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고급 물리학]]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지난 교육과정의 과목, rd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고급 물리학)]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계열 선택 과목)] [목차] == 개요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계열 진로 선택 과목인 '''고급 물리학'''에 관한 문서. 약칭 고물. 과학 중점 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등에서 주로 개설되며, 선수 과목은 일반 선택 과목인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물리학|물리학]]'''이다. 고등학교 물리학 영역의 과목 중에서는 가장 내용의 수준이 높으나, 이전 교육과정과는 달리 무조건 한 학기짜리로 개설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이전보다 분량과 깊이 등이 크게 하향되었다. == 단원 == === 역학 === >[12고물01-01] 벡터를 이용하여 지표면 근처의 포물선 운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12고물01-02] 보존력과 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다양한 충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1-03] 회전 관성과 각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물체의 회전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1-04] 뉴턴의 운동 법칙과 케플러의 세 가지 운동 법칙을 이용하여 행성의 운동을 분석하고, 인공위성의 궤도와 속도를 구할 수 있다. >[12고물01-05] 이상 기체의 상태 변화와 거동을 이상 기체 방정식과 열역학 제1법칙 및 분자 운동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1-06] 열효율과 엔트로피의 개념을 알고, 열기관과 자발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전자기학 === >[12고물02-01] 가우스 법칙으로 도체와 유전체가 만드는 전기장을 구하고, 전위, 정전기 차폐와 등전위면, 전기 쌍극자 등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2-02] 평행판 축전기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따른 전기 용량 변화를 계산하고, 평행판 축전기에서 유전체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2-03] 전류에 의한 자기장과 전자기 유도 법칙, 자체 유도 계수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2-04] 전자기파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전자기파의 성질과 종류를 조사·발표할 수 있다. >[12고물02-05] 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하여, 다양한 회로 내 전류, 전압을 예측할 수 있다. >[12고물02-06] 교류 전기의 발생 원리와 교류 기전력의 주기적 변화를 이해하고, LC 회로와 RLC 회로에서 전기 진동과 공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 광학 === >[12고물03-01] 거울과 얇은 렌즈에 의한 상을 설명하고, 현미경, 망원경, 카메라 등 여러 가지 광학 기기의 원리에 적용할 수 있다. >[12고물03-02] 영의 이중 슬릿 실험에서 나타나는 무늬의 특징과 다양한 간섭계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3-03] 회절의 원리와 관련 현상을 설명하고, 광학 기기의 분해능에 적용할 수 있다. >[12고물03-04] 편광 방향에 따라 빛의 투과가 달라지는 현상에서 규칙성을 찾고, 3D 영상 기술 등 편광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사례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 현대 물리 === >[12고물04-01] 가속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관성력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4-02] 시공간 및 질량과 에너지의 관계와 중력에 의한 시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4-03] 빛의 이중성을 흑체복사, 광전효과, 콤프턴 효과를 바탕으로 이해하고, 물질파를 드 브로이 파장과 전자 회절로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4-04]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물04-05]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의 입자가 갖는 파동 함수와 에너지 준위를 정량적으로 설명하고, 반도체를 띠 이론으로 이해하고, 나노 물리학의 전망을 토의할 수 있다. >[12고물04-06] 쿼크, 렙톤, 매개 입자의 특성과 핵분열과 핵융합의 기본 과정, 별에서의 핵융합 반응과 플라스마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