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팀전)] [include(틀:2022 KRPL 시즌1 경기 진행)] [목차] [clearfix] == 개요 == ||<-2><:> '''{{{#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 팀전 결승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10%, #fff, #fff, #fff)" [[Team GP/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db0632 {{{+1 '''GP'''}}}}}}]]}}}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db0632 -10%, #fff, #fff, #fff)" [[게임코치|{{{#000000 {{{+1 '''GCA'''}}}}}}]]}}}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22px 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10%, #fff, #fff, #fff)" [[파일:Team_GP_logo.png|width=130]]}}} || {{{#!wiki style="margin: -22px -10px; padding: 3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db0632 -10%, #fff, #fff, #fff)" [[파일:GCA logo.png|width=130]]}}}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의 팀전 결승을 기록한 문서. 결승 진출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에 직행한 {{{#d13 '''레드 팀'''}}} {{{#d13 '''Team GP'''}}}와 플레이오프에서 [[크크하이|KKHI]]를 꺾고 올라온 {{{#dodgerblue '''블루 팀'''}}} [[게임코치|{{{#dodgerblue '''GAMECOACH'''}}}]]가 맞붙는다. 스피드전 및 아이템전 각각 7판 4선승제로 진행하며 동점 시 에이스 결정전 1대1 단판으로 진행하여 승부를 결정하게 된다. == 장소 == ||
<:> '''[[https://www.ivexstudio.com/front/fcltyInfo.do|{{{+1 {{{#white '''광명 IVEX 스튜디오'''}}}}}}]]''' || ||<:> '''{{{#000 현장 수용 인원: 300명}}}''' || == 경기 전 == === 프리뷰 === * 팀 기록 ||<-7> {{{#fff '''시즌 전체 전적 비교 '''}}} || ||<-3> '''Team GP''' || {{{#000,#fff '''팀명'''}}} ||<-3> '''{{{#fff GAME COACH}}}''' || ||<-3> '''23승 8패(74.2%)''' || '''{{{#ffffff 스피드 트랙 전적}}}''' ||<-3> 22승 11패(65.6%) || ||<-3> '''6승 1패(85.7%)''' || '''{{{#ffffff 스피드 세트 전적}}}''' ||<-3> 6승 2패(75%) || ||<-3> 6승 2패(75%) || '''스피드 고정 트랙[* 문힐시티 폭우속의 질주] 전적''' ||<-3> '''7승 1패(87.5%)''' || ||<-3> 8승 2패(80%) || '''스피드 팀 픽 전적''' ||<-3> 6승 7패(46.2%) || ||<-3> 2승 9패 (18.1%) || '''스피드 상대픽 전적''' ||<-3> '''4승 7패(36.4%)''' || ||<-3> 23승 11패(67.6%) || '''{{{#ffffff 아이템 트랙 전적}}}''' ||<-3> '''19승 4패(82.6%)''' || ||<-3> '''6승 2패(75%)''' || '''{{{#ffffff 아이템 세트 전적}}}''' ||<-3> '''6승 2패(75%)''' || ||<-3> '''7승 1패(87.5%)''' || '''아이템 고정 트랙[* 월드 파리 드라이브] 전적''' ||<-3> '''7승 1패(87.5%)''' || ||<-3> 8승 5패(61.5%) || '''아이템 팀 픽 전적''' ||<-3> '''9승 2패(81.8%)''' || ||<-3> 3승 8패 (27.3%) || '''아이템 상대픽 전적''' ||<-3> '''5승 4패(55.6%)''' || * 선수 기록(스피드전) ||<-5> {{{#fff '''스피드전 평균 순위'''}}} || ||<-2> {{{#fff '''Team GP'''}}} ||<|7> ||<-2> {{{#fff '''GAME COACH'''}}} || || 선수명 || 전체 평균순위 || 선수명 || 전체 평균순위 || || SSEAL || 3.42 || RUNMIMGI || 3.30 || || SIWOO || 4.18 || Roxy || 5.05 || || JJONG || 3.39 || RAMGONG || 4.23 || || DAIN || 4.57 || LIMIT || 4.23 || * 트랙별 전적 || {{{#fff '''스피드전 트랙별 팀 승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트랙[br] || '''Team GP''' || '''{{{#fff GAME COACH}}}''' || || 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 6승 2패[br](75.0%) || 6승 3패[br](67.0%) || || 차이나 용의 운하 || 0승 0패[br](0.0%) || 1승 0패[br](10.0%) || || 도검 구름의 협곡 || 1승 0패[br](100.0%) || 2승 1패[br](67.0%) || ||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 2승 0패[br](100.0%) || 1승 1패[br](50.0%) || ||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 || 2승 0패[br](100.0%) || 1승 1패[br](50.0%) || || 브로디 비밀의 연구소 || 0승 0패[br](0.0%) || 2승 0패[br](100.0%) || || 비치 해변 드라이브 || 0승 0패[br](0.0%) || 2승 1패[br](67.0%) || || 해적 상어섬의 비밀 || 1승 2패[br](33.3%) || 5승 0패[br](10.0%) || ||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 1승 0패[br](100.0%) || 0승 1패[br](0.0%) || || 빌리지 붐힐터널 || 2승 0패[br](100.0%) || 0승 0패[br](0.0%) || || 팩토리 두 개의 공장 || 2승 0패[br](100.0%) || 0승 2패[br](0.0%) || || WKC 브라질 서킷 || 2승 1패[br](66.6%) || 1승 1패[br](50.0%) || || 해적 숨겨진 보물 || 0승 1패[br](0.0%) || 1승 0패[br](100.0%) || || 신화 신들의 세계 || 1승 0패[br](100.0%) || 1승 1패[br](50.0%) || || 빌리지 익스트림 경기장 || 2승 2패[br](50.0%) || 2승 1패[br](67.0%) || }}}}}}}}} || || {{{#fff '''아이템전 트랙별 팀 승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트랙[br] || '''Team GP''' || '''{{{#fff GAME COACH}}}''' || || 월드 파리 드라이브 || 7승 1패[br](87.5%) || 7승 2패[br](77.7%) || || 동화 카드왕국의 미로 || 2승 2패[br](50.0%) || 2승 1패[br](66.6%) || || 광산 보석 채굴장 || 2승 1패[br](66.6%) || 0승 2패[br](0.0%) || || 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 3승 1패[br](75.0%) || 0승 2패[br](0.0%) || || 해적 어질어질 부둣가 || 2승 3패[br](40.0%) || 3승 2패[br](60.0%) || || 신화 빛의 길 || 2승 0패[br](100.0%) || 0승 0패[br](0.0%) || || 공동묘지 유령의 계곡 || 1승 0패[br](100.0%) || 1승 0패[br](100.0%) || || 차이나 빙등축제 || 0승 0패[br](0.0%) || 0승 0패[br](0.0%) || || 쥐라기 아슬아슬 화산 점프 || 0승 0패[br](0.0%) || 1승 1패[br](50.0%) || || 차이나 서안 병마용 || 1승 0패[br](100.0%) || 4승 2패[br](66.6%) || || 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 0승 1패[br](0.0%) || 0승 0패[br](0.0%) || || 사막 피라미드 탐험 || 2승 0패[br](100.0%) || 1승 0패[br](100.0%) || || 네모 네모난 마을 || 0승 1패[br](0.0%) || 0승 0패[br](0.0%) || || 포레스트 유격장 || 0승 0패[br](0.0%) || 0승 0패[br](0.0%) || || 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 1승 0패[br](100.0%) || 1승 1패[br](50.0%) || }}}}}}}}} || * 스피드전 스피드전은 GP와 GCA가 막상막하를 예측하는 상황에서 GP가 조금 더 우세할 것으로 예상된다. GP는 이번 시즌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면 압도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스피드전 경기를 풀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줬다. 게다가 JJONG의 영입 이후로 스피드전에서 전력이 강화되었고 GCA를 상대로 2번이나 승리를 거두었다. 그렇다고 해서 방심은 금물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경기에 임해야 할 것이다. 반면 GCA는 GP에게 2번의 맞대결에서 2번 모두 졌다. 결승진출전에서 2연속으로 트랙을 가져왔으나 집중력이 좀 더 높았던 GP에게 4연속으로 내주면서 패배했다. 그러나 다른 팀을 상대로는 여전히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런민기가 개인전에서 최종전 끝에 탈락하면서 폼 저하 우려가 되었으나 크크하이와의 플레이오프때 에결에서 승리하면서 여전히 스피드 폼은 여전히 강하는 것을 증명해냈다. 다만 직전 시즌 결승때 약한 모습을 보였었는데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더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 아이템전 아이템전의 경우는 GCA의 우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GP가 스피드전에서 승리해도 아이템전에서 패배해 에결까지 가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GCA의 같은 경우는 GP에게 패배한 것 제외하고는 한번도 내주지 않았기 때문에 그만큼 합이 좋다는 평이다. 그러나 GCA가 직전 시즌 결승때 아이템전에서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번 시즌 결승 진출전에서도 GP를 상대로 한 트랙을 못가져왔기 때문에 아이템전 연습에 비중을 더 둘 것으로 보인다. * 에이스 결정전 사실상 GCA는 RUNMIMGI, GP는 JJONG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두 선수간의 에결이 지난 2021 시즌 2 8강 12경기인데 그 때는 JJong이 승리를 거두었다. ||<-5> {{{#fff '''결승전 승부예측(다른 팀 예측)'''}}} || ||<-2> '''Team GP''' ||<|1> {{{#000,#fff '''팀명'''}}} ||<-2> '''{{{#fff GAME COACH}}}''' || || 2:0 || 2:1 ||<|2> {{{#000,#fff '''vs'''}}} || 1:2 || '''0:2''' || || || || - || - || === {{{#d13 결승 진출전 승리팀}}} - [[Team GP/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red Team GP}}}]] ===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에서 SGA에게 밀려 4위로 마감해야 했던 GP가 JJONG을 영입한 이후로 이번 시즌에서 드디어 팀 창단 첫 결승이라는 업적을 쌓으며 결승전에 처음으로 얼굴 알리는 GP다. 8강 풀리그에서 FLUSH에게 에결 끝에 패배해 전승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놓치게 되었지만 결승 진출전에서 강력 우승팀 후보로 불리는 게임코치를 상대로 2:0 셧아웃을 내버리고 먼저 결승전에 발을 딛게 되었다. 과연 이번 시즌에는 지난 시즌 4위라는 굴욕을 씻어내고 첫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을지 관건이다. ==== {{{#d13 Team GP}}}가 우승 시 ==== * '''{{{#red 레드팀}}}'''이 3시즌 연속으로 우승을 달성한다 * 3시즌 연속 '''결승 진출전 승리 팀'''이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 팀전 우승 시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하게 된다. * SSEAL, SIWOO, DAIN, JEONGMIN은 팀전 우승 시 첫 우승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 * SSEAL은 팀전 우승 시 KRPL 최초 양대 우승을 달성할 수 있다. * [[한종문|JJONG]]은 팀전 우승 시 단독 팀전 최다 우승 및 3연속 우승을 달성할 수 있다. * [[런필모]]는 감독 커리어 첫 우승을 달성한다. * 5인팀이 우승하는 징크스가 유지된다. === {{{#dodgerblue PO 승리팀}}} - [[게임코치|{{{#dodgerblue GAME COACH}}}]] === 8강 풀리그에서 극적으로 1위에 올라 결승진출전에 올라갔지만 GP에게 아쉽게 패배하고 플레이오프에서도 에결 끝에 승리하여 2연속 결승전에 합류한 GCA다. 직전 시즌에서도 우승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나 당시 NTC에 막혀 준우승에 그쳐야했던 수모를 제대로 극복하고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을지 관심사다. ==== {{{#dodgerblue GAMECOACH}}}가 우승 시 ==== * '''{{{#blue 블루팀}}}'''이 처음으로 우승을 달성한다. *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처음으로 우승을 달성한다. * 팀전 우승 시 첫 창단 우승을 달성한다. * Roxy, LIMIT, RAMGONG은 데뷔 첫 우승을, RUNMINGI는 첫 팀전 우승을 달성한다. * --LIMIT, RAMGONG은 개인전 우승 시 KRPL 최초 양대 우승을 달성할 수 있다.-- * 팀전 우승 시 JJONG에게 첫 팀전 준우승을 안겨줄 수 있다. * KRPL 최초로 4인팀이 5인팀을 꺾고 우승할 수 있다. == 타이틀 영상 == || [youtube(9Yn-BLzkn-o)] || || '''{{{#ffffff 2022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 팀전 결승전 타이틀}}}''' || == 6월 19일 (일) - GP 2 : 1 GCA == [include(틀:KRPL 포스트시즌 프로필/시즌 1, 경기명=FINALS, A=Team GP, B=GAME COACH, A팀로고=Team_GP_logo.png, B팀로고=GCA logo.png , 퍼센트_A=26, 퍼센트_B=74, 추첨_A=1000코인, 추첨_B=1000코인 , A1=, A2=, A3=, A4=, A5= , B1=, B2=, B3=, B4=, B5= , A1S=, A1I=, A2S=, A2I=, A3S=, A3I=, A4S=, A4I=, A5S=, A5I= , B1S=, B1I=, B2S=, B2I=, B3S=, B3I=, B4S=, B4I=, B5S=, B5I= , S맵_기본지정=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S맵_2=브로디 비밀의 연구소, S맵_3=해적 상어섬의 비밀, S맵_4=빌리지 붐힐터널, S맵_5=해적 숨겨진 보물, S맵_6=팩토리 두 개의 공장, S맵_7=신화 신들의 세계 , S밴_1=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 S밴_2=빌리지 익스트림 경기장 , A_S1=14, A_S1패=, B_S1승=, B_S1=25 , A_S2=20, A_S2승=, B_S2패=, B_S2=19 , A_S3=19, A_S3패=, B_S3승=, B_S3=20 , A_S4=19, A_S4패=, B_S4승=, B_S4=20 , A_S5=14, A_S5패=, B_S5승=, B_S5=25 , A_S6=, A_S6승or패=, B_S6승or패=, B_S6= , A_S7=, A_S7승or패=, B_S7승or패=, B_S7= , 스피드결과_A=1, A스피드패=, 스피드결과_B=4, B스피드승= , I맵_기본지정=월드 파리 드라이브, I맵_2=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I맵_3=신화 빛의 길, I맵_4=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I맵_5=네모 네모난 마을, I맵_6=동화 카드왕국의 미로, I맵_7=공동묘지 유령의 계곡 , I밴_1=사막 피라미드 탐험, I밴_2=해적 어질어질 부둣가 , A_I1=SSEAL, A_I1승=, B_I1패=, B_I1= , A_I2=, A_I2패=, B_I2승=, B_I2=LimiT , A_I3=JEONGMIN, A_I3승=, B_I3패=, B_I3= , A_I4=SSEAL, A_I4승=, B_I4패=, B_I4= , A_I5=JJONG, A_I5승=, B_I5패=, B_I5= , A_I6=, A_I6승or패=, B_I6승or패=, B_I6= , A_I7=, A_I7승or패=, B_I7승or패=, B_I7= , 아이템결과_A=4, A아이템승=, B아이템패=, 아이템결과_B=1 , A팀에결선수=JJONG, B팀에결선수=RUNMINGI, A팀에결카트=슈퍼 코튼, B팀에결카트=슈퍼 코튼, 에결트랙=팩토리 두 개의 공장, A에결승=, B에결패=, A팀최종결과=CHAMPION, B팀최종결과=RUNNER-UP, A팀최종승=, B팀최종패= )] * 경기 전: 결국 결승 진출전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두 팀 모두 창단 첫 우승을 노리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fff '''스피드전 경기별 정리'''}}} || ||Speed Round 1 : {{{#dodgerblue '''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Speed Round 2 : {{{#d13 '''브로디 비밀의 연구소'''}}} Speed Round 3 : {{{#dodgerblue '''해적 상어섬의 비밀'''}}} Speed Round 4 : {{{#dodgerblue '''빌리지 붐힐터널'''}}} Speed Round 5 : {{{#dodgerblue '''해적 숨겨진 보물'''}}} 총평 * {{{#dodgerblue '''승리 팀 - GAME COACH'''}}}: * {{{#d13 '''패배 팀 - Team GP'''}}}: {{{#!folding [스피드전 순위] ||
<-11> {{{#fff '''스피드전 순위 & 기록'''}}} || ||<:>No ||<:>TRACK ||<:> BEST ||<:>'''1st'''||<:>'''2nd'''||<:>'''3rd'''||<:>4th||<:>5th||<:>6th||<:>7th||<:>8th|| ||<|2> 1 ||<|2> '''문힐시티 폭우 속의 질주''' ||<|2> SSEAL[br]1:28:12 || {{{#fff RUNMINGI}}} || {{{#fff LimiT}}} || {{{#fff DAIN}}} || {{{#fff SIWOO}}} || {{{#fff RAMGONG}}} || {{{#FFF ROXY}}} || {{{#FFF SSEAL}}} || {{{#FFF JJONG}}} || ||<-8><:> {{{#d13 14}}} : {{{#1e90ff 25}}} || ||<|2> 2 ||<|2> '''브로디 비밀의 연구소''' ||<|2> --DongI[br]2:02:36--[br]JJONG[br]2:02:12 || {{{#fff JJONG}}} || {{{#fff RUNMINGI}}} || {{{#fff SSEAL}}} || {{{#fff LimiT}}} || {{{#fff RAMGONG}}} || {{{#fff SIWOO}}} || {{{#fff ROXY}}} || {{{#fff DAIN}}} || ||<-8><:> {{{#d13 20}}} : {{{#1e90ff 19}}} || ||<|2> 3 ||<|2> '''해적 상어섬의 비밀''' ||<|2> RUNMINGI[br]2:09:87 || {{{#d13 }}} || {{{#d13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1E90FF }}} || {{{#1E90FF }}} || ||<-8><:> {{{#d13 }}} : {{{#1e90ff }}} || ||<|2> 4 ||<|2> '''빌리지 붐힐터널''' ||<|2> SSEAL[br]1:06:58 || {{{#d13 }}} || {{{#d13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1E90FF }}} || {{{#1E90FF }}} || ||<-8><:> {{{#d13 }}} : {{{#1e90ff }}} || ||<|2> 5 ||<|2> '''해적 숨겨진 보물''' ||<|2> TWERKING[br]1:55:60 || {{{#d13 }}} || {{{#d13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1E90FF }}} || {{{#1E90FF }}} || ||<-8><:> {{{#d13 }}} : {{{#1e90ff }}} || ||<|2> 6 ||<|2> ? ||<|2> || {{{#d13 }}} || {{{#d13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1E90FF }}} || {{{#1E90FF }}} || ||<-8><:> {{{#d13 }}} : {{{#1e90ff }}} || ||<|2> 7 ||<|2> ? ||<|2> || {{{#d13 }}} || {{{#d13 }}} || {{{#d13 }}} || {{{#1E90FF }}} || {{{#d13 }}} || {{{#1E90FF }}} || {{{#1E90FF }}} || {{{#1E90FF }}} || ||<-8><:> {{{#d13 }}} : {{{#1e90ff }}} || ||<-3> 결승전 평균 순위 (점수) || {{{#d13 }}} || {{{#d13 }}} || {{{#d13 }}} || {{{#1E90FF }}} || {{{#1E90FF }}} || {{{#d13 }}} || {{{#1E90FF }}} || {{{#1E90FF }}} || }}}|| || {{{#fff '''아이템전 경기별 정리'''}}} || ||Item Round 1 : {{{#d13 '''월드 파리 드라이브'''}}} Item Round 2 : {{{#dodgerblue '''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Item Round 3 : {{{#d13 '''신화 빛의 길'''}}} Item Round 4 : {{{#d13 '''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Item Round 5 : {{{#d13 '''네모 네모난 마을'''}}} 총평 * {{{#d13 '''승리 팀 - Team GP'''}}}: * {{{#dodgerblue '''패배 팀 - GAME COACH'''}}}: || || {{{#fff '''에이스 결정전'''}}} || ||TRACK : {{{#dodgerblue '''팩토리 두 개의 공장'''}}} {{{#d13 (승) JJONG}}} VS {{{#dodgerblue RUNMINGI (패)}}} 초반에 쫑이 화물 컨테이너에 부딪히는 바람에 런민기가 엄청나게 치고 나갔다 그러나 런민기가 2랩때 삽을 푸고 프레스에 부딪히는 바람에 쫑한테 역전을 당해 쫑이 엄청나게 치고 나갔다 그대로 쫑이 기적의 역전승을 거두며 GP가 우승했다. || * 경기 결과: == 결과 == GP가 우승하고, 게임코치가 준우승을 함에 따라 KRPL 최초의 양대 우승, 양대 준우승, 3회 연속 우승, 3회 연속 준우승이라는 각종 기록이 모두 한번에 나온 시즌이 되었다. 또한, 결승전 최초의 에이스 결정전이 나왔다. === 우승 | [[Team GP/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Team GP]] === === 준우승 | [[게임코치]] === == 여담 == 이번 시즌 팀전 결승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한종문|JJONG]]과 [[민기(프로게이머)|RUNMINGI]], [[박상원(프로게이머)|RAMGONG]], [[박효준(프로게이머)|ROXY]]는 3시즌 연속으로 결승전에서 맞붙는다.[* 당시 NTC 소속이었던 JJONG이 2021 시즌 1, 2021 시즌 2 두 번 모두 우승했다.] 그리고 JJong이 3번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 결승전에서 4인팀이 우승한다는 카트리그의 징크스와는 반대로 KRPL에서는 5인팀이 우승한다는 징크스가 있다. * 결승전에서 '''{{{#red 레드 팀}}}'''이 우승한다는 것과 5인 팀이 우승한다는 징크스가 유지되었다. * KRPL 개막 이래로 팀전 결승에서 첫 에이스 결정전이 성사되었다.