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명과학|고급 생명과학]]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지난 교육과정의 과목, rd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고급 생명과학)]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계열 선택 과목)] [목차] == 개요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계열 진로 선택 과목인 '''고급 생명과학'''에 관한 문서. 약칭 고생. 과학 중점 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등에서 주로 개설되며, 선수 과목은 일반 선택 과목인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생명과학|생명과학]]'''이다. 고등학교 생명과학 영역의 과목 중에서는 가장 내용의 수준이 높으나, 이전 교육과정과는 달리 무조건 한 학기짜리로 개설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이전보다 분량과 깊이 등이 크게 하향되었다. == 단원 == === 생물의 구조와 에너지 === >[12고생01-01] 세포를 구성하는 탄소 화합물의 종류와 구조를 이해하고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의 기능을 나타내는 분자 구조 모형을 생성하고 설명할 수 있다. >[12고생01-02] 비순환적 광인산화와 순환적 광인산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순환적 광인산화 과정의 의의를 생명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추론할 수 있다. >[12고생01-03] 광합성을 통한 포도당 합성에서 중간 산물의 생성과 변화 과정을 밝힌 탐구 자료를 분석하여 캘빈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12고생01-04] 광호흡과 환경에 대한 적응의 측면에서 C3, C4, CAM 식물의 차이에 관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12고생01-05] 해당과정과 TCA 회로에서 중간 산물의 생성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해당과정의 속도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생01-06] 산화적 인산화에서 ATP 합성효소의 ATP 합성 과정에 관한 탐구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 생물의 조절과 방어 === >[12고생02-01] 생물의 세포 간 신호 전달 방식을 이해하고 모형을 제작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고생02-02] 사람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을 알고 수용성 호르몬과 지용성 호르몬의 작용 경로를 막의 투과성과 연계하여 추론할 수 있다. >[12고생02-03] 신경 세포의 막전위 변화를 이온의 이동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활동 전위의 전도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을 조사하여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12고생02-04] 시냅스 전달의 과정을 이해하고, 시냅스후 전위의 합에 대한 자료 해석과 분석을 통해 시냅스후 전위의 생성에 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2고생02-05] 면역에 관여하는 요소와 세포의 기능을 바탕으로 선천적 면역과 후천적 면역에 관한 차이를 추론할 수 있다. >[12고생02-06] 림프구의 종류와 기능,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 과정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생명의 연속성 === >[12고생03-01] DNA 복제 과정의 교정과 손상된 DNA의 수선 과정을 이해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12고생03-02] 생명체의 전사 과정에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함을 이해하고, 전사 과정에서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생03-03] 유전 암호를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과정과 결과를 조사하고 해석하여 유전 암호표를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12고생03-04] 유전자 발현 조절 과정에서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생03-05]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진화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 생명공학기술과 미래 === >[12고생04-01] 세포와 조직을 배양하는 세포 공학 기술의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특징과 원리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12고생04-02] 유전공학 기술에 활용되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조사하고 재조합 과정과 원리를 설명하는 모형을 제작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고생04-03]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생명공학기술의 유용성을 이해하고 생명공학기술 관련 다양한 학문 분야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12고생04-04]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초래될 수 있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근거를 들어 주장할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