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화학 실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이 계승한 지난 교육과정의 과목, rd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 실험)] [include(틀: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계열 선택 과목)] [목차] == 개요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계열 융합 선택 과목인 '''화학 실험'''에 관한 문서. 약칭 화실. 과학 중점 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등에서 주로 개설되며, 과학 계열 진로 선택 과목인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고급 화학|고급 화학]]'''이 사실상 이 과목의 선수 과목이다. 이전 교육과정과는 달리 무조건 한 학기짜리로 개설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이전보다 분량과 깊이 등이 크게 하향되었다. == 단원 == === 화학 실험의 기초 === >[12화실01-01] 유효숫자 처리 원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값과 계산값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 >[12화실01-02] 여러 가지 부피, 질량, 온도, pH 측정 도구의 특징을 비교하고 각각의 사용법을 익혀, 상황에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12화실01-03] 다양한 첨단 기자재의 원리를 이해하고 첨단 기자재로 얻은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12화실01-04] 여러 가지 농도의 개념을 이용하여 필요한 농도의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 물질의 성질 === >[12화실02-01] 원소의 스펙트럼을 관찰하여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양자화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2-02] 분자량을 아는 기체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여 기체 상수를 도출하고, 이론값과 차이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토론하여 실험 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12화실02-03] 이상 기체 방정식을 활용하여 미지 기체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ㆍ수행함으로써 이론을 바탕으로 미지 세계를 밝히는 과학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12화실02-04] 3D 모델링을 통해 단순 입방, 체심 입방, 면심 입방, 육방 밀집 결정 구조를 만들고, 각 결정의 단위세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2-05] 다양한 여과법을 이해하고 필요한 장치를 꾸며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12화실02-06] 추출의 원리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하고, 분배 계수를 이용하여 효과적 추출 방법을 논의할 수 있다. >[12화실02-07]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특정 성분의 물질을 얻을 수 있다. >[12화실02-08] 재결정과 분별 결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12화실02-09] 다양한 종류의 크로마토그래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12화실02-10] 분별 증류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12화실02-11] 여러 가지 액체의 증기압을 측정하고, 액체의 종류에 따른 증기압을 분자 간 상호 작용의 크기로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2-12] 증기압 내림을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열역학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2-13] 어는점 내림 원리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수용성 고체의 화학식량을 구하는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다. >[12화실02-14] 용액의 삼투압을 측정하여 고분자 물질의 화학식량을 구할 수 있다. === 화학 반응 === >[12화실03-01]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의 반응열을 측정하여 헤스 법칙이 성립함을 확인하고, 반응 엔탈피를 포함한 열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화실03-02] 농도, 온도, 압력 변화에 따른 평형 이동을 관찰하고 평형 상수를 구하여 화학 평형과 수학적 규칙의 연관성에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12화실03-03] 중화 적정 실험을 수행하여 미지 산의 농도를 구함으로써 과학적 문제해결 방식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12화실03-04] 산화・환원 적정의 원리를 이용하여 미지의 수용액 농도를 구함으로써 과학적 문제해결 방식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12화실03-05]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 전지를 꾸미고 기전력을 결정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3-06] 전기 분해를 통해 두 전극에서 생성되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고 이론적 예측값과 비교할 수 있다. >[12화실03-07] 화학 반응의 초기 반응 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하여 반응 속도식과 반응 차수를 구할 수 있다. >[12화실03-08] 농도, 온도, 촉매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설계할 수 있다. === 탄소 화합물의 합성과 특성 === >[12화실04-01] 여러 가지 탄화수소의 서로 다른 성질을 관찰하고, 이를 분자 구조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4-02] 여러 가지 알코올의 산화 실험을 수행하고, 생성물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할 수 있다. >[12화실04-03] 다양한 탄화수소 유도체의 반응을 관찰하고, 이를 작용기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4-04] 비누를 제조하고, 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4-05] 벤젠, 나프탈렌 등 방향족 탄화수소의 구조와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12화실04-06] 아스피린을 합성하고, 합성 화학이 인류 문명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