 같은 순서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 동점자 재경기 발생시 첫 트랙을 사용한다. ||<-2><:>
'''{{{#white 스피드 개인전 트랙}}}'''[* 오전 1라운드 예시] || ||<:>{{{#white '''1번째'''}}}||<:>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white '''2번째'''}}}||<:>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 || ||<:>{{{#white '''3번째'''}}}||<:>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 ||<:>{{{#white '''4번째'''}}}||<:> [리버스]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 ||<:>{{{#white '''5번째'''}}}||<:> 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 ||<:>{{{#white '''6번째'''}}}||<:>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 || ||<:>{{{#white '''7번째'''}}}||<:> 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 || ||<:>{{{#white '''8번째'''}}}||<:> 어비스 스카이라인 || ||<:>{{{#white '''9번째'''}}}||<:>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 || ||<:>{{{#white '''10번째'''}}}||<:> 포레스트 지그재그 || === 팀 구성 === 전 시즌에 비해서 예선 참여팀 중 본선 진출로 예상되는 팀이 딱 4팀이 잡히면서 예선을 치르기도 전부터 결과가 다 보인다는 말이 많다. 거의 2019 시즌 2 수준. 그나마 본선 진출 경쟁권이던 팀들이 예선 직전에 두 팀이나 해체되기도 했고.[* 한 팀이 이준용과 노준현, 오성현을 필두로 한 팀이었고, 다른 한 팀이 구 휠즈 출신 홍희권, 전진우를 필두로 한 팀이었는데 이 팀들은 멤버가 정지되거나 프로팀 입단 제의를 받으면서 다 터졌고 프로팀으로 간 노준현, 홍희권, 미스틱에 영입된 이명재를 제외하면 아예 팀전 예선에 참여조차 못하게 되었다.] 현재 가장 유력한 팀은 프로팀 2팀과 김정제를 중심으로 짜인 1GO 팀, 구 오즈 선수 3명이 뭉친 미스틱 팀으로 꼽히며, 그나마 경쟁이라도 해볼만한 팀은 저번 시즌 개인전에 진출한 김현민이랑 19 시즌 2 개인전에 진출한 박민호가 각각 에이스와 하이브리드를 맡은 리썬즈팀 한 팀 정도로 꼽힌다.[* 그러나 여기도 선출은 김현민, 박민호와 김택진(2019 시즌 1 프로페셔널 팀) 딱 세 명. 거기다가 김택진은 아이템만 뛴다.][* 2020 시즌 1 개인전에 진출했던 김주영과 2019 시즌 1 개인전에 진출했던 이태경이 속한 FESTA팀도 그나마 언급되고 있다. 그 외에 카갤에서는 듀얼 레이스 3 팀전에 진출했던 송상민이 속한 아옥스팀도 예선 관련 떡밥이 돌 때 언급까지는 하는데 언급하는 사람들도 여기는 안 된다고 하는 수준. 이 팀들을 제외하면 김대진, 박현수 등 극소수를 제외하면 선출이 아예 없는 팀들뿐이다. 김대진이나 박현수의 경우는 본인을 제외하고는 선출이 전혀 없으며 본인들도 선수로 큰 활약은 못 해서 예선 참여에 의의를 두는 수준.] 그러나 예선 조가 발표되자 판도가 달라졌는데, 각 조 2위까지만 2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는 상황에서 '''SGAe스포츠, 1GO, Mystic 3팀이 같은 조(B조)에 배정되었다.'''[* 카갤 등에서는 저 셋 중 유일한 프로팀이지만 선수들의 기량이 가장 떨어진다고 평가받는 SGAe스포츠가 탈락할 가능성을 가장 높게 보고는 있다.] 반면, ResunZ의 경우는 본선 진출을 꿈도 못 꿀 팀만 있는 개꿀조에 들어가는 바람에 앞의 3팀 중 한 팀이 무조건 떨어지고, 그 빈 자리를 ResunZ가 채울 것이라는 것으로 예상이 바뀌었다.[* 거기다가 2라운드는 A,B조, C,D조에서 각 조의 1위와 옆 조 2위가 맟붙는 식인데, FESTA마저 A조에 들어가면서 C, D조는 본선 가시권인 팀이 GC부산과 ResunZ밖에 없게 되었다. ResunZ에게는 역대급 호재이자 기회.] * 현재까지 온라인 예선에 참가한다고 알려진 팀은 다음과 같다. ||<:><-2> '''{{{#53f7e6 조}}}''' ||<-5><:>'''{{{#53f7e6 선수 목록}}}''' ||<:>'''{{{#53f7e6 팀명}}}''' ||<:>'''{{{#53f7e6 진출 여부}}}''' || ||<|8> 오전조 ||<|4> A조 ||<:>김주영 ||<:>김태준 ||<:>이태경 ||<:>노검재[* 클럽대항전에서 'ScamperApdo'라는 닉으로 활약한 온라인 고수] ||<:>김의열 || FESTA || 탈락 || ||<:>박정익 ||<:>임창준 ||<:>유동식 ||<:>조영훈 ||<:>임창덕 || 개구쟁이 || 탈락 || ||<:>위형욱 ||<:>김진욱 ||<:>이창한 ||<:>조상인 ||<:>조준희 || SSD || 탈락 || ||<:>강민성 ||<:>이우준 ||<:>이준서 ||<:>최정원 || || LB || 탈락 || ||<|4> B조 ||<:>[[김정제]] ||<:>[[유민선]] ||<:>[[최민석(프로게이머)|최민석]] ||<:>[[정유민(프로게이머)|정유민]] ||<:>[[정승민]] || 1GO[* 본선에서는 STARLIGHT라는 팀명 사용.] ||<:> 진출 || ||<:>[[안혁진]] ||<:>[[홍희권]] ||<:>[[이현진(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이현진]] ||<:>[[장건(프로게이머)|장건]] ||<:>노창현 || [[SGA e스포츠/카트라이더|SGAe스포츠]] ||<:> 진출 || ||<:>[[김승래]] ||<:>[[우성민]] ||<:>이명재 ||<:>[[이재인(프로게이머)|이재인]] ||<:>조다훈 || MysTic || 탈락 || ||<:>하승우 ||<:>홍성민 ||<:>송준호 ||<:>최현준 ||<:>박준석 || GDS (공대생) || 탈락 || ||<|8> 오후조 ||<|4> C조 ||<:>김균태 ||<:>박준하 ||<:>성윤창 ||<:>오민혁 ||<:>최민성 || GRA || 탈락 || ||<:>안정환 ||<:>김재훈 ||<:>박온유 ||<:>신민수 ||<:> || KASS || 탈락[* GC부산과 에이스결정전 까지 끌고가는 저력을 보여줬지만 에이스결정전에서 아쉽게 패배했고, 리썬즈와의 최종전에서도 에이스결정전까지 끌고갔으나 여기서도 패배하면서 탈락하였다. 사실 리썬즈에게도 상대가 안 돤다는 평가가 많았는데 아이템전에서 의외의 저력을 보여주었던 팀. 이들 중 김재훈과 박온유는 다음 시즌 때 드디어 팀전 본선에 진출하면서 선수로 데뷔한다.(Frozen 팀)] || ||<:>[[노준현]] ||<:>[[전대웅]] ||<:>[[임재원(프로게이머)|임재원]] ||<:>[[김지민(프로게이머)|김지민]] ||<:>[[유관영]] || [[GC Busan E-STATS]] ||<:> 진출 || ||<:>송상민 ||<:>함상윤 ||<:>권영범 ||<:>이정우 ||<:>최호성 || 아옥스 || 탈락 || ||<|4> D조 ||<:>오예찬 ||<:>안홍진 ||<:>김진표 ||<:>최선교 ||<:>최수현 || COKA || 탈락 || ||<:>이은서 ||<:>김현민 ||<:>박대한 ||<:>[[박민호(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박민호]] ||<:>김택진 || Resun’Z[* 이후 팀명을 MOTO로 변경.] ||<:> 진출 || ||<:>윤서형 ||<:>이기열 ||<:>한승민 ||<:>윤성재 ||<:>김대진 || 게임킹 || 탈락 || ||<:>윤태웅 ||<:>김현기 ||<:>박명서 ||<:>박현수[* 샌드박스 소속의 박현수와는 동명이인.] ||<:> || 판타스틱 || 기권 || == 규정 == [[https://kart.nexon.com/league/2020/Season2/2020%20KARTRIDER%20LEAGUE%20SEASON%202.pdf|규정]]은 2020시즌-1의 규정으로 진행한다. 또 특이한 점은 온라인 예선이기 때문에 [[디스코드]]로 관리하며 본선 진출자가 선발되는 경기에서는 '''본인의 얼굴, 손, 모니터 화면, 마우스 등'''이 모두 나오도록 원격 확인에 응해야 한다고 나와있다. == 온라인 예선 결과 == === 8월 1일 개인전 예선 === ==== 오전 ==== ||<-5><:>'''{{{#53f7e6 오전조 진출선수 16인 목록}}}''' || ||<:>조||<:>1위||<:>2위||<:>3위||<:>4위|| ||<:>'''1조'''||<:>[[배성빈]]||<:>[[이재혁(2001)|이재혁]]||<:>[[우성민]]||<:>[[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송용준]]|| ||<:>'''2조'''||<:>[[유영혁]]||<:>[[박현수(프로게이머)|박현수]]||<:>[[최민석(프로게이머)|최민석]]||<:>[[김기수(프로게이머)|김기수]]|| ||<:>'''3조'''||<:>[[전대웅]]||<:>[[박도현(2001)|박도현]]||<:>[[정승하]]||<:>[[김승래]]|| ||<:>'''4조'''||<:>[[최윤서]]||<:>[[정유민(프로게이머)|정유민]]||<:>[[김정제]]||<:>[[노준현]]|| ==== 오후 ==== ||<-4><:>'''{{{#53f7e6 오후조 진출선수 15인 목록}}}''' || ||<:>조||<:>1위||<:>2위||<:>3위|| ||<:>'''1조'''||<:>최태원||<:>권승주||<:>[[김주영(프로게이머)|김주영]]|| ||<:>'''2조'''||<:>이은서||<:>[[한승철]]||<:>[[김지민(프로게이머)|김지민]]|| ||<:>'''3조'''||<:>[[신종민]]||<:>이정우||<:>유관영|| ||<:>'''4조'''||<:>[[최영훈]]||<:>김현민||<:>전진우|| ||<:>'''최종전'''||<:>[[임재원(프로게이머)|임재원]]||<:>--장채민--[* '''2005년생'''으로 이번 본선 최연소 선수였으며 오전조에서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바람에 오후조로 밀려나게 됐는데 오후조 3조에서 이 선수가 '''48'''점을 먹고도 4등으로 최종전을 가게 되었다. 저번 시즌에 45점을 먹고 오후조로 밀려나게 된 김주영보다도 아쉬운 케이스였는데 최종전에서 결국 살아남았으나 [[https://m.dcinside.com/board/kart/2176749|'''아이템전 그랑프리 대리가 적발되어''']] 결국 영구실격을 먹고 4위였던 윤준혁이 대체 선수로 올라갔다.]정승민[* 전 First A 소속, 현 1GO 소속 아이템 에이스 [[정승민]]과는 다른 선수이다. 최싄카트 클럽대항전 시즌2에 에퍼2팀으로 출전한 '에퍼루드마'이며 오후 1조 2위로 예선을 통과한 권승주 선수와 팀을 이루었다.]||<:>윤준혁|| === 8월 2일 팀전 예선 === ==== 오전 ==== ||<:><-3>
'''{{{#ffffff 조별 풀리그}}}''' || || 순위 || A조 || B조 || || 1위 || FESTA || 1GO || || 2위 || 개구쟁이 || SGAe스포츠 || || 3위 || SSD ||<|2> MysTic[br]GDS (공대생) || || 4위 || LB || ||<:><-5>
'''{{{#ffffff 토너먼트 대진표}}}''' || ||<-2> FESTA || VS ||<-2> '''[[SGA e스포츠/카트라이더|SGAe스포츠]]''' || ||<-2> '''1GO''' || VS ||<-2> 개구쟁이 || * B조 공대생 vs 미스틱 경기는 기권으로 진행안함.[* 사실 굳이 할 필요가 없기도 했다. 1GO팀과 SGA가 먼저 2승을 챙기는 바람에 1, 2등은 이 두 팀이 확정됐기 때문이다.] ==== 오후 ==== ||<:><-3>
'''{{{#ffffff 조별 풀리그}}}''' || || 순위 || C조 || D조 || || 1위 || GC Busan || Resun’Z || || 2위 || KASS || COKA || || 3위 ||<|2> 싱크홀[br]GRA || 게임킹 || || 4위 || 판타스틱[*기권] || ||<:><-5>
'''{{{#ffffff 토너먼트 대진표}}}''' || ||<-2> '''[[GC Busan E-STATS]]''' || VS ||<-2> COKA || ||<-2> '''Resun' Z''' || VS ||<-2> KASS || * D조에서 기권한 팀이 나왔다. == 여담 == * 지난 시즌과 달리 이번 예선전은 중계 송출은 안하고, 디스코드를 이용하여 예선전이 진행된다. * [[김승태]], [[홍희권]], [[장건(프로게이머)|장건]], [[이현진(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이현진]]이 리그 예선전에서 리플레이 카메라를 착용한 이유로 실격 처리하였다. 원인은 선물함이었는데, 리그 계정으로 선물함을 받으면 실격된다고 한다. 심지어 다른 사람에게 장난식으로 선물을 보낸 경우도 많았다. 본선 진출자 중 한 명인 권승주가 [[https://m.dcinside.com/board/kart/2146527?recommend=1&page=2|카갤에 올린 글]]에 의하면 옆 자리에 앉아있던 고구려 소속에 리그 출전 정지를 받은 최지혁이 일부러 장난으로 권승주에게 선물을 보내기도 했다는 듯. 다만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실제로 김승태는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은 착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즉 소유하기만 해도 실격 처리를 시켰다는 것이다. 이후 해당 내용의 공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는 것이 밝혀져서 논란이 거세다. 물론 공지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은 선수들의 잘못도 있지만, 공식 규정집에도 없는 내용을 제대로 공지하지 않았으면서[* 정확히 디스코드에서 5시 21분경에 선물함을 클릭하지 말라는 공지가 올라왔다.] 예선 진행 도중에 디스코드 채팅으로 작게 공지를 띄운 뒤 바로 실격시켜 버린 것은 --번해버려 번도 실격을 안 시킨 마당에-- 공정하지 못한 처사라는 의견이다. 실격당한 선수들은 오후 예선 참가자격도 박탈당했다. 여담이지만 이현진은 개인전 오프라인 예선에서만 2번 실격이라는 불명예 기록을 세웠다. * 개인전 예선의 경우 [[문호준]], [[유창현(프로게이머)|유창현]]이 불참한 데다가 김승태 등이 실격당하는 바람에 본선 경합권 쪽에서 자리가 꽤 많이 비게 되어서[* 저번 시즌 개인전 참가자 중 무려 8명이나 이번 시즌에 불참했다. 이 중 3명이 결승 진출자, 4명이 16강 진출자였다. 그래서 8자리나 비게 되었는데, 뉴 페이스나 복귀 유저 중 유명 선수는 [[김정제]] 한 명이었기 때문에 남은 7자리는 신인이나 그다지 실력이 뛰어나지 않은 선수가 진출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었다.] 의외의 본선 진출자들이 꽤 등장했다. 카갤 등의 고인물 커뮤니티에서는 12차 리그처럼[* 이 때가 역대급 리그 물갈이 시즌 중 하나였던 데다가, 수능 등의 이유로 리그를 잠시 휴식한 주축 선수들도 나오다보니 이 시즌에만 딱 한번 겨우 나오고 다시는 못 나온 선수나, 이 시즌에서는 16강 이상 진출하면서 활약했지만 그 후에는 32강도 갈락말락하면서 부진한 선수들이 여럿 등장했다. 안한별 이외의 여자 선수가 등장한 시즌도 바로 이 시즌인데, 훗날 모 프로팀 감독에게 대놓고 선수가 되기에는 힘든 실력이었는데 이 리그 예선이 워낙 쉬워서 운 좋게 올라온 것이라고 디스당했다.] 반쯤 빈집털이 리그 취급하는 중. * 정승민이라는 사람이 2명 참여했는데, 공교롭게도 이 둘이 패자부활전에서 만나게 되었다. 덕분에 패자부활전 최종전 명단은 정승민이 2번 들어가게 되었다. * 이번 개인전 리그의 신인 선수는 9명이다(노준현, 최태원, 권승주, 이은서[* 지난 시즌 개인전 예선에서 초반에 치고 나가다가 후반 부진 때문에 [[김승래]]에게 마지막 경기에서 역전당하고 탈락한 전적이 있다. 이름 때문에 여자라는 오해를 간혹 받는데 남자다(...) 유명 클럽에 소속된 여자유저 중에 은서라는 사람이 있어서 더 오해를 많이 받는 듯. 물론 알면서 여자드립 치는 경우도 많다.], 이정우, 정승민[* 바나나좌로 유명한 아이템 선수 정승민이 아닌 에퍼메이션 클럽 소속의 동명이인이다.], 전진우[* 지난 2번의 리그에서 연속으로 1점차로 떨어졌던 이력이 있다(...) 드디어 개인전 본선을 갈 수 있게 된다.], 유관영, 윤준혁[* 'Threat새벽c'이라는 닉네임으로 최싄카트 클럽대항전에 출전한 경력이 있으며 단 3점 차이로 최종전 4위로 밀렸지만 장채민이 그랑프리 대리로 실격되면서 리그 개막 이틀 전에 본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이 중 전진우와 유관영의 경우는 팀전으로 리그에 나간 적이 있기 때문에 순수 신인은 7명. 이들 중 노준현을 제외하면 전원 패자부활전으로 진출했다. * 이번 팀전 리그의 신인 선수는 7명이다(노준현, 이은서, 박대한, 박민호, 유민선, 정유민, 최민석). 이 중 박민호, 정유민, 최민석은 개인전으로 리그에 나간 적이 있기 때문에 순수 신인은 4명이다. * 팀전과 개인전을 합쳐서 출전하는 순수 신인은 총 9명으로 팀전에만 나가는 순수 신인은 박대한, 유민선, 개인전에만 나가는 순수 신인은 최태원, 권승주, 이정우, 정승민, 윤준혁, 팀전과 개인전에 모두 나가는 순수 신인은 노준현[* 개월드로 유명한 온라인 고수. 이전 시즌 노창현, 이지우처럼 군필라이더다. 입대 전인 듀얼 레이스 3에서는 김상수팀에 나왔으나 최종전에서 김택환 팀에 스피드, 아이템 두 세트를 모두 내주는 졸전 끝에 예선탈락하고 말았다.], 이은서가 있다. * [[이재인(프로게이머)|이재인]]이 지지난 시즌에 이어서 또 예선탈락이라는 수모를 겪었다. 패자부활전 때 3라운드까지 진출했고 여기서 최종 패자부활전까지는 어떻게 살아남았으나 결국 여기서 7위를 기록하며 상위 3명 안에 들지 못했다. 가뜩이나 제대 이후로 폼이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정점을 찍었다. 저번 시즌 개인전리그 참가자 중에서는 정승민과 함께 유이한 이번 시즌 개인전 예선 탈락자. 게다가 Mystic 팀에 소속되어 있었던 탓에 다음날 팀전 예선에서는 1GO, SGAe스포츠 등의 쟁쟁한 팀을 상대해야 했고 결국 팀전까지도 예선탈락을 하게 되었다. 이후 이재인은 리그 은퇴를 선언하였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kart&no=2149757|링크]] * 아이템 에이스 한 명의 선수가 개인전에 출전하는 공식은 이번에도 유지되었다.[* '''유관영 통과''', 강석인, 사상훈, 김택진 불참, 정승민, 노창현 탈락, 이은택 기권.] * [[GC Busan E-STATS]]는 이번 시즌 본선 참가팀 중 유일하게 팀원 전원이 개인전에 진출하고 5인체제로 팀원 전원이 개인전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듀얼레이스3에서는 펜타휠즈와 오즈 판타스틱, 2019 시즌 1에서는 세비어와 꾼, 2019 시즌 2에서는 아무도 없었으며 2020 시즌 1은 샌드박스 게이밍 팀이 팀전과 개인전 본선에 팀원 전원이 진출했었는데 이 팀들은 전부 4인체제였다.] 반대로 SGAe스포츠는 프로팀 중 한 명도 개인전에 진출하지 못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 특이하게도 [[동명이인]]이 많이 출전한 리그였는데 위에 서술했듯이 정승민이라는 이름을 가진 선수가 2명이나 나왔고 박현수는 무려 3명으로 동명이인이 많았던 예선전이었다. * 기권팀이 나온 D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조가 2경기만에 2승/2패 두 팀이 나뉠 정도로 생각보다 싱겁게 끝났다. B,C조는 진행을 안 했고 A조는 정상적으로 진행했는데 탈락이 확정된 SSD 팀은 아예 예능 컨셉으로 갔는지 마지막 LB팀과의 경기에서 소방차 9, 금계 9, 모비딕 X, 루루 X, 황금 달토끼 X, '''아무도 안 타는 전기톱 X, 국제선 X, 궁니르 X, 마법의 뚜러뻥 9(!!!) 조합''', 심지어 2-2로 맞선 막판에는 루나, 웨이브, 크캔, 히드라 조합으로 나갔다. 더 충격적인 것은 이러한 조합을 쓰고도 아이템전 세트를 가져갔다. * 본선 진출에 성공한 1GO 팀은 이후 팀명을 STARLIGHT로 변경하였으며 Resun'Z 팀도 MOTO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 Resun'Z팀의 경우 본선에 진출하면 소소하게나마 [[http://www.resunz.co.kr/|리썬즈몰]]의 스폰을 받을 수도 있었으나 팀 지원 프로젝트에 따라 일정 이상의 후원이 필요했기 때문에 결국 무산되었다.] [[분류: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