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고급 화학]]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지난 교육과정의 과목, rd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고급 화학)]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계열 선택 과목)] [목차] == 개요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계열 진로 선택 과목인 '''고급 화학'''에 관한 문서. 약칭 고화. 과학 중점 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등에서 주로 개설되며, 선수 과목은 일반 선택 과목인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화학]]'''이다. 고등학교 화학 영역의 과목 중에서는 가장 내용의 수준이 높으나, 이전 교육과정과는 달리 무조건 한 학기짜리로 개설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이전보다 분량과 깊이 등이 크게 하향되었다. == 단원 == === 물질의 구조 === >[12고화01-01] 오비탈은 전자의 에너지와 위치의 정보를 가진 함수임을 이해하고, 오비탈을 이용한 원자의 현대적 모형에 호기심을 갖는다. >[12고화01-02] 전형 원소와 전이 원소에 속하는 원자의 바닥 상태의 전자 배치를 나타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다. >[12고화01-03] 다양한 화학 결합의 원리를 이해하고, 입자 간 거리와 에너지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12고화01-04] 루이스 구조식을 이용하여 형식 전하와 공명 구조를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분자의 안정성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1-05] 원자가 결합 이론과 혼성 오비탈의 정의를 이해하고, 혼성 오비탈로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탄소 화합물 분자 구조를 탐색할 수 있다. >[12고화01-06] 포화 및 불포화 탄화수소의 이성질체를 이해하고, 이성질체를 구조식으로 그려 비교할 수 있다. >[12고화01-07] 탄화수소 유도체에서 다양한 작용기의 특징을 알고, 산 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과 연관 지을 수 있다. === 물질의 성질 === >[12고화02-01]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를 기체 분자 운동론으로 이해하고,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의 속력 분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12고화02-02] 이상 기체 방정식을 이해하고, 혼합 기체의 부분 압력과 몰 분율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2-03] 이상 기체와 실제 기체의 차이를 이해하고, 실제 기체의 성질이 이상 기체와 다른 원인을 탐색할 수 있다. >[12고화02-04] 물질의 증기압, 끓는점, 표면 장력, 모세관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분자 간 상호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2-05] 고체의 단위세포 개념을 이해하고, 결정성 고체의 다양한 단위세포를 비교하여 고체의 특성과 연관 지을 수 있다. >[12고화02-06] 다양한 농도 단위를 이해하고,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할 수 있다. >[12고화02-07] 묽은 용액에서 나타나는 총괄성의 정의를 이해하고,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현상을 이용한 예를 탐색할 수 있다. === 물질의 변화와 에너지 === >[12고화03-01] 계의 내부 에너지 변화를 열과 일로 나타내고, 에너지 보존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3-02] 엔탈피의 정의를 이해하고 헤스 법칙을 활용하여 다양한 화학 반응의 반응 엔탈피를 예측할 수 있다. >[12고화03-03] 엔트로피의 정의를 이해하고 화학 변화에서 엔트로피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12고화03-04] 깁스 자유 에너지의 정의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반응의 자발성을 예측할 수 있다. >[12고화03-05] 산화・환원 반응에서 산화수 정의를 이해하고, 산화수 변화를 통해 산화・환원 반응식을 완성할 수 있다. >[12고화03-06] 표준 환원 전위의 정의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물질의 표준 환원 전위를 활용하여 화학 전지의 표준 전지 전위차를 구할 수 있다. >[12고화03-07] 표준 전지 전위차와 깁스 자유 에너지 관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화학 전지에 호기심을 갖는다. >[12고화03-08] 전기 분해의 원리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하고, 전기량과 생성물의 양적 관계를 활용하여 전기량 또는 생성물의 양을 예측할 수 있다. === 물질의 변화와 화학 평형 === >[12고화04-01] 질량 작용 법칙으로 평형 상수를 구하고, 반응 지수를 활용하여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12고화04-02] 온도와 평형 상수와의 관계를 표준 깁스 자유 에너지 변화로 표현하고, 화학 평형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4-03] 상평형과 용해 평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평형 상수를 활용하여 평형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12고화04-04] 루이스 산 염기 정의를 이해하고, 산 염기 평형을 이온화 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 >[12고화04-05] 약산과 약염기의 중화 반응 시 특징을 이해하고, pH를 pKa 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12고화04-06] 다양한 산 염기 중화 적정 곡선을 이해하고, 완충 용액의 pH 변화를 관찰하여 완충 용액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다. >[12고화04-07] 화학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아레니우스 식을 이용하여 반응 속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4-08] 0, 1, 2차 반응의 적분 속도식을 이해하고, 이를 반응 속도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12고화04-09] 유효 충돌의 의미를 이해하고, 온도와 농도 변화 시 반응 속도의 변화를 충돌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12고화04-10]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반응 속도 결정 단계가 전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다. >[12고화04-11] 다양한 촉매의 정의를 이해하고, 촉매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 변화 원인을 추론할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