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1 미얀마 민주화 운동)] [목차] == 10월 4일 == * 국민통합정부(NUG)는 시민군과 정부군 간의 교전에서 정부군 96명이 사망하고 차량 5대를 파괴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2&aid=0003625152|#]] == 10월 8일 == * 국민통합정부(NUG)는 군사정권과의 전쟁을 선포한 지난달 7일부터 이달 6일까지 미얀마군·군정 임명 관리·군부 소유 기업들에 대한 공격이 총 953건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미얀마군 등 군정 인사 1,562명이 사망하고, 552명이 부상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11009034800076?section=international/all|#]] * 시민 방위군은 강고 칼레 고속도로를 점령하고 지뢰공격으로 미얀마군 40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는데 강고 칼레 고속도로는 친주와 시가잉 지역을 연결하는 요충지로 시민 방위군은 민간인들에게 고속도로 이용자제를 요청했다. == 10월 10일 == * 국민통합정부(NUG)이 시민군에 이은 경찰 창설에도 나섰다. [[https://m.yna.co.kr/view/AKR20211009036300009?section=international/all|#]] [[분류: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 == 10월 16일 == * 아세안에서 차기 정상회담에 흘라잉 총사령관을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5661223|#]] == 10월 19일 == * 아세안이 꺼내든 '정상회의 배제' 압박 카드에 결국 정치범들을 석방하기 시작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11019095500084?section=international/all|#]] 그러나 이들 중 최소 110명이 교도소에서 풀려났다가 다시 구금됐다고 보도된 상황. [[https://m.yna.co.kr/view/AKR20211022074251084?section=international/all|#]] == 10월 25일 == *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국민통합정부(NUG)측과 접촉해 쿠데타 사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https://m.yna.co.kr/view/AKR20211026174800076?section=international/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