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럭비 월드컵 세븐스)] ||<-2><#003768> '''{{{+3 2022 Rugby World Cup Sevens}}}''' || ||<-2>[[파일:2022 RWC 7s.png|width=100%]]|| || '''개최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케이프타운]] || || '''대회 기간''' ||2022.9.9. ~ 11. || || '''본선 참가국''' ||24개국[* 여자부 16개국] || || '''경기 수''' ||52경기 || || '''이전 대회''' ||[[2018 럭비 월드컵 세븐스]] || || '''다음 대회''' ||[[2026 럭비 월드컵 세븐스]] || ||<-2><#003768> '''{{{#fff 대회 결과}}}''' || ||<#ffd700> '''우승'''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7인제 럭비 국가대표팀|'''{{{#000 피지}}}''']] || ||<#c0c0c0> '''준우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7인제 럭비 국가대표팀|'''{{{#000 뉴질랜드}}}''']] || ||<#cd7f32> '''3위'''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7인제 럭비 국가대표팀|'''{{{#000 아일랜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공에서 열린 제8회 [[7인제 럭비 월드컵]]이자,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7인제 월드컵이다. 대회 경기장은 55,000명 규모의 [[케이프타운 스타디움]]이다. 여자부도 남자부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되나, 본 문서는 남자부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 유치 과정 == 총 11개국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2019년 7월 16일까지 [[월드 럭비]]에 각 유니언들이 신청서를 제출했고, 그중 남아공이 동년 10월 29일에 선정되었다. 선정되지 못한 10개국은 아래와 같다. 신청한 나라들을 살펴보면 생각보다 놀랍다. * '''아메리카''' - 아르헨티나, 케이맨 제도, 자메이카 * '''유럽''' - 프랑스, 독일, 스코틀랜드 * '''아프리카''' - 카타르, 튀니지 * '''아시아''' - 인도, 말레이시아 참고로 자메이카는 [[럭비 월드컵]] 개최 의사도 밝혔던 나라다(...) == 예선 및 조편성 == 총 72개국이 예선에 참가했다. 지난 2018년 대회에서 8강에 든 팀들이[* 남아공은 개최국이면서 8강에 들었었다.]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고, 남은 16자리를 두고 예선을 치렀다. 예선에 주어진 자리는 유럽 4장,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에 3장, 북미 남미 아시아에 2장씩 주어졌다. * '''아프리카''' - 2022 아프리카 세븐스를 통해 14개팀 중 1~3위인 '''우간다''', '''짐바브웨''', '''케냐'''가 본선에 진출했다. * '''북아메리카''' - 2022 RAN 세븐스에 참가한 13개팀 중 우승 및 준우승팀인 '''캐나다'''와 '''자메이카'''가 본선에 진출했다. * '''남아메리카''' - 2021 수드아메리카 럭비 세븐스에서 9팀이 경쟁하여 우승 '''우루과이''', 준우승 '''칠레'''가 본선에 진출했다. * '''아시아''' - 2021 [[아시아 럭비 세븐스 시리즈]]에서 12팀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조별리그에서 홍콩에 7:14 패, 필리핀에 46:0 승, 말레이시아에 40:7 승, 조 2위로 4강전에 진출했다. 불행히도 4강전에서 일본을 만났는데, 기적적으로 21:14로 꺾으며 결승에 진출하며 본선행을 확정지었다. 결승에서 비록 홍콩에 7:33으로 크게 패했으나 17년만에 월드컵 본선에 오르는 쾌거를 이룩했다. * '''유럽''' - 12개국이 참가한 유럽 예선은 '''아일랜드''', '''독일''', '''웨일스''', '''포르투갈'''이 본선 진출을 이뤘다. * '''오세아니아''' - 코로나19로 예선을 치를 수 없었던 오세아니아는 2018년 월드컵에서 각각 10위와 13위를 기록한 '''호주''', '''사모아'''와 2019 오세아니아 세븐스에서 5위를 기록한 '''통가'''를 진출시켰다. --지난 월드컵에서 22위를 한 통가가 올라갔는데 21위를 한 파푸아뉴기니는 억울하다-- == 심판 == 월드 럭비는 8개국 출신 10명의 심판진을 선임했다. * 이탈리아 - 쟌루카 녜키 * 잉글랜드 - 애덤 릴 * 프랑스 - 제레미 로지에 * 남아공 - 모네 페레이라, 에이제이 야콥스 * 호주 - 루벤 키니, 조던 웨이 * 뉴질랜드 - 닉 호건 * 피지 - 테비타 로코베레니 * 우루과이 - 프란시스코 곤살레스 == 대회 진행 == 2019-20 및 2021-22 [[월드 럭비 세븐스 시리즈]] 참가 팀 중 예선 탈락한 일본과 스페인을 제외하고 14개팀은 두 시즌 합계 성적으로, 그리고 나머지 10개팀은 2020 [[월드 럭비 세븐스 챌린저 시리즈]] 및 지역 예선 성적에 따라 시드 번호를 1부터 24까지 매겼다. || 1 || 남아공 || 9 || 아일랜드 || 17 || 칠레 || || 2 || 호주 || 10 || 캐나다 || 18 || 우루과이 || || 3 || 피지 || 11 || 사모아 || 19 || '''대한민국''' || || 4 || 아르헨티나 || 12 || 스코틀랜드 || 20 || 통가 || || 5 || 뉴질랜드 || 13 || 케냐 || 21 || 자메이카 || || 6 || 미국 || 14 || 웨일스 || 22 || 우간다 || || 7 || 프랑스 || 15 || 홍콩 || 23 || 짐바브웨 || || 8 || 잉글랜드 || 16 || 독일 || 24 || 포르투갈 || 여기서 1~8번 자동 16강 진출, 9~24번은 서로 단판 플레이오프를 통해 16강 진출에 도전한다. === 16강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대진은 시드 9vs24, 10vs23 ... 16vs17로 이뤄진다. 19번인 대한민국의 상대는 14번인 웨일스. 시작부터 난관이다. || 1조 || 아일랜드 24 : 0 포르투갈 || || 2조 || 캐나다 31 : 7 짐바브웨 || || 3조 || 사모아 33 : 7 우간다 || || 4조 || 스코틀랜드 24 : 7 자메이카 || || 5조 || 케냐 19 : 0 통가 || || 6조 || 웨일스 33 : 10 대한민국 || || 7조 || 홍콩 7 : 19 우루과이 || || 8조 || 독일 12 : 15 칠레 || 당연히 하위 시드들은 썰려 나갔고, 오직 우루과이와 칠레만이 전력차가 크지 않은 홍콩과 독일을 무찌르고 16강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진 8팀은 패자전인 17~24위 결정전에 진출한다. === 16강전 === 16강은 챔피언십 컵 타이틀이 걸려 있다.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남아공 32''' : 5 칠레 ||<|2> 남아공 14 : '''24 아일랜드''' ||<|4> '''뉴질랜드 17''' : 10 아일랜드 ||<|8> '''피지 29''' : 19 뉴질랜드 || || 잉글랜드 5 : '''17 아일랜드''' || || '''뉴질랜드 43''' : 5 스코틀랜드 ||<|2> 아르헨티나 5 : '''12 뉴질랜드''' || || '''아르헨티나 22''' : 7 케냐 || || '''피지 29''' : 5 웨일스 ||<|2> '''피지 21''' : 10 사모아 ||<|4> 호주 14 : '''38 피지''' || || 미국 12 : '''40 사모아''' || || '''프랑스 19''' : 12 캐나다 ||<|2> '''호주 14''' : 5 프랑스 || || '''호주 35''' : 0 우루과이 || 피지가 우승, 뉴질랜드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 '''3/4위 결정전''' || || 호주 14 : '''19 아일랜드''' || 아일랜드가 3위, 호주가 4위를 차지했다. ==== 5~8위 결정전 ==== || '''4강전''' || '''결승전''' || || 남아공 19 : '''26 아르헨티나''' ||<|2> '''아르헨티나 10''' : 7 프랑스 || || '''프랑스 24''' : 17 사모아 || 아르헨티나가 5위, 프랑스가 6위를 차지했다. || '''7/8위 결정전''' || || '''남아공 35''' : 5 사모아 || 남아공이 7위, 사모아가 8위를 차지했다. ==== 9~16위 결정전 ==== 챌린지 트로피 타이틀이 걸려 있다. || '''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잉글랜드 35''' : 0 칠레 ||<|2> '''잉글랜드 36''' : 0 케냐 ||<|4> '''잉글랜드 28''' : 5 우루과이 || || 스코틀랜드 5 : '''24 케냐''' || || '''미국 33''' : 5 웨일스 ||<|2> 미국 19 : '''21 우루과이''' || || 캐나다 12 : '''19 우루과이''' || 잉글랜드가 9위, 우루과이가 10위를 달성했다. 시드 18번이 10위를 하는 기염을 토한 것. 반면 시드 6번 미국은 우루과이에게 지는 참극을 경험했다. || '''11/12위 결정전''' || || '''미국 26''' : 19 케냐 || 미국이 11위, 케냐가 12위를 차지했다. ===== 13~16위 결정전 ===== || '''4강전''' || '''결승전''' || || 스코틀랜드 21 : '''24 칠레''' ||<|2> '''캐나다 12''' : 10 칠레 || || '''캐나다 33''' : 19 웨일스 || 스코틀랜드도 칠레에게 지는 참극이 일어났다. 캐나다가 13위, 칠레가 14위를 거두었다. || '''15/16위 결정전''' || || 스코틀랜드 21 : '''24 웨일스''' || 웨일스가 15위, 스코틀랜드 16위에 올랐다. === 17~24위 결정전 === 볼(Bowl) 타이틀이 걸려있다. 대진은 16강 플레이오프의 1조vs8조, 4조vs5조, 3조vs6조, 2조vs7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상대는 3조의 패자 우간다. || '''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독일 21''' : 14 포르투갈 ||<|2> '''독일 17''' : 12 통가 ||<|4> 독일 12 : '''19 우간다''' || || '''통가 17''' : 0 자메이카 || || 대한민국 0 : '''12 우간다''' ||<|2> 홍콩 5 : '''14 우간다''' || || '''홍콩 28''' : 0 짐바브웨 || 우간다가 17위, 독일이 18위를 차지했다. || '''19/20위 결정전''' || || '''홍콩 19''' : 0 통가 || 홍콩이 19위, 통가가 20위를 차지했다. ==== 21~24위 결정전 ==== || '''4강전''' || '''결승전''' || || 자메이카 7 : '''31 포르투갈''' ||<|2> '''대한민국 12''' : 10 포르투갈 || || '''대한민국 31''' : 19 짐바브웨 || 대한민국이 21위, 포르투갈이 22위를 차지했다. || '''23/24위 결정전''' || || 자메이카 17 : '''31 짐바브웨''' || 짐바브웨가 23위, 자메이카가 최하위인 24위를 차지했다. 지난 대회와 똑같은 결과다. == 통계 == * '''총 관중''' : 105,000명 * '''총 득점''' : 1,726점 (평균 33.2점) * '''총 트라이''' : 276회 (평균 5.3회) * '''최우수 선수''' :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카미니엘리 라사쿠 * '''최다 득점'''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브록 웹스터,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스티브 오노사이 (35점) * '''최다 트라이'''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스티브 오노사이 (7회) == 드림팀 == 1. 조세바 칼라콜로 (피지) 2. [[제리 투와이]] (피지) 3. 카미니엘리 라사쿠 (피지) 4. 해리 맥널티 (아일랜드) 5. 테리 케네디 (아일랜드) 6. 스콧 커리 (뉴질랜드) 7. 은가로히 맥가비블랙 (뉴질랜드) [[분류:럭비 월드컵 세븐스]][[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럭비 대회]][[분류:2022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